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자료 및 방법
1.입원기간
2.입원
3.병동: 내과 병동
4.대상
5.연구방법
Ⅲ문헌고찰
1.정의 및 원인
2.질병의 pathophysiologic Mechanism
3.진단방법
4.증상
5.치료와 간호
6.예후
Ⅳ간호과정
1.간호사정
1)일반적 사항
2) 건강력
3)가족력
4)투약력
5)진단검사력
2.간호진단∙계획∙수행∙평가
Ⅱ자료 및 방법
1.입원기간
2.입원
3.병동: 내과 병동
4.대상
5.연구방법
Ⅲ문헌고찰
1.정의 및 원인
2.질병의 pathophysiologic Mechanism
3.진단방법
4.증상
5.치료와 간호
6.예후
Ⅳ간호과정
1.간호사정
1)일반적 사항
2) 건강력
3)가족력
4)투약력
5)진단검사력
2.간호진단∙계획∙수행∙평가
본문내용
결절은 old- inflammatory scar nodule 가능성 높음
만약 폐암이 맞다면 T3Nl
우폐종괴 4회 조직검사 실시
<일반혈액검사>
검사명
단위
정상치
검사결과
임상적 의의
WBC
×10³/㎕
4~10
13.67
증가-급성감염(폐렴 등)
감소- 조혈성질환
RBC
×10/㎕
4.12~6.3
4.72
증가-다혈구혈증, 혈액농축, 탈수
감소-출혈, 빈혈
Hb
g/dl
13~17
14.5
증가-탈수증, 혈액농축, 다혈구증
감소-빈혈, 암, 신장질환, 정맥내 주입초과
Hct
%
39~52
43
증가-탈수, 저하된 혈액량, 심한 설사, 다혈구증
감소-급격한 혈액손실, 빈혈, 백혈병, 소화성궤양, 만성신부전, 영양실조
MCV
fl
81~97.7
86.8
증가-대적혈구성 빈혈(재생불량성, 용혈성, 악성, 엽산결핍)
감소-소적혈구성 빈혈(철결핍성), 악성종양, 류마티스 관절염
MCH
pg
27~33
27.3
증가-대적혈구성 빈혈
감소-소적혈구성 빈혈
MCHC
g/dl
32~36
33.7
감소-저색소성 빈혈, 철결핍성 빈혈, 지중해성 빈혈
PLT
×10³/㎕
140~406
557
증가: 암, 외상, 만성백혈병, 류마티스 관절염, 심장병
감소: 감염, 폐렴, 알러지, 급성밸혈병, 재생 불량성 빈혈, 암화학요법증
<일반 화학검사>
검사명
단위
정상치
검사결과
임상적 의의
Albumin
g/dl
3.8~5.0
4.56
증가- 탈수
감소- 만성간질환, 영양실조, 기아, 만성신부전, 신증후군
Biliubin, Total
mg/dl
0.22~1.4
0.47
증가-황달
감소- 빈혈
AST
IU/L
5.0~34
70
증가- 급성심근경색증, 뇌염, 간괴사, 간암, 급성췌장염, 울혈성심부전
감소- 임신, 당뇨병성 케톤산증, 각기병
ALT
IU/L
0~55
28
증가- 급성간염, 간괴사의 원인, 간암, 울혈성 심부전, 급성심근경색
CRP
mg/dl
0-0.3
5.54
증가- 폐렴구균에 의한 감염, 조직괴사, 종양, 염증, 스트레스
BUN
mg/dl
8~20
18.2
증가-탈수, 고단백, 신우신염, 급성신염, 당뇨
감소-심한간손상, 쇽, 암
Creatinine
㎎/dl
0.7~1.7
0.61
증가: 만성사구체신염, 용혈성빈혈, 당뇨병성케톤산증
감소: 간기능장애, 근육질환, 근무력증
Na
mmol/l
136~147
141
증가-탈수, 울혈성 심부전, 간부전, 심한 구토와 설사
감소-구토, 설사, 위흡인, 저염식이
K
mmol/l
3.4~5.0
4.6
증가-핍뇨, 무뇨, 급성신부전, 대사성산증
감소-구토, 설사, 탈수, 기아
Cl
mmol/l
98~110
100
증가-탈수, 부신기능항진, 대사성산증
감소-구토, 설사, 위흡인, 저나트륨혈증, 대장염
검사
단위
정상치
검사 결과
의미
pH
7.35~7.45
7.464
증가-알칼리증, PaCO2감소
감소-산증, PaCO2 증가
PCO2
mmHg
35~45
26
증가- 저환기, 호흡성 산증이나 대사성 알칼리증의 보상
감소- 과도환기에서 발생, 호흡성 알칼리증이나 대사성 산증의 보상
PO2
mmHg
80~90
82.3
증가- 고농도의 산소를 공급받는 대상자에서 볼 수 있는데 계속적으로 PO2가 상승하면 폐조직에 손상을 줄 수 있다.
