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시공, 충북대학교 중간고사 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공사계획에서 공기를 지배하는 요소 3가지에 대해 설명하시오.
2.공사 시공 방식에서 도급액의 결정 요인 (4가지를 설명하시오)
3.네트워크 공정표의 장•단점
5.보일링 현상과 파이핑 현상에 대해 약술 하시오.
6.기초시공하기 이전에 지반조사
7.잡석지정 & 말뚝지정 1)제자리 콘크리트 말뚝 중 CIP, MIP, PIP에 대해 설명하시오.
8.SPS공법 약술하시오.
9.철근콘크리트-라멘구조 약술하시오.
10.철근 배근 원칙 중 일반원칙에서 주근의 위치에 대해 설명하시오.

본문내용

-SPS 공법은 H-Beam 철골 스트러트의 설치 후 해체 과정에서 발생하는 단점을 개선하고자 발명된 공법.
SPS 공법은 흙막이를 지지하는 스트러트를 가설재로 하지 않고, 영구 구조물(철골 구조체)로 이용하여 굴토공사중에는 토압에 대해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슬래브 타설 후에는 연직하중에 대해서도 지지하게 하는 공법으로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음.
① 구조적 안정성 향상 ② 공기 단축
③ 원가 절감 ④ 시공성 향상
9.철근콘크리트-라멘구조 약술하시오.
기둥, 보, 바닥 슬래브의 3자를 기본요소로 하여 이들을 서로 강접합으로 연결 시킨 구조물을 라멘구조라 함. 경제성의 관점에서 보면 스팬 6-8m, 높이 6-7 층 정도가 적당. 층의 사무소건물이나 학교건물 등에 주로 사용.
10.철근 배근 원칙 중 일반원칙에서 주근의 위치에 대해 설명하시오.
(1) 주근의 위치
콘크리트내부에 철근을 배치하는 것을 배근이라 함.
철근은 대체로 인장 보강이 목적이기 때문에 그림과 같이 인장측에 배치하는 것이 원칙. 그러나 기둥이나 보에서는 조립 가공시의 작업성을 고려하여 압축측에도 철근을 배근하는 경우가 많음. 이 경우 압축측의 철근은 콘크리트의 강도를 보강해 주는 역할을 하며, 반대로 콘크리트는 철근이 좌굴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 이처럼 축방향력이나 휨모멘트를 부담하는 철근을 주근이라 함.
<주근의 위치>
최근에 와서는 현장에서 철근조립에 소요되는 품을 절약하기 위하여 철근을 공장에서 대부분 조립한 후 현장에서는 설치 또는 연결만 하는 선조립 방법도 사용.
* 건축구조의 종류

(1) 주체재료에 의한 분류
재료에 의한 분류
장 점
단 점
철근콘크리트
구조(RC)
내진, 내화, 내구
설계자유, 경제적
고층건물 적합
습식구조로서 공기가 길다.
균일시공곤란
자중이 크다.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SRC)
내진, 내화, 내구
고층 및 대건축에 적합
고가, 시공 복잡
공기 길다.
철골 구조(SS)
long Span에 적당
내진, 내풍
시공용이, 해체용이
공사비 고가
좌굴에 취약
비내화성
벽돌 구조
내구, 방한, 방서
방화, 외관장중
횡력에 약함
벽에 습기 참(결로)
목 구조
구조방법 간단
시공용이
미관미려
부패우려
내구력부족
비내화적
(2) 구성양식에 의한 분류
구 조 별
설 명

가구식 구조
(Post &Lintel)
목재, 강재 등 가늘고 긴 부재를 접합하여 뼈대를 만드는 구조로 부재접합부에 따라 구조강성이 결정된다.
목 구조
철골 구조
(※ 용접은 일체식 구조로
본다.)
조적식 구조
(Masonry)
개개의 재료를 접착재료로 쌓아 만든구조로 개개의 재료와 접착제 강도에 따라 전체 구조의 강도가 결정된다.
벽돌 구조
블록 구조
돌 구조
일체식 구조
(Monolithic)
전 구조체가 일체가 되도록 한 구조
철근콘크리트 구조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
조립식 구조
(Prefabricated)
주요 건축 뼈대를 공장에서 제작, 현장에 운반하여 짜맞춘 구조
알루미늄 커튼월조
조립식 철근콘크리트조
프리패브조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6.05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15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