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심 신라면 마케팅 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기업소개
♣Ⅱ. 제품 소개 및 선정 이유
♣Ⅲ. 환경 분석
♣Ⅳ. 전략
♣Ⅴ. 4P-mix 전략
♣Ⅵ. 농심의 중국 시장 마케팅
♣Ⅶ. 진단 및 의견

본문내용

있어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서포터즈의 활동으로 인해 중국을 필두로 전세계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는 농심의 글로벌 경영 전략을 기반을 삼을 수 있다고 평가한다.
(4) 제품 개발비에 투자
농심의 간판라면인 신라면은 해외수출에 따른 매출이 상당한 편이지만 현재 내수시장에서는 더 이상 기대할 것이 없다고 본다. 소비자의 기호가 다양해지는 트렌드에 따라 제품도 다양해지는 현 상황에서 농심은 다른 제품 개발을 위한 투자를 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특히 농심은 쌀국수 출시 이후 소비자들에게 좋은 호응을 얻고 있다. 농심 관계자는 "쌀국수 개발에 1년 간 약 500억원 이상의 연구개발비와 생산설비 투자를 진행, 올 7월에만 쌀 함량이 90%인 둥지쌀국수 짜장과 둥지쌀국수 카레를 출시했다"며, "10월에 출시된 둥지쌀국수 뚝배기가 시장을 주도하도록 적극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맛과 기술력으로 둥지쌀국수 뚝배기는 현재 전세계 70여개국에 수출되고 있으며, 대표제품인 신라면과 함께 국내시장은 물론 미국, 일본, 중국, 동남아, EU 등 해외까지 수출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전체적인 농심의 이익향상과 이미지쇄신을 위해 제품 개발비에 투자는 불가피하다고 본다.
3. 중국 라면시장의 현황
(1) 라면 시장의 높은 성장률, (2) 여러 나라 진출로 인한 경쟁
중국은 1990년대에 본격적인 라면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한 이래 현재 라면소비량이 연간 500억 개에 달한다. 이는 세계 라면 소비량의 절반에 해당하는 규모로, 중국이 세계 최대의 라면 소비국가로 부상했다는 것을 증명한다. 이 갚은 라면 소비량은 앞으로 폭발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중국에서는 라면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대만계와 일본계 제조업체가 중국업체와 시장을 놓고 한판 대결을 벌이고 있다. 한국의 라면도 이에 뒤질세라 결전 태세에 돌입하고 있다.
앞서 말한 듯이 중국의 연간 라면 소비량은 500억개라고 하지만 1인당 소비량으로 따지면 45개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나라에서 국민 한 사람이 먹는 라면이 연간 80개에 달하는 점을 감안하면 중국의 라면시장은 그만큼 잠재력이 크다는 뜻이다. 이 때문에 세계 라면 제조 업체들은 너나할 것 없이 중국에 뛰어들고 있다. 대표적인 업체는 대만계 캉스푸 퉁이와 일본의 니신 등이다. 이들은 아시아에서 둘째가라면 서러워할 정도의 대형 라면 제조업체다. 캉스푸는 시장 점유율 40%로 중국 라면시장을 휩쓸다시피 한다. 퉁이도 정유율 15%로 중국 내 세 번째 큰 제조업체로 부상했다. 일본 내 최대 제조업체인 니신은 중국에서 두 번째 큰 화룽과 손잡고 ‘화룽니신’라면을 만들어 시장 확대에 나서고 있다.