감소-방안 공기(21%)로 숨을 쉴 때 80mmHg이하이면 저산소혈증이므로 산소를 공급해야한다.
BE
mmol/L
0~4
0.2
산염기 평형의 비호흡성 부분을 반영
증가: 대사성 알칼리증이나 호흡성 산증의 보상
감소: 대사성 산증이나 호흡성 알칼리증의 보상
HCO3
mmol/L
23~29
15.2
HCO3-는 혈액탄산의 양을 의미한다. 일차적으로 대사성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pH와 PCO2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증가- 대사성 알칼리증 , 호흡성 산증
감소- 대사성 산증, 호흡성 알칼리증
O2sat
%
94~100
94.2
산소포화도는 혈색소에 의해 운반되는 산소의 농도이다.
산소공급은 혈색소의 산소포화도를 교정 하나, 조직의 산화를 교정하지는 못한다.
- 즉, 조직에 산소를 해리하는 Hb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pH, PCO2, 혈액효소, 화학물질)을 변화시켜야 함
간호진단
1. 비효율적 호흡양상과 관련된 호흡곤란
주관적 자료
“숨이 차요”
객관적 자료
150/80, 88, 18, 36.6
계획
-목표: 대상자는 하루에 심호흡을 5회 이상 실시한다.
대상자는 효과적으로 기침하여 객담을 배출한다.
-중재: 호흡양상을 4시간마다 모니터한다: 호흡수, 호흡 깊이, 호흡노력
활력징후를 4시간마다 체크한다(TPR,혈압)
심호흡과 기침방법을 교육하고 필요한 경우 보조한다.
Fowler 체위나 semi-Fowler 체위를 유지한다.
수행
- 호흡곤란 완화를 위해 Aminophylline와 Tazocin투약을 관찰한다.
- 간호계획을 대상자와 보호자와 함께 세우고 설명한다.
- 올바른 심호흡과 기침방법을 교육한다.
- Fowler 체위를 격려한다.
평가
-대상자는 하루에 심호흡을 5회 이상 실시하였으며 호흡곤란 완화를 경험했다.
-대상자는 기침을 하여 효과적으로 객담을 배출하였다.
2.간호진단계획수행평가
간호진단
2. 정보에 대한 노출의 부족과 관련된 지식부족
주관적 자료
“빨리 나아야 되는데 어떻게 해야 되지..”
객관적 자료
폐렴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대답하지 못하심
계획
-목표: 대상자는 폐렴의 정의에 대해 말한다.
대상자는 호흡곤란 완화와 통증 완화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3가 지 이상 말할 수 있다.
-중재: 보호자와 대상자 모두에게 폐렴에 대해 설명한다.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호흡곤란 완화를 위해 자주 체위를 변경하고 물을 자주 마실 것을 격려한다.
기침을 하는 동안 가슴을 지지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수행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폐렴의 정의를 설명한다.
-호흡곤란과 통증 완화를 위해 할 수 있는 일들을 설명하고 함께 시행해 본다.
-물을 하루에 여섯 컵 이상 마시도록 격려한다.
평가
-대상자는 학생간호사에게 폐렴의 정의에 대해 설명하였다.
-대상자는 가슴을 지지해서 기침할 때 통증이 덜하다고 말하였다.
-대상자는 학생간호사에게 호흡곤란과 통증 완화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3가지 이상 설명하였다.
