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성 장애의 진단기준과 치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폐성 장애의 진단기준과 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진단기준

2. 임상 양상

3. 경과 및 예후

4. 치료적 접근

본문내용

이 소개되었지만, 그중 가장 유명한 방법이 응용행동분석(ABA: Applied Behavior Analysis)이다.

가정과 사회에서 살아가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삶의 기술습득이나, 또는 문제의 행동들을 바로 잡아주는 것이다. 특수교육은 거의 모든 자폐성 장애인에게 적용이 가능하고, 행동을 변화시키는데는 탁월하다. 그래서 많은 클리닉과 학교에서 이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외적 행동은 변하고 수정되어도 근본적인 변화나 치료가 적기 때문에 그 한계가 분명하다. 그래서 근래에는 특수교육도 치료를 목적으로한 특수교육을 중요시하고 있다. 한가지 예가 DIR/Floortime 이다.

즉, 특수교육을 하되 치료접근차원에서 하는 특수교육치료이다. 자폐성 장애가 발견되기 시작하는 시점에, 다시 말하면, 자폐성 장애가 점점 심해지는 시점에, 근본적인 문제들을 심도있게 교육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여러분께 또 하나의 새로운 치료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것은 자폐성 장애로 인해 일차적으로 고통받는 가정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장애인를 치료하는데 한계가 있다면, 차라리 그 가정을 통해서 치료하자는 것이다.

여기에는 주된 두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는 Support Group을 통한 가정지원방법, 둘째는 가정상담이다. 두가지 모두다 같은 개념으로서 가정이 장애를 더 깊이 있게 그리고 바르게 이해함으로써 넉넉히 이겨낼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첫째방법은 가정들끼리 서로 돕는 방법이고, 두번째 방법은 전문가가 상담을 통해 돕는 것으로, 단지 돕는 방법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자폐성 장애는 개인의 문제만이 아니라, 가정 전체에게 영향을 주는 장애이다. 가정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이겨내지 못하면, 가정 구성원 모두가 힘들어진다. 하지만, 가정이 장애를 이겨내고 품을 수 있다면, 가정안의 장애인도 제 기능을 하며 살아갈수 있게 된다.

적어도 가정안에서 만이라도. 필자의 의견으로는 이러한 가정치료방법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자폐성 장애가 발견되고 자녀를 치료하기 시작할 때부터 가정도 동시에 Support Group을 찾거나 전문적인 도움을 받기를 조언한다. 아니면, 가족 밖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느낄 때도 늦지 않았다고 본다.
요약하자면, 자폐성 장애의 치료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다양한 치료방법, 특수교육방법, 그리고 가정(을 통한) 치료방법이다. 이 세가지 모두가 중요하며, 어느것 하나 소홀히 할 수 없다. 그리고 보다 현명한 치료를 위해서는 장애인의 나이에 맞게 접근해야 한다. 나이가 어리면 어릴수록 치료방법에 중점을 두는 것이 좋다.

의술을 통해서든 특수교육을 통해서든 치료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그러나 Middle School 학생 정도의 나이라면, 치료보다는 교육에 초점을 두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가정이 하루 빨리 자폐성 장애를 올바르게 받아들이고, 대처할 때에 치료의 속도와 효과는 높아진다.

참고문헌
이 소현 박 은혜 특수아동교육론 학지사
특수아동교육의 이해 공주대학교 양서원
특수아동교육 박상희 동문사
  • 가격2,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5.29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99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