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목차
1. 무용의 본질 ․․․․․․․․․․․․․․․․․․․․․․․․․․․․․․․․․․․․․․․․․․․․․․․․․․․․․․․․․․․․․․․․․․․ 1
2. 무용의 정의 ․․․․․․․․․․․․․․․․․․․․․․․․․․․․․․․․․․․․․․․․․․․․․․․․․․․․․․․․․․․․․․․․․․․ 4
3. 무용 교육의 개념 ․․․․․․․․․․․․․․․․․․․․․․․․․․․․․․․․․․․․․․․․․․․․․․․․․․․․․․․․․․․․․ 7
4. 무용교육의 발달 ․․․․․․․․․․․․․․․․․․․․․․․․․․․․․․․․․․․․․․․․․․․․․․․․․․․․․․․․․․․․․․ 8
5. 무용교육의 영역 ․․․․․․․․․․․․․․․․․․․․․․․․․․․․․․․․․․․․․․․․․․․․․․․․․․․․․․․․․․․․․․ 15
6. 사회무용 ․․․․․․․․․․․․․․․․․․․․․․․․․․․․․․․․․․․․․․․․․․․․․․․․․․․․․․․․․․․․․․․․․․․․․․․․ 18
7. 특수무용 ․․․․․․․․․․․․․․․․․․․․․․․․․․․․․․․․․․․․․․․․․․․․․․․․․․․․․․․․․․․․․․․․․․․․․․․․ 21
8. 발레의 기원 ․․․․․․․․․․․․․․․․․․․․․․․․․․․․․․․․․․․․․․․․․․․․․․․․․․․․․․․․․․․․․․․․․․․ 26
9. 중세시대의 무용 ․․․․․․․․․․․․․․․&
2. 무용의 정의 ․․․․․․․․․․․․․․․․․․․․․․․․․․․․․․․․․․․․․․․․․․․․․․․․․․․․․․․․․․․․․․․․․․․ 4
3. 무용 교육의 개념 ․․․․․․․․․․․․․․․․․․․․․․․․․․․․․․․․․․․․․․․․․․․․․․․․․․․․․․․․․․․․․ 7
4. 무용교육의 발달 ․․․․․․․․․․․․․․․․․․․․․․․․․․․․․․․․․․․․․․․․․․․․․․․․․․․․․․․․․․․․․․ 8
5. 무용교육의 영역 ․․․․․․․․․․․․․․․․․․․․․․․․․․․․․․․․․․․․․․․․․․․․․․․․․․․․․․․․․․․․․․ 15
6. 사회무용 ․․․․․․․․․․․․․․․․․․․․․․․․․․․․․․․․․․․․․․․․․․․․․․․․․․․․․․․․․․․․․․․․․․․․․․․․ 18
7. 특수무용 ․․․․․․․․․․․․․․․․․․․․․․․․․․․․․․․․․․․․․․․․․․․․․․․․․․․․․․․․․․․․․․․․․․․․․․․․ 21
8. 발레의 기원 ․․․․․․․․․․․․․․․․․․․․․․․․․․․․․․․․․․․․․․․․․․․․․․․․․․․․․․․․․․․․․․․․․․․ 26
9. 중세시대의 무용 ․․․․․․․․․․․․․․․&
본문내용
원형들이라 할 악기들로 연주되었다. 무대는 극장 무대가 아닌, 커다란 궁전의 홀이었으며 관객들은 무용을 위해 마련된 공간의 삼면에 둘러앉았다. 무대의상은 우리들이 말하는 ‘엘리자베스 시대풍’의 것이었다. 여성의 경우 속버팀으로 부풀린 스커트를 입었고, 남자들의 경우 몸에 꼭 끼는 상의와 긴 양말, 짧은 망토를 입었다. 그리고 여성들과 남성들의 경우 둘 다 풀이 센 높은 주름 칼라를 달았다. 그런데 그 당시 관객들은 꼭 무용수들처럼 옷을 입고 있었다. 그리고 여성들과 남성들의 경우 둘다 풀이 센 높은 주름 칼라를 달았다. 그런데 그 당시 관객들은 꼭 무용수들처럼 옷을 입고 있었다. 만일 오늘날의 무용수들이 현대적 스타일의 이브닝 드레스를 입었다면 우리들이 받았을 느낌을 그 당시 관객들도 틀림없이 받았을 것이다. 유일한 차이점으로 무용수들은 자신들이 맡은 배역을 나타내기 위해 머리장식, 또는 마스크를 착용하였다. 발레는 오랫동안 이와 같은 모습으로 행해졌다. 하지만 결국에는 이러한 간단한 무용 스텝에 보다 복잡한 스텝이 첨가되었으며, 더 이상 궁정인들이 복잡한 스텝을 감당해낼 수 없게 되자 전문적인 직업 무용수들이 채용되기 시작했다. 그러한 직업 무용수들 가운데 몇몇은 연극 배우 단체나 전국을 순회하는 곡예단에서 모집되기도 했다. 