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의 과거, 현재, 미래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II.본론...

개요..
◎ 신문이란?
1. 사전적 의미의 신문
2. 신문이란
◎ 신문의 종류
◎ 신문의 기능과 역할
1. 보도기능
2. 여론형성 및 계도기능
3. 오락기능
◎ 신문의 내용
1. 기사
2. 사진
3. 만화
4. 광고
◎ 신문면지의 구성
◎ 신문제작인원
1. 편집국
2. 제작부서
3. 영업부서
◎ 신문제작과정
◎ 주요 용어
1. 가판
2. ABC제도
3. NIE

과거..
◎ 신문의 역사
1. 신문의 기원
2. 초창기 신문
3. 산업혁명기의 신문
4. 대중 신문 시대와 현대 신문
◎ 한국신문의 역사
1. 개화기의 신문
2. 일제 하의 신문
3. 미군정 시기의 신문
4. 자유당·민주당 시대의 신문
5. 군부독제·신군부 시대의 신문
6. 민주화 이후의 신문
◎ 신문제작과정의 변화(생략)

현재..
◎ 한국신문의 문제점
1. 구조적 문제점
2. 보도의 문제점(생략)

미래..
◎ 개선방안
1. 구도적 개선방안
2. 보도적 개선방안(생략)
3. 인터넷 신문 vs 오프라인 신문

III결론...

