목차
없음
본문내용
온도가 높아지면 광합성이 더 활발하게 일어난다.
③광포화점에서는 동일한 온도라면 광합성 산물의 양이 동일하다.
④빛의 세기가 약할수록 두 온도 조건에서의 총광합성량의 차이가 적어진다.
⑤호흡 속도와 광합성 속도가 같아지려면 온도가 낮아 질수록 빛의 세기가 더 강해져야 한다.
34. 빛의 세기를 10,000 Lux로 해 주었을 때, 이 식물 전체 (총면적 5m2)에서 1시간 동안 생성되는 포도당의 양(총광합성량)은 두 온도 조건에서 각각 몇 g이 겠는가?(단, 광합성의 일반식은 6CO2 +12H2O → C6H12O6 + 6H2O + 6O2 이며, 각 원소의 원자량은 H=1, C=12, O=16으로 계산한다.)
번호
①
②
③
④
⑤
15℃
1.56
4.11
1.91
3.37
2.80
30℃
2.73
7.63
3.55
5.86
5.20
*다음은 식물의 광합성 작용을 조사하기 위한 실험이다.(35-36)(상)
[실험 1.]
(가) 삼각 플라스크 안에 물과 녹색 BTB용액을 넣고, 이 용액이 노란색이 될 때까지 유리관을 통해 숨을 불어넣는다.
(나) 5개의 시험관 A-E에 노란색이 된 용액을 같은 양씩 넣는다.
(다) 시험관 B-E에는 물풀을 넣는다.
(라) 시험관 C에는 거즈 1장을, 시험관 D에는 거즈 2장을 감고, 시험관 E에는 알루미늄 호일을 감는다.
(마) 시험관 A-3에 60W 전구를 비춘다
(바) 20분 후에 시험관 A-E속의 BTB용액의 색깔과 줄기를 자른 단면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관찰한다.
[관찰결과]
시험관
BTB용액의 색깔
기포발생 정도
A
노란색
없음
B
푸른색
많이 발생
C
초록색
조금 발생
D
연두색
아주 조금 발생
E
노란색
없음
[실험 2]
(가) 시험관 B-E에서 잎을 각각 따서 다음 장치를 이용하여 알코올을 탈색한다.
(나) 탈색한 잎을 물로 씻은 다음, 요오드용액을 한 방울 떨어뜨려 반응을 관찰한다.
[관찰 결과]
B의 잎은 청남색, C의 잎은 옅은 청남색이 되었고, D와E의 잎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공통과학
Ⅴ. 에 너 지
35. 위 실험에서 가정하고 있는 것이 아닌 것은?
①기포의 발생 정도로 호흡량의 변호를 알 수 있다.
②BTB용액의 색깔 변화로 광합성 정도를 알 수 있다.
③요오드 반응의 색깔 변화로 광합성 정도를 알 수 있다.
④숨을 내쉬면 산으로 작용하는 물질이 나온다.
⑤줄기를 자른 단면에서 나오는 기포의 발생 정도를 광합성 정도를 알 수 있다.
36. 위 실험으로부터 알 수 있는 사실을 다음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가) 빛의 세기가 강할수록 녹말의 생성량이 증가한다.
(나) 온도가 높을수록 요오드반응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다) 광합성 작용이 활발할수록 용액의 pH는 높아진다.
(라) 거즈 1장을 감싼 경우 호흡량과 광합성량이 일치한다.
①(가),(나) ②(나),(다) ③(다),(라)
④(가),(다) ⑤(나),(라)
3. 생물에너지
1. 2
2. 2
3. 4
4. 5
5. 메탄올
6. 가
7. 4
8. 1,4,5
9. 3
10. 1,5
11. 2
12. 4
13. 528g
14. 1152g
15. ㉠에너지 ㉡호흡
16. 사람이 안정된 상태에서 호흡, 순환등의 생명유지에 필요한 최소의 에너지량을 말한다.
17. 3,500㎉
18. 5
19. 110g
20. 2
21. 3
22. 3
23. 1
24. 1)가 2)가 3)다 4)나
25. 산소발생이 가장 많은 곳으로 광합성속도(효율)가 가장 빠른 빛 파장이다.
26. 3
27. 보상점:1,000Lux 광포화점:8,000Lux
28. 45mg
29. A:ATP B:ADP
30. 잎의 엽록체
31. 4
32. 2
33. 3
34. 3
35. 1
36. 4
③광포화점에서는 동일한 온도라면 광합성 산물의 양이 동일하다.
④빛의 세기가 약할수록 두 온도 조건에서의 총광합성량의 차이가 적어진다.
⑤호흡 속도와 광합성 속도가 같아지려면 온도가 낮아 질수록 빛의 세기가 더 강해져야 한다.
