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무재해 운동의 개요
가. 무재해 운동의 목적
나. 무재해 운동의 이념 및 3대 원칙
다. 무재해 운동의 추진
2. 근거 및 배경
가. 법적 근거 및 추진 배경
나. 수립 절차
3. 무재해 운동의 필요성
가. 필요성
나. 성과
다. 향후 전망
라. 무재해 운동 추진 우수사례
4. 결론
가. 무재해 운동의 목적
나. 무재해 운동의 이념 및 3대 원칙
다. 무재해 운동의 추진
2. 근거 및 배경
가. 법적 근거 및 추진 배경
나. 수립 절차
3. 무재해 운동의 필요성
가. 필요성
나. 성과
다. 향후 전망
라. 무재해 운동 추진 우수사례
4. 결론
본문내용
무재해 운동은 인간존중의 이념에서 출발
인간존중이란 한 사람 한 사람의 인간을 너, 나 할 것 없이 차별하지 않고 소중히 여김
추진 경과
1979년 9월 1일 : 노동부 지침으로 무재해 운동 시작
1980년 : 일본에서 전개하고 있던 도해를 이용한 위험예지훈련기법 도입
1989년 10월 1일 : 한국산업안전공단 설립으로 무재해 운동 업무가 노동부에서 한국산업안전공단으로 일부 이관
1992년 8월 21일∼1993년 8월 30일 : 무재해 운동을 전국민운동으로 확산코자 1천만 명 서명운동 전개
(대통령, 국무총리, 각 부처 장관, 종교계 대표 저명인사 등 총 10,097,609명 서명)
1997년 7월 1일 : 무재해 운동 업무가 노동부에서 한국산업안전공단으로 전환
인간존중이란 한 사람 한 사람의 인간을 너, 나 할 것 없이 차별하지 않고 소중히 여김
추진 경과
1979년 9월 1일 : 노동부 지침으로 무재해 운동 시작
1980년 : 일본에서 전개하고 있던 도해를 이용한 위험예지훈련기법 도입
1989년 10월 1일 : 한국산업안전공단 설립으로 무재해 운동 업무가 노동부에서 한국산업안전공단으로 일부 이관
1992년 8월 21일∼1993년 8월 30일 : 무재해 운동을 전국민운동으로 확산코자 1천만 명 서명운동 전개
(대통령, 국무총리, 각 부처 장관, 종교계 대표 저명인사 등 총 10,097,609명 서명)
1997년 7월 1일 : 무재해 운동 업무가 노동부에서 한국산업안전공단으로 전환
추천자료
가스기사 기출문제
- 소방방재청의 개청중심으로 -
[레포트] 투르크메니스탄의 에너지와 국제정치
[대구 지하철참사][대구 지하철참사 원인][대구 지하철참사 피해][대구 지하철참사 대책]대구...
녹색기후기금(GCF) 유치와 우리나라 기업들의 녹색경영전략
[공학윤리] 대구지하철 공사장 가스폭발 사고 - 문제설정을 위한 관점 설정 : 공사업체의 실...
가스계측기기 요점사항 정리 (계측기기의 설치 및 제어 목적, 계측기기의 구비조건, 단위, 오...
[아동건강교육] 영유아의 건강과 안전 _교통 안전, 화재 안전, 미디어 안전, 기타 안전에 관...
[숲과 삶 B형] 지구온난화에 따라 숲의 환경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지구온난화의 원인과 현상...
우리나라 위기관리(재난관리)사례 - 대구 상인동 가스폭발사고 &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a...
2018년 1학기 아동안전관리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8년 1학기 아동안전관리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노인 안전사고 예방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