이제 전문적인 무용수들에 의해 발레가 무대에 올려지게 되었고 따라서 예전보다 더 흥미로운 발레 무대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모든 종류의 새로운 스텝들이 개발되었다. 그리고 새로운 발레는 적절한 무대가 있고 어느 정도 조명과 무대장치가 가능한 극장을 요구하게 되었다. 점차로 발레의 고전적인 테크닉이 축적되었다. 우선 첫째로 남자어른과 소년들만이 세익스피어의 연극을 공연할 수 있었듯이 발레에도 남성들만이 참여할 수 있었다. 16세기에는 여성들이 무대에 등장한다는 것은 생각지도 못한 일이었다. 그러나 얼마있지 않아 여성들도 발레에 참여하게 되었고, 이러한 여성 무용수들의 영향으로 무대의상이 일상적인 복장에서 뭔가 색다른 것으로 변천하게 되었다. 초기의 뛰어난 발레 무용수들 가운데 한 사람인, 마리-안느 큐피스 드 카마르고는 보다 스피드있는 움직임을 위해 치마길이를 짧게 하였다. 또한 마찬가지의 이유로, 궁정에서 신는 뒤축이 있는 신발 대신 부드럽고 납작한 무용화를 착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단지 무대의상만 개선된 것은 아니다. 다양한 무용수들과 안무가들에 의해 발레 자체가 발전되고 있었다. 한 유명한 발레 마스터인 장 조르주 노베르는 18세기에 유럽각지에 있는 모든 극장에서 작업을 하였다. 그는 활기찬 마음가짐이 얼마나 예술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준 예이다. 그는 온갖 종류의 실용적인 아이디어들을 많이 갖고 있었다. 그 가운데 몇몇은 지금 완벽하게 수용되고 있어 그가 그러한 것들을 제안했었다는 것이 낯설게 느껴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그 당시에는 마임이나 얼굴 표정 그리고 움직임에 의해 하나의 성격을 표현해내는 대신에 그러한 성격을 나타내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관례처럼 되어있었다. 노베르는 이러한 관례를 무시해버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여전히 그에 대한 비평도 어느 정도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는 1760년에 출판된 무용과 발레에 관한 서한들에서 많은 발레 작품들의 경우에서 무용이 그저 무용을 위해 삽입되고 있다는 점을 개탄하였다. 왜냐하면 사실 그러한 식의 여흥은 결코 발레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여전히 위험스럽게도 무용을 위한 무용에 가까운 발레가 수업이 많다.
노베르는 발레란 눈을 통해 마음으로 전해지는 것이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다시 말해, 발레는 단순히 어렵고 흥미로운 스텝들을 과시하여 관객들의 박수갈채를 받거나 또는 관객들을 즐겁게 해주기 위해 교묘한 곡예적 춤을 보여주는 것보다 더 귀중한 목적을 갖고 있다는 뜻이다. 발레는 예술이며 예술은 곽객들에게 영감을 불러일으키고, 감동을 주며 그들을 사로 잡을 수 있어야만 한다. 즉, 예술은 우리들로 하여금 느끼는 것뿐만 아니라 생각하는 것까지 할 수 있게 만들어야 한다.
노베르 이후 19세기 초반, 발레는 왕자와 바다 요정 위리스와 같은 초자연적 존재들을 그린 지젤과 온디느의 이야기처럼 아주 로맨틱한 이야기에 바탕을 두기 시작했다. 그리고 발레리나들은 우리가 앞서 언급한 바 있는 로맨틱 튀튀를 입기 시작했으며, ‘발끝으로 춤’을 추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신발은 바느질로 약간만 앞을 튼튼하게 했다.예를 들어 최초로 실피드를 맡았던 마리 탈리오니는 아주 잠깐 동안, 요정 같은 가벼운 느낌을 줄 수 있을 만큼만 발끝으로 서 있었다. 그러나 점차로 신발의 앞부분은 ‘골에 의해 모양을 잡게 되면서’부터 알맞게 튼튼해졌고 그러면서부터 발레는 우리가 오늘날 볼 수 있는 발레에 보다 더 가까운 모습을 갖추기 시작했다.
