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독일 통일과 사회문화갈등
1. 독일 통일의 진행과정 및 주변국의 우려
1) 독일통일은 당시 미테랑, 대처 등 당시 유럽질서를 주도하고 있던 국제정치가들은
2) 주변국및 독일 좌파지식인들의 반대
2. 정치경제적 통합 및 사회문화적 분열 양상
1) 통일 17년 결산표가 보여주는 부정적 전망
2) 정치경제적 통합 : 순조로운 정치, 사회적 통합과정
3) 사회, 문화적 분열
4) 동독인들의 상대적 박탈감 : 동독인들의 불만 고조
동독여성들의 문제
1. 통일의 최대 희생자
2. 사회문화적 갈등
5) 서독인들의 불만 역시 팽배 : 통독에 대한 경제적 부담가중.
6) 동서독 사회문화 갈등의 원인에 대한 연구
7) 갈등극복을 위한 방안
동독 청소년의 집단적 정체성과 고정관념
1) 두개의 카데고리
2) 18세 이하 순수 통일 1세대들에 대한 연구는
3) 통일 독일 이후 동독지역에서 생겨난 새로운 집단적 정체성
4) 억압적인 사회주의적 현실의 부정적 측면으로부터
5) 이데올로기와의 관계
6) 생활체계와의 관계
7) 집단적으로 전수된 부정적 고정관념
1. 독일 통일의 진행과정 및 주변국의 우려
1) 독일통일은 당시 미테랑, 대처 등 당시 유럽질서를 주도하고 있던 국제정치가들은
2) 주변국및 독일 좌파지식인들의 반대
2. 정치경제적 통합 및 사회문화적 분열 양상
1) 통일 17년 결산표가 보여주는 부정적 전망
2) 정치경제적 통합 : 순조로운 정치, 사회적 통합과정
3) 사회, 문화적 분열
4) 동독인들의 상대적 박탈감 : 동독인들의 불만 고조
동독여성들의 문제
1. 통일의 최대 희생자
2. 사회문화적 갈등
5) 서독인들의 불만 역시 팽배 : 통독에 대한 경제적 부담가중.
6) 동서독 사회문화 갈등의 원인에 대한 연구
7) 갈등극복을 위한 방안
동독 청소년의 집단적 정체성과 고정관념
1) 두개의 카데고리
2) 18세 이하 순수 통일 1세대들에 대한 연구는
3) 통일 독일 이후 동독지역에서 생겨난 새로운 집단적 정체성
4) 억압적인 사회주의적 현실의 부정적 측면으로부터
5) 이데올로기와의 관계
6) 생활체계와의 관계
7) 집단적으로 전수된 부정적 고정관념
본문내용
자유로운 사회이면서 포스트 통독 의 여파 및 성장통으로 이중적 시달림을 받는 세대
2) 18세 이하 순수 통일 1세대들에 대한 연구는 동서독 문화통합의 가능성 및 미래를 가늠할 수 있는 잣대가 될 수 있음
3) 통일 독일 이후 동독지역에서 생겨난 새로운 집단적 정체성인 오씨 정체성은 통독이후 분열된 민족감정을 그대로 드러내줌. 이미 밝혔듯 오씨 정체성은 통일과정에서 동독인들이 느낀 경제적, 사회적 위기에 대한 불만과 정서적, 문화적 통합의 부재에서 비롯된 상실감의 반영.
4) 억압적인 사회주의적 현실의 부정적 측면으로부터 자유롭게 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부모로부터 구동독의 사고 방식과 생활방식을 그대로 물려받음. 통독이후 동독인들은 옛동독에 대해 보다 강한 귀속욕구를 느끼고 있음.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으나 통일이후 악화된 지역의 경제상황과 이로인한 심리적 불안이 크게 작용하고 있음. 특히 상부상조, 평등, 인간애, 봉사정신 등 집단주의적 가치와 공동체 문화를 높이 평가, 개인주의 및 자본주의적 생활양식을 강하게 비판하고 있음.
5) 이데올로기와의 관계
동독지역에서의 중앙방송은 ARD나 ZDF, 대표적 민간방송은 RTL, PRO 7, Sat.1 등. 대표적 지역방송사는 MDR, NDR, ORB.
동독시청자들은 중앙방송 보다는 지역방송을 선호, 프로그램의 형식과 내용 때문에. 이들 방송들은 지역소실과 아울러 동독시절 즐겨보던 프로그램을 방영, 지역주민들의 정체성을 공공연히 강화하고 있음. 통일 이후 동독인들의 정서와 심리는 이들 지역방송을 통해 후세대에게 전달되고 있음. 서독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동독 청소년들의 강한 반발은 자신들의 부모들의 삶이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일개 오락거리로 폄하되는 것에서 기인함.
