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장애의 유형과 치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음성장애의 유형과 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음성장애의 종류
(1) 강도장애
(2) 음도장애
(3) 음질장애

2. 음성평가
(1) 음향학적 평가
(2) 공기 역학적 평가
(3) 청각, 인지적 평가
(4) 시각적 평가

3. 음성치료 촉진접근법

본문내용

설저모음, 유성자모음 등을 연습한다.
● 계층적 분석 : 최상의 음성이 산출되는 상황에서부터 불안에 대해 탈 조건화시킨다.
● 흡기발성 : 진성대 진동을 유도하는데 효과적인 발성법으로 가성대 발성을 하는 학생치료에 좋다.
● 차폐 : 음성강도를 조종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거나 특정상황에서 음질을 유지하는 데에 문제를 보이는 학생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기법으로 양쪽 귀를 차폐하여 음성 산출한다.
● 부적실행 :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도록 촉진한다. 고의적으로 예전의 발성법과 새로운 발성법을 대조적으로 평가한다.
● 구강개방접근법 : 입을 벌리지 않고 발화하여 구강 공명이 매우 약하거나 심한 음성장애가 있는 경우 실시한다. 머리를 앞으로 떨어뜨리고 입술과 턱을 약간 벌리도록 연습한다.
● 음도 억양 : 음도 조절의 부족에 대한 인식을 발달시키고, 단어를 말할 때 음도 변화의 범위를 점차 확장시킨다.
● 음성배치 : 발성의 초점을 후두에서 상부 음성관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구강공명을 향상시킨다.
● 밀기 접근법 : 손을 어깨 높이로 올려 벽을 밀거나, 의자 양옆을 잡고 자신을 의자에서 들어 올리면서 단속적으로 발성, 음도 및 강도가 좋아진다.
● 이완 : 몸, 목, 안면, 구강을 반복적으로 긴장, 이완시킨다.
● 호흡훈련 : 호흡과 호기의 조절에 문제가 있는 학생에게 필요한 빠른 흡기와 연장된 호기를 연습시킨다. 복식-횡경막 호흡을 지도한다.
● 음성휴식 : 수술 후 휴식을 취하거나 과기능성 음성장애 학생에게 매일 특정 시간동안 음성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 하품-한숨 접근법 : 입을 크게 벌려 하품 하듯이 깊이 숨을 들어 쉰 후 부드럽게 숨을 내쉬며 가벼운 발성하기 - 하품 후/ㅎ/이나 개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말하기 - 한 번 하품 후 발화의 길이 늘이기 - 하품 후 한번 쉬듯 이완된 상태로 길고 부드럽게 숨을 내쉬기 - 정상적인 흡기 후, 한숨을 내쉬면서 신음소리와 같은 약한 음성내기 - 약한 한숨을 /하/하고 내쉰 후 /아/모음과 연결하기 - 약한 한숨을 내쉰 후 다른 모음 발성하기 - 약한 한숨 후 성문음으로 시작되는 단어 발성하기 - 첨차 성문음이 아닌 다른 음으로 시작되는 낱말과 문장으로 확장하기 순이다.
참고문헌
아동심리와 상담 황 성원 김 경희 창지사
현장중심 상담 심리 정 효정외 파워북
채경선.김주아. 2007. 아동정신건강. 서울: 창지사
박선해.정현숙. 2006. 보육과정. 서울: 형성출판사
  • 가격2,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5.29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98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