본문내용

할 조정이 일어나 신/구 매체 모두 생존할 수 있게 된다는 - 에 근거하여 볼때, 종이신문은 나름의 새로운 모습과 역할로 인터넷 신문과 공존하게 될 것이다. 인터넷 신문이 가지고 있지 않은 종이신문만의 장점을 생각해 볼 때,종이신문의 종말을 ‘벌써’ 논하는 것은 비약이다. 신문을 읽으려 컴퓨터를 들고 다닌다는 소리는 아직 나올 법한 이야기가 아니라는 것이다.
하지만 신문의 발전을 위해서는 독자적인 오프라인 신문만의 발전으로는 불가능하게 되었다. 방송과 인터넷의 발전으로 더 이상 독자적인 매체로만 성장할 수 있는 시대가 아니다. 이제는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함께 발전시키는 윈-윈(win-win)전략으로 새로운 신문의 미래상을 만들어야 만이 기존의 신문사들이 살아남을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은 비단 신문매체만의 문제가 아닌 인터넷이나 방송같은 타 매체들에게도 마찬가지이다. 여러 가지 다 매체가 발전하는 미래에는 하나만의 독자적인 위치로는 더 이상 발전할 수 없는 복합 미디어세상이 올 것 이다. 루퍼트 머독과 같이 다양한 매스컴을 소유하는 이들이 살아남고 독자적인 매체를 가진 사람들은 규모의 경제논리에 의해 사장되었던 것이 단지 남의 나라만의 일이 아니다. 어차피 독자와 시청자와 인터넷 이용자라는 것은 같은 집단을 매체별로 다르게 표현할 뿐이다. 다 매체 시대에 대중에게 여러 가지 다양한 면을 만족시키고 접근하는 언론사만이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성동규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나남, 2002
강태영, "신문경쟁: 한국 신문의 지면 경쟁과 수도권 보도", 삼성언론재단, 연세대학교
언론연구소 주최 '수도권 보도의 현황과 발전 방향' 세미나 자료집, 1997, 4.
김영호, "신문사주 비리와 소유구조 개혁", 언론개혁시민연대 긴급토론회 '신문사주 비리와
소유구조개혁 토론회 토론집, 1999, 10, 12.
문주용, "광고성 기획 기사 범람, 도둑맞는 지면", 신문과 방송, 1999년 6월.
박성득, "'푼돈'으로 경영해야 '싸구려'면한다", 신문과 방송, 1998년 3월.
손병기, "무리한 확장 결과 파는 만큼 손해, 원가절감 실현 후 올린다면 합당: 신문 구독료
얼마가 합당할까", 신문과 방송, 1998년 11월.
오두범, "한국의 신문산업", 한국언론연구원, 신문의 소유구조와 정책, 1997. 5.
이구현, "우리 나라 신문 광고비 성장률의 허구성 연구", 한국 언론학회 1996년 봄철 정기
학술 발표회 자료집, 1996. 5.
이혜갑, "4대 매체 광고요금 효율성 비교 연구", 광고학 연구, 한국광고학회, 제8권 1호
(1997년 6월).
장현철, "'고급지냐 대중지냐' 선택의 기로에", 신문과 방송, 1998년 3월.
정연구, "신문공판제와 ABC제도의 정착", 언론개혁시민연대 세미나 발표문, 1998. 8.
한국광고단체연합회, 광고계동향, 1998. 8.
한국광고주협회, KAA저널, 1997. 4.
한국방송광고공사, 영국의 방송광고, 1955.
한국언론연구원, 공동판매제 연구, 1996. 12.
한국언론연구원, 수용자 의식조사: 제8회 미디어의 영향과 신뢰도 조사, 1996. 11.
한국언론연구원, 한국신문 과당경쟁 구조와 개혁방안, 1996. 9.
황창욱, "데이터 제공 및 광고형태의 유연화를 통한 불황극복 노력",한국광고단체연합회, 광고계동향, 1998. 1.
이정춘, 현대사회와 매스미디어, 나남출판, 1990
이정춘, 언론학원론, 이진출판사, 2000
김승수, 한국언론산업론, 나남출판, 1995
임영호, 신문원론, 연암사, 2000
차배근, 커뮤니케이션학개론(下), 세영사, 1993
강호수, 정보사회와 매스컴, 이진출판사, 1998
김지용, 현장신문론, 쟁기출판, 1996
미첼 스티븐스 , 이광재 이인희 옮김, 뉴스의 역사, 황금가지
Anthony Smith 저, 최정호 공용배 옮김, 세계 신문의 역사, 나남, 1990
차배곤 오진환 정진석 이광재 임준수 신인섭 지음, 우리 신문 100년, 현암사. 2001
고혜련, 신문 취재와 기사작성, 중앙 M&B, 2001
이상철, 신문의 역사,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한국신문방송연감, 한국언론재단, 1999~2000
한국의 신문사업(2), 한국언론재단, 연구서, 1999
신문광고와 텔레비전광고 효과 비교, 한국언론재단, 연구서 2001-02
한국의 전문신문 (제 2회 실태조사), 한국언론재단, 조사분석 99-02
신문 공동판매제도 연구, 한국언론연구원, 1996. 12
신문의 소유구조와 정책-외국의 현황과 한국의 진로, 한국언론연구원, 1997. 5
한국 신문산업의 특성에 관한 연구, 신윤경, 1997
한국 신문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특화전략을 중심으로, 주은수,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1996
한국 인터넷신문의 종합정보기업화에 관한 연구, 최낙진, 중앙대 박사논문, 1999
<참고 웹사이트>
조선일보 http://www.chosun.com/
한겨레 http://www.hani.co.kr/
중앙일보 조인스 http://www.joins.com/
경향신문 미디어 칸 http://www.khan.co.kr/
국민일보 http://www.kukminilbo.co.kr/
동아일보 http://www.donga.com/
문화일보 http://www.munhwa.com/
세계일보 http://www.sgt.co.kr
한국일보 http://www.korealink.co.kr/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
다음미디어 http://media.daum.net/
네이버 http://www.naver.com/
한국 ABC 협회 http://www.kabc.or.kr/
한국언론학회 http://www.ksjcs.or.kr/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 http://www.donga1024.or.kr
한국신문협회 www.presskorea.or.kr
<첨부자료>
미디어월드와이드 제53호 <2003년 3월호>.
신문과 방송 388호<2003년 4월호>
미디어월드와이드 제55호<2003년 5월자>
원출처 : 시라이시 코지로, 'www.ojr.org/Japan' 2003년 3월 19일자
  • 가격3,000
  • 페이지수47페이지
  • 등록일2004.05.22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19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