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전경제학의 윤리적 인간상
2. 아담스미스의 국부론에서의 태도
3. 조화와 균형의 법칙
2. 아담스미스의 국부론에서의 태도
3. 조화와 균형의 법칙
본문내용
. 선한 왕이 나타나 선한 정치를 베풀면 다행이나, 악한 왕을 만나면 혁명을 일으킬 힘이 없는 한 별 도리 없이 고통을 받으며 자신의 불운을 탓하는 수밖에 없었다.
뿐만 아니라 통치자들은 다스리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백성들이 문자를 배운다던가 철학이나 역사 등 자아의식을 계발하고 인간을 지혜롭게 만드는 학문을 익히지 못하도록 하는 우민정책을 실시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왕은 기본적인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삼강오륜(三綱五倫)과 같이 어리석은 백성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간단한 원칙만 정해놓고 이것을 왕의 이름으로 백성들에게 주입시키며 개별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왕 또는 왕의 대리자인 관료나 귀족이 대신 판단을 내려주었다.
왕이나 귀족이 지속적으로 백성을 위해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은 이들도 이기심을 가진 인간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기대하기 어렵다. 이러한 사상이 지배하는 사회에서 고도의 자본주의가 발전하기는 어렵다. 경제가 어느 정도의 수준에 이르러 국민 개개인이 스스로 판단할 수 있을 만큼 교육을 받고 생존 자체가 삶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되지는 않을 정도로 여유가 있는 사회가 되어야 자본주의와 민주주의가 발달하는 것은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치자들은 다스리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백성들이 문자를 배운다던가 철학이나 역사 등 자아의식을 계발하고 인간을 지혜롭게 만드는 학문을 익히지 못하도록 하는 우민정책을 실시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왕은 기본적인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삼강오륜(三綱五倫)과 같이 어리석은 백성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간단한 원칙만 정해놓고 이것을 왕의 이름으로 백성들에게 주입시키며 개별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왕 또는 왕의 대리자인 관료나 귀족이 대신 판단을 내려주었다.
왕이나 귀족이 지속적으로 백성을 위해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은 이들도 이기심을 가진 인간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기대하기 어렵다. 이러한 사상이 지배하는 사회에서 고도의 자본주의가 발전하기는 어렵다. 경제가 어느 정도의 수준에 이르러 국민 개개인이 스스로 판단할 수 있을 만큼 교육을 받고 생존 자체가 삶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되지는 않을 정도로 여유가 있는 사회가 되어야 자본주의와 민주주의가 발달하는 것은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