낭만주의 시대의 발레에 대해 알기 위해서, 1841년 파리에서 초연된 지젤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작품의 이야기는 낭만주의 발레의 전형이다. 음악 역시 마찬가지이다. 아름답고 극적이며 듣기 편안한 유쾌한 멜로디들로 가득하다. 그리고 내용의 흐름을 잘 반영해준다. 안무 스타일 또한 이 시기의 그것을 잘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이야기를 전달하는 마임 장면들은, 주역 무용수들의 독무 또는 2인무와 군무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마임 장면들은 발레리나와 주연 무용수를 쉬게 하려는 의도로 만들어진 것이지만 그것들 역시 적절한 분위기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낭만주의 시대 다음 단계에는 잠자는 미녀와 같은 식의 발레가 속한다. 이 단계로의발전은 어느 면에서 똑바로 모양 잡힌 무용신발이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무용수들은 이 신발 덕분에 놀라울 만큼 뛰어난 기교를 보여줄 수 있었고 이러한 기술을 뽐내기 위해서 무대의상은 클래식 튀튀로 그 길이가 짧아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결과 윌리와 같은 비현실적인 존재들도 점차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이러한 새롭고 매혹적인 테크닉으로 가득찬 잠자는 미녀는 이야기 진행보다는 춤의 비중이 훨씬 더 크다. 이것은 지젤의 경우와 다르다. 음악은 낭만주의 시대의것 보다 더 수준이 높다. 아
노베르는 발레란 눈을 통해 마음으로 전해지는 것이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다시 말해, 발레는 단순히 어렵고 흥미로운 스텝들을 과시하여 관객들의 박수갈채를 받거나 또는 관객들을 즐겁게 해주기 위해 교묘한 곡예적 춤을 보여주는 것보다 더 귀중한 목적을 갖고 있다는 뜻이다. 발레는 예술이며 예술은 곽객들에게 영감을 불러일으키고, 감동을 주며 그들을 사로 잡을 수 있어야만 한다. 즉, 예술은 우리들로 하여금 느끼는 것뿐만 아니라 생각하는 것까지 할 수 있게 만들어야 한다.
노베르 이후 19세기 초반, 발레는 왕자와 바다 요정 위리스와 같은 초자연적 존재들을 그린 지젤과 온디느의 이야기처럼 아주 로맨틱한 이야기에 바탕을 두기 시작했다. 그리고 발레리나들은 우리가 앞서 언급한 바 있는 로맨틱 튀튀를 입기 시작했으며, ‘발끝으로 춤’을 추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신발은 바느질로 약간만 앞을 튼튼하게 했다.예를 들어 최초로 실피드를 맡았던 마리 탈리오니는 아주 잠깐 동안, 요정 같은 가벼운 느낌을 줄 수 있을 만큼만 발끝으로 서 있었다. 그러나 점차로 신발의 앞부분은 ‘골에 의해 모양을 잡게 되면서’부터 알맞게 튼튼해졌고 그러면서부터 발레는 우리가 오늘날 볼 수 있는 발레에 보다 더 가까운 모습을 갖추기 시작했다.
낭만주의 시대의 발레에 대해 알기 위해서, 1841년 파리에서 초연된 지젤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작품의 이야기는 낭만주의 발레의 전형이다. 음악 역시 마찬가지이다. 아름답고 극적이며 듣기 편안한 유쾌한 멜로디들로 가득하다. 그리고 내용의 흐름을 잘 반영해준다. 안무 스타일 또한 이 시기의 그것을 잘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이야기를 전달하는 마임 장면들은, 주역 무용수들의 독무 또는 2인무와 군무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마임 장면들은 발레리나와 주연 무용수를 쉬게 하려는 의도로 만들어진 것이지만 그것들 역시 적절한 분위기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낭만주의 시대 다음 단계에는 잠자는 미녀와 같은 식의 발레가 속한다. 이 단계로의발전은 어느 면에서 똑바로 모양 잡힌 무용신발이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무용수들은 이 신발 덕분에 놀라울 만큼 뛰어난 기교를 보여줄 수 있었고 이러한 기술을 뽐내기 위해서 무대의상은 클래식 튀튀로 그 길이가 짧아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결과 윌리와 같은 비현실적인 존재들도 점차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이러한 새롭고 매혹적인 테크닉으로 가득찬 잠자는 미녀는 이야기 진행보다는 춤의 비중이 훨씬 더 크다. 이것은 지젤의 경우와 다르다. 음악은 낭만주의 시대의것 보다 더 수준이 높다. 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