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정서·행동치료의 개념과 특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지·정서·행동치료의 개념과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인지·정서·행동치료의 개관

2. 인간관
1) 인간본성의 관점
2) 인간정서의 관점
3) 성격의 생득적 경향

3. 인지·정서·행동치료의 원리
4. 인지, 정서, 행동치료의 특성

본문내용

시성에 의존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Ellis는 자신이 상담을 할 때는 점진적으로 적극적이며 지시적인 스타일을 실험하기 시작하였다.
6)심리교육적 접근을 지향한다.
REBT 상담에서는 교육적 접근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상담과정 중에 인지상담 이론과 개념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과 교육이 많이 들어간다. 그러므로 상담자에게 강력한 교사의 역할을 요구한다.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그가 지닌 문제의 본질과 과정에 대해서 교육한다. 특히 내담자 지신이 사고와 신념을 찾고 규정하고 평가하고 행동변화를 계획하도록 가르친다.
7) 상담의 단기 모델을 지향한다.
상담의 수요가 폭증하고 있는 현대의 사회적 상황과 내담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서 정신건강 분야의 전문가들은 그가 어떤 식의 이론적 모델을 가지고 상담이나 심리치료를 하든지 전통적인 장기 모델보다는 시간 제한적인 단기 모델을 지향하고 있다. 대부분의 인지행동적 상담 모형은 그 본질이 상담이 단기적 행태를 취하고 있다.
8) 상담회기의 구조화된 모델을 활용한다.
내담자가 지닌 문제가 무엇이든지 치료의 단계가 어떻든지 간에 REBT 상담에서는 각 회기 마다 구조를 설정하는 경향이 있다. 상담의 회기가 진행되는 경우에는 실제로 모든 구조를 다루기 어려우므로 내담자와 가장 긴급하고 중하게 논의되어야 할 사항을 정한다. 그리고 이 구조의 틀을 넘나드는 유연성이 중시된다.
참고문헌
아동심리와 상담 황 성원 김 경희 창지사
현장중심 상담 심리 정 효정외 파워북
채경선.김주아. 2007. 아동정신건강. 서울: 창지사
박선해.정현숙. 2006. 보육과정. 서울: 형성출판사
  • 가격2,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5.29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98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