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탈락 개념과 유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중도탈락의 개념과 유형
▶ Marrow의 중도탈락 청소년 유형 ··
2. 중도탈락의 원인 3. 중도탈락 청소년들의 문제점
4. 중도탈락 청소년을 위한 대안교육
▶ 부산 자유학교

Ⅲ 결 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다운 학교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Ⅲ결론
중도 탈락 청소년들을 위한 대안교육의 방안이 무엇이 있을까 고민을 하던 중 예전 내가 인상 깊게 본 다큐멘터리 속 부산 자유학교가 떠올랐다. 부산 자유학교를 다니는 학생들이 처음에 어떠한 이유로 입학을 했던 지간에 졸업할 때는 모두가 따뜻한 마음을 가진 성인이 되어 학교를 떠나는 것 같았다. 이는 교육제도와 교사, 학생이 모두 조화가 되었을 때 비로소 교육다운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학교가 해야할 일은 공부뿐만 아니라 인성역시 길러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 공부만을 강요할 것이 아니라 내가 진짜 잘 할 수 있는 일, 즐겁게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탐색할 기회를 주고 찾을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또한 부산 자유학교의 선생님들처럼 학생들을 틀린 것이 아니라 다른 것이라고 바라볼 줄 아는 자세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즉, 편견을 버려야 한다는 것이다. 비록 화면 속이지만 대안교육을 받는 학생들을 만나보니 어떤 교사를 만나느냐에 따라 학생의 성품과 태도가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생 또한 자유학교에 들어와서 자신이 많이 바뀌었다고 말하는 장면을 보았을 때 교사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다시 한 번 깨달았다. 틀에 박힌 교육보다는 정말 필요한 교육만을 하는 것이 더 올바른 교육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부산 자유학교는 대안학교뿐만 아니라 일반 학교에서도 일부분을 받아들인다면 우리나라의 교육이 좀 더 발전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입시 위주의 공교육으로 인해 인간적인 교육과는 점차 거리가 멀어지고 있는 것이 우리나라의 교육이다. 이로 인해 중도 탈락하는 학생들이 증가했다. 중도 탈락하는 청소년들을 위해서 대안학교가 많아지고 대안교육이라는 말과 제도가 생겨났다. 그렇기 때문에 대안교육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사랑과 관심이라고 생각한다. 대안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학교들은 대부분 이 점이 잘 지켜지고 있는 것 같다. 이전에 공교육 제도의 학교에서 학생들을 따뜻한 사랑과 지속적인 관심으로 대했다면 대안교육이 필요했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 씁쓸하기도 하다.
누군가가 그랬듯이 교육이 곧 미래다. 우리 사회의 밝은 미래를 위해 우리나라의 교육이 인간적이고 올바른 교육으로 발전하기를 소망해본다.
Ⅳ참고자료
MBC HD 다큐 - 교육이 미래다 3부
부산 자유학교 홈페이지 http://www.free-school.or.kr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6.08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23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