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세형법의 일반 형법화
2. 조세범죄의 구성요건의 명확화
3. 조세범처벌법상 형량의 정비
4. 조세범처벌법상 벌과금의 가산세(조세과태료) 전환
5. 통고처분제도의 개선
6. 통고처분과 고발의 한계 명확화
7. 범칙조사로의 전환요건의 법정화
8. 범칙조사공무원의 특별사법경찰관리화
2. 조세범죄의 구성요건의 명확화
3. 조세범처벌법상 형량의 정비
4. 조세범처벌법상 벌과금의 가산세(조세과태료) 전환
5. 통고처분제도의 개선
6. 통고처분과 고발의 한계 명확화
7. 범칙조사로의 전환요건의 법정화
8. 범칙조사공무원의 특별사법경찰관리화
본문내용
경찰권을 부여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관세공무원의 경우 밀수단속시에 직접 구속집행을 할 수 있는 등의 사법경찰권을 인정하는 것과 비교하여 신중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조세범처벌절차법 제4조에서는 압수·수색에 대해서 형사소송법을 준용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강제조사는 조세공무원에게 사법경찰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세무공무원 등 특수분야 공무원에게 사법경찰권을 부여하는 근거법률인 "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행할 자와 그 직무범위에 관한 법률"에서는 세무공무원을 특별사법경찰관리로 열거하지 아니하고 있다.
따라서 엄밀하게 따진다면 세무공무원은 검사의 지휘를 받을 권리나 의무도 없고 검사의 지휘하에 행하여야 하는 압수·수색도 행할 수 없다는 결론에 귀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조세범처벌절차법에 근거하여 압수 수색을 행할 수 있다고 해석하더라도 이는 검사의 지휘없이 세무공무원 단독으로 행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인권침해를 방지하기 위해 수사의 주도권을 검사에게 부여하고 있는 형사소송법의 취지에 반하는 결과가 되며, 동시에 범칙혐의자의 입장에서도 형사소송법에 규정되어 있는 진술거부권 고지의무 등 인권보장을 위한 제도적 장치의 보호를 받을 수 없어 조사과정에서의 인권침해의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행할 자와 그 직무범위에 관한 법률에 세무공무원도 특별사법경찰관리로 지명할 수 있는 근거를 삽입해야 할 것이며, 조세범처벌절차법에도 관세법 제211조(사법경찰권)와 같은 규정을 신설하는 등 세무공무원에게 실질적인 사법경찰권을 부여하는 조치가 있어야 할 것이다.
조세범처벌절차법 제4조에서는 압수·수색에 대해서 형사소송법을 준용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강제조사는 조세공무원에게 사법경찰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세무공무원 등 특수분야 공무원에게 사법경찰권을 부여하는 근거법률인 "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행할 자와 그 직무범위에 관한 법률"에서는 세무공무원을 특별사법경찰관리로 열거하지 아니하고 있다.
따라서 엄밀하게 따진다면 세무공무원은 검사의 지휘를 받을 권리나 의무도 없고 검사의 지휘하에 행하여야 하는 압수·수색도 행할 수 없다는 결론에 귀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조세범처벌절차법에 근거하여 압수 수색을 행할 수 있다고 해석하더라도 이는 검사의 지휘없이 세무공무원 단독으로 행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인권침해를 방지하기 위해 수사의 주도권을 검사에게 부여하고 있는 형사소송법의 취지에 반하는 결과가 되며, 동시에 범칙혐의자의 입장에서도 형사소송법에 규정되어 있는 진술거부권 고지의무 등 인권보장을 위한 제도적 장치의 보호를 받을 수 없어 조사과정에서의 인권침해의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행할 자와 그 직무범위에 관한 법률에 세무공무원도 특별사법경찰관리로 지명할 수 있는 근거를 삽입해야 할 것이며, 조세범처벌절차법에도 관세법 제211조(사법경찰권)와 같은 규정을 신설하는 등 세무공무원에게 실질적인 사법경찰권을 부여하는 조치가 있어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청소년의 사이버 일탈 - 사이버 범죄 (컴퓨터 해킹, 바이러스 유포, 아이디 도용, 프로그램 ...
무동기범죄의 실태분석과 대응방안
조직폭력범죄의 실태분석과 대응방안
외국인노동자 범죄문제의 원인과 해결방안(A+레포트)
성폭력범죄처벌법
[경찰행정] 사이버범죄의 실태와 양상 및 사이버수사대의 활동
사이버 범죄의 현황과 사이버수사대의 역할 및 나아갈 방향
현대 사회의 범죄피해자에 대하여
사이버범죄의 개념 및 현황, 대안
여성범죄의 실태와 처우
장애인범죄와 교정복지
여성범죄 보고서
사이버 범죄의 현황과 사이버수사대의 역할 및 나아갈 방향 (사이버범죄 이론, 사이버범죄의 ...
성범죄자 신상공개제도(性犯罪者 身上公開制度) 성범죄자 신상공개제도에 대한 반대의견과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