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므로 그대신 진동 각도를 최소한의 크기로 줄여서 실험해야 한다. 측정 회수를 늘려서 오차를 최소화 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비교대상을 9.8이 아닌 실험장소의 위도에 맞는 중력가속도 값과 비교하는 것이 조금이나마 더 오차를 줄이는 방법이 될 것으로 보인다.
3. 참고문헌
- 건국대 물리학과, 2003년, 일반물리학 실험, 북스 힐, 63~68p
3. 참고문헌
- 건국대 물리학과, 2003년, 일반물리학 실험, 북스 힐, 63~68p
키워드
추천자료
일반 물리 실험 복합진자 결과 레포트
물리진자의 주기-결과
동역학 단진자(Simple Pendulum) 실험
전자회로실험 결과보고서-연산증폭기를 이용한 미분기와 적분기
전자회로실험 결과보고서- 연산증폭기를 이용한 반전증폭기와 비반전증폭기
전자회로실험 결과보고서-버터워스 2차 저역통과 능동필터
[인장시험] 인장시험 - 공학적응력과 공학적 변형률, 탄성 계수와 탄성에너지율, 실험결과, ...
[일반물리실험] 중력가속도 측정
(결과) 실험 1-8. 진자의 운동 (물리진자, 비틀림 진자)
[Display 공학] TFT-LCD실험, 삼성, LG와 AUO Panel의 Optical Film 심층적분석 및 면저항 측정
기초전자물리학 2장결과_3장예비
9.물리진자
동영상 장비를 이용한 물리진자 (결과보고서)
[자연과학] 중력가속도의 측정 - 일반물리실험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