만약 폐암이 맞다면 T3Nl
우폐종괴 4회 조직검사 실시
<일반혈액검사>
검사명
단위
정상치
검사결과
임상적 의의
WBC
×10³/㎕
4~10
13.67
증가-급성감염(폐렴 등)
감소- 조혈성질환
RBC
×10/㎕
4.12~6.3
4.72
증가-다혈구혈증, 혈액농축, 탈수
감소-출혈, 빈혈
Hb
g/dl
13~17
14.5
증가-탈수증, 혈액농축, 다혈구증
감소-빈혈, 암, 신장질환, 정맥내 주입초과
Hct
%
39~52
43
증가-탈수, 저하된 혈액량, 심한 설사, 다혈구증
감소-급격한 혈액손실, 빈혈, 백혈병, 소화성궤양, 만성신부전, 영양실조
MCV
fl
81~97.7
86.8
증가-대적혈구성 빈혈(재생불량성, 용혈성, 악성, 엽산결핍)
감소-소적혈구성 빈혈(철결핍성), 악성종양, 류마티스 관절염
MCH
pg
27~33
27.3
증가-대적혈구성 빈혈
감소-소적혈구성 빈혈
MCHC
g/dl
32~36
33.7
감소-저색소성 빈혈, 철결핍성 빈혈, 지중해성 빈혈
PLT
×10³/㎕
140~406
557
증가: 암, 외상, 만성백혈병, 류마티스 관절염, 심장병
감소: 감염, 폐렴, 알러지, 급성밸혈병, 재생 불량성 빈혈, 암화학요법증
<일반 화학검사>
검사명
단위
정상치
검사결과
임상적 의의
Albumin
g/dl
3.8~5.0
4.56
증가- 탈수
감소- 만성간질환, 영양실조, 기아, 만성신부전, 신증후군
Biliubin, Total
mg/dl
0.22~1.4
0.47
증가-황달
감소- 빈혈
AST
IU/L
5.0~34
70
증가- 급성심근경색증, 뇌염, 간괴사, 간암, 급성췌장염, 울혈성심부전
감소- 임신, 당뇨병성 케톤산증, 각기병
ALT
IU/L
0~55
28
증가- 급성간염, 간괴사의 원인, 간암, 울혈성 심부전, 급성심근경색
CRP
mg/dl
0-0.3
5.54
증가- 폐렴구균에 의한 감염, 조직괴사, 종양, 염증, 스트레스
BUN
mg/dl
8~20
18.2
증가-탈수, 고단백, 신우신염, 급성신염, 당뇨
감소-심한간손상, 쇽, 암
Creatinine
㎎/dl
0.7~1.7
0.61
증가: 만성사구체신염, 용혈성빈혈, 당뇨병성케톤산증
감소: 간기능장애, 근육질환, 근무력증
Na
mmol/l
136~147
141
증가-탈수, 울혈성 심부전, 간부전, 심한 구토와 설사
감소-구토, 설사, 위흡인, 저염식이
K
mmol/l
3.4~5.0
4.6
증가-핍뇨, 무뇨, 급성신부전, 대사성산증
감소-구토, 설사, 탈수, 기아
Cl
mmol/l
98~110
100
증가-탈수, 부신기능항진, 대사성산증
감소-구토, 설사, 위흡인, 저나트륨혈증, 대장염
검사
단위
정상치
검사 결과
의미
pH
7.35~7.45
7.464
증가-알칼리증, PaCO2감소
감소-산증, PaCO2 증가
PCO2
mmHg
35~45
26
증가- 저환기, 호흡성 산증이나 대사성 알칼리증의 보상
감소- 과도환기에서 발생, 호흡성 알칼리증이나 대사성 산증의 보상
PO2
mmHg
80~90
82.3
증가- 고농도의 산소를 공급받는 대상자에서 볼 수 있는데 계속적으로 PO2가 상승하면 폐조직에 손상을 줄 수 있다.
감소-방안 공기(21%)로 숨을 쉴 때 80mmHg이하이면 저산소혈증이므로 산소를 공급해야한다.