6) 생활체계와의 관계
이들 청소년들 대부분이 통독이후 가정의 경제적 형편이 나빠졌다고 생각. 통일 이후에도 여전히 동일한 직업을 갖고 있더라도 노동조건과 임금수준이 나빠졌을 수 있고, 교육수준이나 직업경험과 무관한 새로운 직장에서 일하거나 셋째, 통일로 인해 실직한 가정.
풍요속의 빈곤. 직업학교 학생들의 경우에도 자신들이 서독 학생들에 대해 임금 불평등을 겪고 있다고 생각.
7) 집단적으로 전수된 부정적 고정관념 : 열악한 경제적 현실 및 그에 대한 불만에서 기인.
직접적 접촉도 제한되고 대부분 서독에서의 체류기간이 1주일 미만임에도 불구, 서독에 대한 부정적 선입견이 뿌리깊음.
2) 18세 이하 순수 통일 1세대들에 대한 연구는 동서독 문화통합의 가능성 및 미래를 가늠할 수 있는 잣대가 될 수 있음
3) 통일 독일 이후 동독지역에서 생겨난 새로운 집단적 정체성인 오씨 정체성은 통독이후 분열된 민족감정을 그대로 드러내줌. 이미 밝혔듯 오씨 정체성은 통일과정에서 동독인들이 느낀 경제적, 사회적 위기에 대한 불만과 정서적, 문화적 통합의 부재에서 비롯된 상실감의 반영.
4) 억압적인 사회주의적 현실의 부정적 측면으로부터 자유롭게 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부모로부터 구동독의 사고 방식과 생활방식을 그대로 물려받음. 통독이후 동독인들은 옛동독에 대해 보다 강한 귀속욕구를 느끼고 있음.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으나 통일이후 악화된 지역의 경제상황과 이로인한 심리적 불안이 크게 작용하고 있음. 특히 상부상조, 평등, 인간애, 봉사정신 등 집단주의적 가치와 공동체 문화를 높이 평가, 개인주의 및 자본주의적 생활양식을 강하게 비판하고 있음.
5) 이데올로기와의 관계
동독지역에서의 중앙방송은 ARD나 ZDF, 대표적 민간방송은 RTL, PRO 7, Sat.1 등. 대표적 지역방송사는 MDR, NDR, ORB.
동독시청자들은 중앙방송 보다는 지역방송을 선호, 프로그램의 형식과 내용 때문에. 이들 방송들은 지역소실과 아울러 동독시절 즐겨보던 프로그램을 방영, 지역주민들의 정체성을 공공연히 강화하고 있음. 통일 이후 동독인들의 정서와 심리는 이들 지역방송을 통해 후세대에게 전달되고 있음. 서독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동독 청소년들의 강한 반발은 자신들의 부모들의 삶이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일개 오락거리로 폄하되는 것에서 기인함.
6) 생활체계와의 관계
이들 청소년들 대부분이 통독이후 가정의 경제적 형편이 나빠졌다고 생각. 통일 이후에도 여전히 동일한 직업을 갖고 있더라도 노동조건과 임금수준이 나빠졌을 수 있고, 교육수준이나 직업경험과 무관한 새로운 직장에서 일하거나 셋째, 통일로 인해 실직한 가정.
풍요속의 빈곤. 직업학교 학생들의 경우에도 자신들이 서독 학생들에 대해 임금 불평등을 겪고 있다고 생각.
7) 집단적으로 전수된 부정적 고정관념 : 열악한 경제적 현실 및 그에 대한 불만에서 기인.
직접적 접촉도 제한되고 대부분 서독에서의 체류기간이 1주일 미만임에도 불구, 서독에 대한 부정적 선입견이 뿌리깊음.
추천자료
분단국의 교류․협력과 통일과정
통일과 한국노동시장
독일의 정치제도에 대하여
[독일][독일경제][독일문화][독일통일][동독][서독][경제][문화][통일]독일에 관한 고찰(독일...
세계의사회체육(독일)-독일의 생활체육정책을 분석하여 생활체육 확산방안에 대해 고찰
독일의 음식문화에 관한 조사
[통일][남북통일][남북관계][대북정책][북한]통일(남북통일)의 필요성, 통일(남북통일)과 분...
유럽의 통합과 유럽연합
귄터 그라스 소설 양철북의 연구, 귄터 그라스 소설 양철북의 이중성과 여성상, 귄터 그라스 ...
[북한방송보도][북한방송보도와 남한 대북방송보도]북한방송보도의 특징, 북한방송보도의 철...
통일예산안 분석에 대하여
[남북화해협력, 통일정책, 통일교육, 통일환경, 남북접촉, 언론]남북화해협력과 통일정책, 남...
[제2차세계대전, 국제관계, 복식(服食), 정상회담]제2차세계대전의 특징, 제2차세계대전의 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