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산업의 발전 동향과 전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디스플레이의 개념

디스플레이의 종류

1)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디스플레이)

2) PDP(Plasma Panel Display;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3) ELD(Electro Luminiscent display;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4) FED(Field Emission Display; 전계 효과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산업의 역사 및 현황

디스플레이 산업의 특성

디스플레이 시장 동향과 향후 전망

디스플레이 산업의 발전 전략

본문내용

율을 2010년 80%까지 달성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산업자원부는 이를 위해 시장 선도형 차세대 기술개발 추진, 장비·부품·소재의 기술 경쟁력 제고, 디스플레이 산업의 성장 인프라 강화, 수출·마케팅 지원, 글로벌 협력체제 강화, 제도 개선 등 6가지 세부 실천 전략을 제시했다.
시장 선도형 차세대 기술개발 추진을 위해서는 디스플레이별 로드맵을 작성 이를 토대로 차세대 기술을 선점하고 시장을 선도할 방침이다. 이미 1995년부터 2001년까지 실시한 바 있는 차세대평판표시장치개발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과기부 등의 기초 연구 개발과 연계하여 기술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며, 매년 신규 과제를 발굴하여 중기 거점 및 차세대 R&D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개발을 지원해 나가기로 했다.
장비·부품·소재의 기술 경잭력 제고를 위해서는 수요업체와 개발업체가 기술개발 과제 선정부터 신뢰성 평가까지 전 과정을 공동 수행함으로써 부품·소재의 기술 경쟁력 제고 및 기업의 전문화·대형화를 유도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수요 업체의 니즈를 토대로 5년 이내 상업화가 가능한 과제를 집중 수행하기로 했으며 금년 중 국산화 대상 장비 및 부품·소재를 각 3개씩 도출하여 국산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디스플레이 산업의 성장 인프라 강화 전략에서는 원천기술 개발 및 상품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별 거점 연구 센터를 구축하고 인력 양성을 지원할 방침이다. 디스플레이별 거점 연구 센터에는 공정기술혁신센터, 부품·소재혁신센터, 산업정보지원센터, 전문인력양성센터 등의 하위 조직을 두고 차세대 디스플레이 연구기반 구축사업 등의 세부 전략을 추진하기로 했다.
수출·마케팅 지원을 위해서는 국내 제품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 및 적극적인 시장 개척, 시장 정보 제공 등으로 업계의 마케팅 역량을 강화시킬 방침이다. 이를 위해 대만·중국 등에 시장개척단을 파견하고, 미국·일본·대만·중국 등에서 개최되는 해외 전시회를 적극 활용하기로 결정했다.
글로벌 협력체제 강화를 위해서는 원천기술 획득을 위해 선진국과 공동 R&D를 추진하는 한편, 환경 규제에 대응한 국제협력을 강화하고 국제 표준화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제도 개선 전략을 통해 관세 감면 범위와 내수기반을 확대하고 신규 수요를 창출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을 실시하는 한편, 산업 정책 수립 및 수출 모니터링에 활용할 수 있도록 HS코드 분류체계도 개선할 것이라고 밝혔다.
  • 가격3,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5.22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86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