BE
mmol/L
0~4
0.2
산염기 평형의 비호흡성 부분을 반영
증가: 대사성 알칼리증이나 호흡성 산증의 보상
감소: 대사성 산증이나 호흡성 알칼리증의 보상
HCO3
mmol/L
23~29
15.2
HCO3-는 혈액탄산의 양을 의미한다. 일차적으로 대사성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pH와 PCO2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증가- 대사성 알칼리증 , 호흡성 산증
감소- 대사성 산증, 호흡성 알칼리증
O2sat
%
94~100
94.2
산소포화도는 혈색소에 의해 운반되는 산소의 농도이다.
산소공급은 혈색소의 산소포화도를 교정 하나, 조직의 산화를 교정하지는 못한다.
- 즉, 조직에 산소를 해리하는 Hb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pH, PCO2, 혈액효소, 화학물질)을 변화시켜야 함
간호진단
1. 비효율적 호흡양상과 관련된 호흡곤란
주관적 자료
“숨이 차요”
객관적 자료
150/80, 88, 18, 36.6
계획
-목표: 대상자는 하루에 심호흡을 5회 이상 실시한다.
대상자는 효과적으로 기침하여 객담을 배출한다.
-중재: 호흡양상을 4시간마다 모니터한다: 호흡수, 호흡 깊이, 호흡노력
활력징후를 4시간마다 체크한다(TPR,혈압)
심호흡과 기침방법을 교육하고 필요한 경우 보조한다.
Fowler 체위나 semi-Fowler 체위를 유지한다.
수행
- 호흡곤란 완화를 위해 Aminophylline와 Tazocin투약을 관찰한다.
- 간호계획을 대상자와 보호자와 함께 세우고 설명한다.
- 올바른 심호흡과 기침방법을 교육한다.
- Fowler 체위를 격려한다.
평가
-대상자는 하루에 심호흡을 5회 이상 실시하였으며 호흡곤란 완화를 경험했다.
-대상자는 기침을 하여 효과적으로 객담을 배출하였다.
2.간호진단계획수행평가
간호진단
2. 정보에 대한 노출의 부족과 관련된 지식부족
주관적 자료
“빨리 나아야 되는데 어떻게 해야 되지..”
객관적 자료
폐렴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대답하지 못하심
계획
-목표: 대상자는 폐렴의 정의에 대해 말한다.
대상자는 호흡곤란 완화와 통증 완화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3가 지 이상 말할 수 있다.
-중재: 보호자와 대상자 모두에게 폐렴에 대해 설명한다.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호흡곤란 완화를 위해 자주 체위를 변경하고 물을 자주 마실 것을 격려한다.
기침을 하는 동안 가슴을 지지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수행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폐렴의 정의를 설명한다.
-호흡곤란과 통증 완화를 위해 할 수 있는 일들을 설명하고 함께 시행해 본다.
-물을 하루에 여섯 컵 이상 마시도록 격려한다.
평가
-대상자는 학생간호사에게 폐렴의 정의에 대해 설명하였다.
-대상자는 가슴을 지지해서 기침할 때 통증이 덜하다고 말하였다.
-대상자는 학생간호사에게 호흡곤란과 통증 완화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3가지 이상 설명하였다.
추천자료
폐렴환의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폐렴의 문헌고찰과 간호과정
아동간호학 급성기관지염 케이스
[아동간호학] 케이스(case study) - 문헌고찰, 간호과정(폐렴)
[아동 간호학][Bronchiolitis][세기관지염]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정신간호학][Bipolar disorder][양극성장애]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퇴행성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정신간호학][Schizophrenia][정신분열증]케이스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실습후기
[성인간호학][Asthma][천식]케이스스터디(Case Studdy), 문헌고찰
[간호 케이스] 내과 케이스(간호과정 양식, 문헌고찰) - 주호소/현재력 : Dyspnea
[환경보건학 연구방법] 최근 (2011,2012년)에 발행된 석사 학위 이상의 논문 또는 학술지 논...
장게실염(Diverticulitis) 케이스 & 문헌고찰, 급성통증, 체액과다, 지식부족 간호과정, ...
HCC 문헌고찰 및 간호진단
늑골골절, 혈흉 문헌고찰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