34. 빛의 세기를 10,000 Lux로 해 주었을 때, 이 식물 전체 (총면적 5m2)에서 1시간 동안 생성되는 포도당의 양(총광합성량)은 두 온도 조건에서 각각 몇 g이 겠는가?(단, 광합성의 일반식은 6CO2 +12H2O → C6H12O6 + 6H2O + 6O2 이며, 각 원소의 원자량은 H=1, C=12, O=16으로 계산한다.)
번호
①
②
③
④
⑤
15℃
1.56
4.11
1.91
3.37
2.80
30℃
2.73
7.63
3.55
5.86
5.20
*다음은 식물의 광합성 작용을 조사하기 위한 실험이다.(35-36)(상)
[실험 1.]
(가) 삼각 플라스크 안에 물과 녹색 BTB용액을 넣고, 이 용액이 노란색이 될 때까지 유리관을 통해 숨을 불어넣는다.
(나) 5개의 시험관 A-E에 노란색이 된 용액을 같은 양씩 넣는다.
(다) 시험관 B-E에는 물풀을 넣는다.
(라) 시험관 C에는 거즈 1장을, 시험관 D에는 거즈 2장을 감고, 시험관 E에는 알루미늄 호일을 감는다.
(마) 시험관 A-3에 60W 전구를 비춘다
(바) 20분 후에 시험관 A-E속의 BTB용액의 색깔과 줄기를 자른 단면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관찰한다.
[관찰결과]
시험관
BTB용액의 색깔
기포발생 정도
A
노란색
없음
B
푸른색
많이 발생
C
초록색
조금 발생
D
연두색
아주 조금 발생
E
노란색
없음
[실험 2]
(가) 시험관 B-E에서 잎을 각각 따서 다음 장치를 이용하여 알코올을 탈색한다.
(나) 탈색한 잎을 물로 씻은 다음, 요오드용액을 한 방울 떨어뜨려 반응을 관찰한다.
[관찰 결과]
B의 잎은 청남색, C의 잎은 옅은 청남색이 되었고, D와E의 잎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공통과학
Ⅴ. 에 너 지
35. 위 실험에서 가정하고 있는 것이 아닌 것은?
①기포의 발생 정도로 호흡량의 변호를 알 수 있다.
②BTB용액의 색깔 변화로 광합성 정도를 알 수 있다.
③요오드 반응의 색깔 변화로 광합성 정도를 알 수 있다.
④숨을 내쉬면 산으로 작용하는 물질이 나온다.
⑤줄기를 자른 단면에서 나오는 기포의 발생 정도를 광합성 정도를 알 수 있다.
36. 위 실험으로부터 알 수 있는 사실을 다음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가) 빛의 세기가 강할수록 녹말의 생성량이 증가한다.
(나) 온도가 높을수록 요오드반응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다) 광합성 작용이 활발할수록 용액의 pH는 높아진다.
(라) 거즈 1장을 감싼 경우 호흡량과 광합성량이 일치한다.
①(가),(나) ②(나),(다) ③(다),(라)
④(가),(다) ⑤(나),(라)
3. 생물에너지
1. 2
2. 2
3. 4
4. 5
5. 메탄올
6. 가
7. 4
8. 1,4,5
9. 3
10. 1,5
11. 2
12. 4
13. 528g
14. 1152g
15. ㉠에너지 ㉡호흡
16. 사람이 안정된 상태에서 호흡, 순환등의 생명유지에 필요한 최소의 에너지량을 말한다.
17. 3,500㎉
18. 5
19. 110g
20. 2
21. 3
22. 3
23. 1
24. 1)가 2)가 3)다 4)나
25. 산소발생이 가장 많은 곳으로 광합성속도(효율)가 가장 빠른 빛 파장이다.
26. 3
27. 보상점:1,000Lux 광포화점:8,000Lux
28. 45mg
29. A:ATP B:ADP
30. 잎의 엽록체
31. 4
32. 2
33. 3
34. 3
35. 1
36. 4
추천자료
[과외]1.생물 땅에서사는식물(주관식문제)
[과외]중학 과학 2-1학기 기말 04 식물의 구조와 기능
[과학]2.생물 식물의구조와 기능
[과외]중학 과학 중1-05 땅에 사는 식물(2) 03
[과외]중학 가정 중2-03 식물의 구조와 기능 04
식물세포 관찰(양파세포)
[안락사토론 자료] 안락사의 찬성, 반대 - 식물인간 회복 사례, 드레이퍼의 견해
식물 의약품
[뇌사][뇌사판정][사망][장기이식][식물인간][뇌]뇌사의 개념, 뇌사와 두뇌 해부학, 뇌사의 ...
[실내공기환경정화]실내공기환경정화를 위한 통풍과 환기, 실내공기환경정화의 중요성, 실내...
생물학실험 - 환경오염 측정[이산화황(SO2)이 용해된 수질이 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
대기오염이 미치는 영향(대기오염이 인체,식물,재산,건물에 미치는 영향), 주요 대기오염물질...
[식물과 웰빙] 만병통치약 아사이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