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 현대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근대 사회의 전개(1863~1910)
2. 민족 독립 운동의 전개(1910~1945)
3. 현대 사회의 발전(1945~)

본문내용

로 실업자 증가
노동
1980년대 남성노동자의 증가
6월 민주항쟁으로 노동 운동 확산→ 민주화 운동과 결합
1990년대: 전국조직 결성→한국 노총민주노총 양대 조직 체제 형성
통일
민족 화합 민주 통일 방안(1982)
북한의 수재 물자 제공(1984)
남북경제회담적십자 회담 등 개최, 남북한 이산 가족 고향 방문 및 예술 공연단 교환 방문(1985)
한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1989)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1991)
남북기본합의서(1991)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1991)
한민족 공동체 건설을 위한 3단계 통일 방안
비전향 장기수 송환
남북 정상 회담 개최 합의(김일성 사망으로 무산)
나진선봉 지구 자유시 건설 참여
한반도 에너지 개발 기구(KEDO)에 참여
‘햇볕정책’
2000 615 남북 공동 선언
경제협력: 금강산 관광 사업, 경의선 복구 사업, 개성 공단 설치 사업
북한
1980년대 후계체제공식화
고려 민주 연방 공화국 창립 방안제안(1980)
‘우리식 사회주의’표방→1994년 김일성 사망→유훈통치→1997권력 승계 공식화
1990년대 초부터는 제한적 개방정책(나진선봉 자유 무역 지대 설치 공포, 외국인 투자법제정, 신의주 경제 특구 지정)
  • 가격9,66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10.18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04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