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커뮤니케이션 기술
㉡ 리더십 스타일
㉢ 지도와 동기 부여
㉣ 멘토링
㉤ 시간 관리
㉥ 목표 설정과 책임
㉦ 전략 계획
㉧ 직업윤리
㉨ 합의 도출
㉩ 팀워크
㉡ 리더십 스타일
㉢ 지도와 동기 부여
㉣ 멘토링
㉤ 시간 관리
㉥ 목표 설정과 책임
㉦ 전략 계획
㉧ 직업윤리
㉨ 합의 도출
㉩ 팀워크
본문내용
의 필요, 특히 이견을 가졌던 사람들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해결책의 발견을 의미하는 것으로, 타협이나 항복과는 다르다. 결정 과정에서 다른 사람들로부터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은 지도자에게 매우 중요한 덕목이다.
수행방법
①합의의 개념을 정리한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합의를 이끌어내야 했던 사례를 나눈다.
②공개적인 반대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장점을 토의한다. 이러한 장점 중에는 이슈에 대한 더 나은 분석, 그리고 관련자 모두가 자유롭게 의견을 말할 수 있는 분위기의 마련 등이 포함된다.
③합의 도출의 장점을 토의한다. 모든 구성원들에게 주인의식을 심어주고, 더 나은 해 결책의 발견을 가능하게 하는 것도 장점 중에 포함된다.
④합의 도출 과정을 설명한다.
1. 각 그룹이 희망하는 바를 열거한다.
2. 각 사람에게 결정적으로 중요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검토한다.
3. 새로운 해결책을 열거한다.
4. 이러한 해결책의 결과를 논의한다.
5. 가장 중요한 필요를 충족시키도록 해결책과 다른 결정들을 재조정한다.
㉩팀워크
공동체 활동에서 대부분의 과제는 팀워크로 이루어진다. 개인들이 함께 일을 잘 해낸다면 이들은 각자 일하는 것보다 훨씬 많은 것을 성취할 수 있다.
수행방법
①팀의 타입을 토의 한다.
유사 그룹: 팀원이 함께 일하기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공동의 목표에 기여하는 바가 없다.
전통 그룹: 팀원들이 함께 일하기로 동의했지만, 함께 일하는 데서 얻는 이점이 별로 없다.
고능률 그룹 : 탁월한 성과를 올리는 효율적인 팀이다.
②Tuckman의 팀 개발 단계를 참조한다.
※Tuckman model: 1965년 미국 심리학자인 Bruce Tuckman이 제안한 집단내의 관계설정모델4단계 (또는 5단계)모델 Forming, Storming, Norming, Performing, Adjourning
형성: 팀원들이 서로의 행동을 파악하고, 팀의 규칙과 가이드라인을 정하기 시작한다.
모색: 팀원들이 목표 달성 방법을 결정하는 데 적극적이 된다.
규범화: 팀원들이 자신감을 얻고, 결정을 내리기 시작하며, 행동에 책임을 진다.
수행: 단순한 개인의 집합체에서 진정한 팀으로 변모한다.
③팀 구축을 위한 전략을 토의한다.
상호 반응: 팀원들이 서로 친숙해지도록 미리 준비된 활동을 실시한다.
효과적인 회합: 모든 팀원들을 준비 및 결정 과정에 참여시킨다.
갈등 중재: 비판을 위한 비판이 아니라 건설적인 커뮤니케이션에 힘쓴다.
수행방법
①합의의 개념을 정리한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합의를 이끌어내야 했던 사례를 나눈다.
②공개적인 반대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장점을 토의한다. 이러한 장점 중에는 이슈에 대한 더 나은 분석, 그리고 관련자 모두가 자유롭게 의견을 말할 수 있는 분위기의 마련 등이 포함된다.
③합의 도출의 장점을 토의한다. 모든 구성원들에게 주인의식을 심어주고, 더 나은 해 결책의 발견을 가능하게 하는 것도 장점 중에 포함된다.
④합의 도출 과정을 설명한다.
1. 각 그룹이 희망하는 바를 열거한다.
2. 각 사람에게 결정적으로 중요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검토한다.
3. 새로운 해결책을 열거한다.
4. 이러한 해결책의 결과를 논의한다.
5. 가장 중요한 필요를 충족시키도록 해결책과 다른 결정들을 재조정한다.
㉩팀워크
공동체 활동에서 대부분의 과제는 팀워크로 이루어진다. 개인들이 함께 일을 잘 해낸다면 이들은 각자 일하는 것보다 훨씬 많은 것을 성취할 수 있다.
수행방법
①팀의 타입을 토의 한다.
유사 그룹: 팀원이 함께 일하기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공동의 목표에 기여하는 바가 없다.
전통 그룹: 팀원들이 함께 일하기로 동의했지만, 함께 일하는 데서 얻는 이점이 별로 없다.
고능률 그룹 : 탁월한 성과를 올리는 효율적인 팀이다.
②Tuckman의 팀 개발 단계를 참조한다.
※Tuckman model: 1965년 미국 심리학자인 Bruce Tuckman이 제안한 집단내의 관계설정모델4단계 (또는 5단계)모델 Forming, Storming, Norming, Performing, Adjourning
형성: 팀원들이 서로의 행동을 파악하고, 팀의 규칙과 가이드라인을 정하기 시작한다.
모색: 팀원들이 목표 달성 방법을 결정하는 데 적극적이 된다.
규범화: 팀원들이 자신감을 얻고, 결정을 내리기 시작하며, 행동에 책임을 진다.
수행: 단순한 개인의 집합체에서 진정한 팀으로 변모한다.
③팀 구축을 위한 전략을 토의한다.
상호 반응: 팀원들이 서로 친숙해지도록 미리 준비된 활동을 실시한다.
효과적인 회합: 모든 팀원들을 준비 및 결정 과정에 참여시킨다.
갈등 중재: 비판을 위한 비판이 아니라 건설적인 커뮤니케이션에 힘쓴다.
추천자료
경영과 컴퓨터
소설과 영화의 미적(美的) 차연(差延)
리더쉽에 관한 개념과 이론에 대한 고찰
신문의 과거, 현재, 미래
부부 성문제 상담법
의사공시권에 대한 결단주의적 관점'에 관한 소고
[마케팅전략] e브랜드 구축 전략
결과를 낳는 부하 만들기
[인도][인도중세어][인도근대어][인도힌디어]인도의 시기별 언어 특성, 인도 중세어의 음운, ...
[문제해결능력][문제해결력][문제해결학습]문제해결의 의미, 문제해결을 위한 단계, 문제해결...
3대 국제 광고제의 이해와 분석
[기술보급, 기술보급과 환경과학기술, 기술보급과 대체에너지, 기술보급과 식민지시대, 기술...
[기업관리][기업관계관리][기업인지도관리][기업브랜드관리]기업환위험관리(기업환리스크관리...
[유럽바로알기 1학년] 2013년 1월부터 2014년 2월에 이르는 동안 프랑스에서 일어난 사건이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