4. 중국 라면시장의 향후 대처방안
(1) 공격적인 마케팅
중국시장에서 신라면 브랜드 강화를 위한 다양한 마케팅 활동과 유통채널 확대 등 다각적인 사업 전략을 실시하여야 한다. 우선 제품 자체는 ‘한국의 매운맛’을 표준화 한 글로벌화 전략을 바탕으로, 프로모션은 철저히 중국인의 정서를 고려한 현지화 전략을 해야 한다. 앞서 일본과 인도네시아 등 해외 라면기업이 현지인들의 입맛에 맞춘 제품들을 출시했지만, 시장을 구축하지 못한 사례를 바탕으로 농심은 신라면의 차별화된 매운맛을 그대로 고수해 중국 시장 내 입지를 확고히 하는 것이 효과적인 중국시장을 겨냥한 전략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 중국 유명배우 ‘증지위’가 출연한 신라면 광고 >
1998년 중국 진출을 앞둔 농심은 남모를 고민에 빠졌다. `핵심 제품인 신(辛)라면을 어떻게 팔 것인가`였다. 매운 맛을 그리 달가워하지 않는 중국인들에게 매운 맛이 성공 포인트인 신라면을 팔아야 하는 상황. 고민을 거듭하던 마케팅 전략팀은 그들의 자존심을 건들기로 했다. "매운 맛을 먹지 못하면 사나이 대장부가 아니다(吃不了辣味非好漢)". 중국 모택동 전 주석의 "만리장성을 오르지 않고서는 사내대장부가 아니다(不到長城非好漢)"는 발언에서 힌트를 얻어 만든 광고다. 한국에서 주목받은 광고문구인 `사나이 울리는 신라면`의 중국 현지화이기도 하다.
중국 현지에 식품연구소도 구축해 중국 소비자의 입맛에 맞는 신제품을 개발 중이다. 카레라면과 김치라면, 김치비빔면 등 한국 제품을 현지 입맛에 맞게 바꿔 선보였으며, 현지 소비자 조사를 통해 차별화된 제품을 연구·개발해 중국의 핵심 시장을 공략한다는 계획이다.이 밖에 중국 내 도시들을 성장 정도와 속도 등을 기준으로 선별해 유통망 확장에도 힘을 쏟고 있다.
농심은 중국에서 신라면 고유의 맛은 살리되, 철저한 현지 전략을 전개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해야 할 과제를 앞두고 있다.
(2) 현지 유통망 확대
중국에서는 현대 대형 슈퍼체인과 할인점 열풍이 불고 있다. 징커룽, 톈커룽, 이커룽 등 중국 토종 슈퍼체인에 까르푸, 월마트, 프라이스클럽 등 외국계 대형 할인점까지 진출해 시장 싸움을 벌이고 있다. 이들 슈퍼체인과 대형 할인점에서 가장 치열한 싸움을 벌이는 상품 중 하나가 라면이다. 라면 제조업체들은 소비자의 손이 닿기 쉬운 진열대를 차지하기 위해 불꽃 튀는 신경전을 벌인다. 특히 베이징 왕징에 있는 대형 슈퍼마켓인 징커룽의 라면코너에서 가장 인기 있는 라면은 농심 ‘신라면’이다. 신라면은 언제부턴가 진열대의 맨 앞면을 차지하기 시작했다. 다른 라면보다 2배 이상 잘 팔린다. 신라면을 갖다 놓기가 바쁘게 없어지는 수준이다. 이런 신라면의 인기는 앞서 말한 철저한 현지화 전략과 공격적인 마케팅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결과이다.
신라면은 중국 현지 라면보다 가격이 2~3배 정도 비싼 고가 브랜드이기 때문에 경제 수준이 높은 동부지역 연안도시를 우선적으로 공략했으며 닝보, 우시, 우한과 같이 급속히 발전하는 도시들의 유통망을 추가적으로 개척하고 있다.
(3) 고품질 전략, 다른 제품 유통 (4) R&D센터 확충
중국 현지에 식품연구소도 구축해 중국 소비자의 입맛에 맞는 신제품을 개발 중이다. 카레라면과 김치라면, 김치비빔면 등 한국 제품을 현지 입맛에 맞게 바꿔 선보였으며, 현지 소비자 조사를 통해 차별화된 제품을 연구·개발해 중국의 핵심 시장을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 가격4,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2.06.02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09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