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 case 간호진단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①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② 문헌고찰

2. 간호사정
① 자료수집
② 진단검사
③ 약물
④ PTCA

3. 간호진단
#1 심근허혈과 관련된 흉통으로 나타나는 급성 통증
#2 낯선 환경과 관련된 불안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또한, 불안은 정신역동학에서 중심이 되는 개념으로 may는 불안을 “불확실하고 무력한 느낌과 관련되었으며 속성이 모호한 막연한 염려”라고 정의하였다.
인간에게 해로운 감정만은 아니며 조절할 수 있는 정도의 불안은 개인으로 하여금 변화하도록 자극하는 에너지인 동기요인이 될 수 있다.
(참고문헌)
1. 도복늠 외(2006), 최신 정신건강 간호학 각론, 정담미디어
2. 이광자 외(2006), 정신간호총론, 서울 : 수문사, p222~251
간호계획 Ⅱ
진단
번호
진단명 : 낯선 환경과 관련된 불안
장기목표 : 대상자는 불안이 감소된다.
단기목표
① 대상자는 시술일에 치료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중환자실에 있게 됨을 이해한다고
말한다.
② 대상자는 3일안에 불안척도(1~10점)를 4이하로 감소한다.
진단적 계획
Vital Sign을 check한다.
불안 척도 및 원인을 사정한다.
환자의 신체반응을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검사, 시술의 모든 절차를 설명 한다.
중환자실에서의 업무, 사용하는 기구, 치료과정 등에 관련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한다.
가능하면 환자에게 평안하고 조용한 환경을 제공한다.
가능한 한 자주 가족 구성원들이 환자와 접촉하도록 격려 한다.
환자와 가족을 정서적으로 지지 한다.
가능하면 신뢰감을 형성하기 위해 동일한 간호사가 지속적으로 간호를 제공한다.
입원, 진단, 결과에 관한 대상자의 느낌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불안을 경감하기 위해 필요시 처방된 안정제 및 항불안제를 투여한다.
환자와 간호사의 접촉을 일관성 있게 유지한다.
치료나 간호중재 시 이유를 설명해준다.
환자가 긍정적 사고와 발언을 하도록 지지한다.
환자가 특별히 두려워하는 것이 무엇인지 확인하여 치료적인 반응을 보인다.
교육적 계획
불안척도를 표현하게 교육한다.
이완요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환자에게 교육한다.
진단, 치료, 예후와 관련된 실제적인 정보에 교육한다.
간호수행 Ⅱ
진단
번호
수행
날짜
진단명 : 낯선 환경과 관련된 불안
수 행 내 용
#2
9/7
V/S은 BT:35.7℃-PR:95회/min-RR:26회/min, BP:157/83㎜Hg, SaO2 98%로
가스교환 장애로 인한 호흡곤란이 아니라 통증으로 인한 호흡곤란으로 사료된
다.
대상자에게 불안을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불안 척도에 대해 교육하였다.
대상자에게 중환자실로 오게 된 이유를 설명하였다.
대상자를 안심시키고 이완하도록 돕기 위해 질병에 대한 소책자를 제공하였다.
대상자는 설명에도 불구하구 불안해하여 진정제가 투여되었다.
대상자는 불안척도를 8점이라고 표한하였다.
9/8
V/S은 BT:36.4℃-PR:82회/min-RR:22회/min, BP:132/71㎜Hg로 정상적이었다.
대상자는 시술이 끝나서인지 불안 척도가 5점이라고 표현하였다.
대상자는 시술이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중환자실에 있어야함에 대해 인식하지
못하였다.
대상자는 설명에도 불구하고 불안해하여 진정제가 투여되었다.
9/9
V/S은 BT:36.6℃-PR:72회/min-RR:20회/min, BP:134/73㎜Hg로 정상적이었다.
대상자는 불안 척도가 3점이라고 말로 표현하였다.
대상자는 중환자실에 있는 것 자체가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여전히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지 못하였다.
간호평가 Ⅱ
진단
번호
평가
날짜
진단명 : 낯선 환경과 관련된 불안
간 호 평 가
#1
9/7
단기목표
① 대상자는 시술일에 치료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중환자실에 있게 됨을 이해한
다고 말한다.는 대상자는 질병의 정보제공과 중환자실 치료의 필요성에 대
해 설명하였으나 잘 이해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② 대상자는 3일안에 불안척도(1~10점)를 4이하로 감소한다.는 대상자가 불안
척도를 8점이라고 말함으로써 달성되지 못하였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불안이 감소된다.는 단기목표 1,2가 모두 달성되지 못하였으나
여러 상황들을 고려해 볼 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충분히 달성될 수 있을 것으
로 사료된다.
9/8
단기목표
① 대상자는 시술일에 치료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중환자실에 있게 됨을 이해한
다고 말한다.는 전일과 동일한 결과로 인식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달성되지
못하였다.
② 대상자는 3일안에 불안척도(1~10점)를 4이하로 감소한다.는 대상자가 불안
척도를 5점이라고 말함으로써 달성되지 못하였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불안이 감소된다.는 단기목표 1,2가 모두 달성되지 못하였으나
여러 상황들을 고려해 볼 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충분히 달성될 수 있을 것으
로 사료된다.
9/9
단기목표
① 대상자는 시술일에 치료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중환자실에 있게 됨을 이해한
다고 말한다.는 전일과 동일한 결과로 인식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달성되지
못하였다.
② 대상자는 3일안에 불안척도(1~10점)를 4이하로 감소한다.는 대상자가 불안
척도를 3점이라고 말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불안이 감소된다.는 단기목표 1이 달성되지 못하여, 부분적으로 달성
되었지만 여러 상황들을 고려해 볼 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충분히 달성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참 고 문 헌
손덕옥(2006), 심맥관장애 대상자 간호, 서울: 현문사, p72 ~ p105
서문자 외 (2004), 성인간호학Ⅲ, 서울: 수문사, p 1501 ~ p 1508
고성희 외 3인(2002).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서울 : 현문사
이정희 외 (2004). 최신임상간호메뉴얼(제7판), 서울 : 현문사
전시자 외, 제 3판 성인간호학 상 2 , 현문사, 2001
송미순 외, 진단적 검사와 간호, 현문사, 2001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현문사, 2003
심혈관계 해부와 생리
http://myhome.naver.com/ems119/paratext/cpr&bls.html
진단적 검사
http://blog.naver.com/pjkt?Redirect=Log&logNo=28516496
삼성의료원
http://www.smc.or.kr/health/11/h011-01.htm
너스케이프
http://www.nurscape.net/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08.12.19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02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