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글맞춤법의 띄어쓰기에 대하여
- 일반적 띄어쓰기 관행
-그 밖의 띄어쓰기 관행
-. 띄어쓰기의 오류
※<한글맞춤법>과 <한글맞춤법 통일안>에 대하여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제정은 어떻게 이루어졌을까?
-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개정절차는?
-<한글맞춤법>과 <한글맞춤법통일안>은 무엇이 다를까?
<한글맞춤법>과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비교
※국어사전의 표제어에 대하여
- 일반적 띄어쓰기 관행
-그 밖의 띄어쓰기 관행
-. 띄어쓰기의 오류
※<한글맞춤법>과 <한글맞춤법 통일안>에 대하여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제정은 어떻게 이루어졌을까?
-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개정절차는?
-<한글맞춤법>과 <한글맞춤법통일안>은 무엇이 다를까?
<한글맞춤법>과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비교
※국어사전의 표제어에 대하여
본문내용
-하다, - 거리다’
제 23 항: ‘-하다, -거리다’→‘-이’ 파생명사
cf.(붙임): ‘-하다,-거리 다’가 붙지 못하는 것
제 21 항 2. cf. 1은 부사
제 22 항: 유형별로 구분
‘-이다’
제 24 항: ‘-거리다’→‘-이다’
제 24 항: ‘-이다’
‘-이/히’
제 25 항: ‘-이/히’부사
제 21 항 1. cf.2는 명사임
‘-하다, -없다’
제 26 항: 1. ‘-하다’
26.2. ‘-없다’
제 23 항: ‘-하다’만
제 27 항 (붙임): ‘-없다’
합성ㆍ파생어
제 4 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 27 항: 합성어, 접두 파생어의 원형
cf. (붙임 3) ‘이→니’
제 7 절 품사 합성
제 28 항: (붙임 3)의 ‘이→니’는 없음
‘ㄹ’ 탈락
제 28 항: ‘ㄹ’→0
제 29 항: ‘ㄹ’→0
‘ㄹ’→‘ㄷ’
제 29 항: ‘ㄹ’→‘ㄷ’
*
사이시옷
제 30 항: 순 우리말 합성어, 순 우리말과 한자어의 합성어, 두 음절로 된 한자어(6개만)
ㄱ.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된 것
ㄴ. ‘ㄴ’소리가 덧나는 것
제 30 항: 윗말의 끝소리가 자음일 때에 된소리로 발음되면 사이시옷 사용
‘ㅂ’, ‘ㅎ’
제 31 항: ‘ㅂ’이나 ‘ㅎ’소리가 덧나는 것
제 31 항
모음 탈락
제 5 절 준말
제 32 항: 단어 끝 모음 탈락→앞 음절의 받침
제 5 장 준말
제 52 항
체언과 조사
제 33 항: 체언과 조사의 축약→준대로 적음
제 53 항
모음 축약
제 34 항: ‘ㅏ,ㅓ\' + ’-아/어;-았/었-‘
cf. (붙임1): ‘애,에’ + ‘- 어,-었-’
(붙임2): ‘하여’→‘해’
제 55 항 2.
*
*
모음 축약
제 35 항: ‘ㅗ,ㅜ’ + ‘-아/어:-았/었-’
cf. (붙임1):‘놓아’→‘놔’
(붙임2):‘외’ + ‘-어, 었-’
제 36 항: ‘ㅣ’ + ‘-어’→‘ㅕ’
제 37 항: ‘ㅏ,ㅕ,ㅗ,ㅜ, ㅡ’ + ‘-이-’
제 38 항: ‘ㅏ,ㅗ,ㅜ,ㅣ’ + ‘-이어’
제 39 항: ‘잖’, ‘찮’
제 40 항: ‘하’의 ‘ㅏ’탈락→거센 소리로
cf.(붙임1): ‘ㅎ’을 어간 끝소리로
(붙임2): ‘하’의 탈락
(붙임3): 부사의 경우
제 55 항 2.
*
*
제 55 항 4.
제 55 항 1. ‘ㅡ’ + ‘-이-’
제 55 항 3. ‘ㅗ,ㅡ’ + ‘-이어,-이었’
*
제 56 항: \'ㅎ‘을 그 자리에 두거나 윗 음절의 받침으로
*
*
제 57 항
띄어쓰기
제 5 장 띄어쓰기
제 7 장 띄어쓰기
조사
제 1 절 조사
제 41 항: \'명사, 부사‘+’조사‘
제 61 항:용언의 어간과 어미 포함.
cf. \'다만‘: 의존명사 붙여쓰기 허용
의존 명사
제 2 절 의존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및 열거하는 말 등
제 42 항: 띄어 쓴다
*
단위
제 43 항: 띄어 쓴다
cf.‘다만’: 붙여쓰기 허용
제 61 항:\'다만‘
제 61 항 ‘다만’: 띄어쓰기 허용
수
제 44 항:만(萬)단위로
제 62 항: 십진법에 따라
연결어
제 45 항:띄어 쓴다
*
단음절 단어
제 46 항:붙여쓰기 허용
제 61 항:\'다만‘
보조 용언
제 3 절 보조용언
제 47 항: 붙여 쓰기 허용
*
성명, 호칭어
제 4 절 고유명사 및 전문용어
제 48 항: 성과 이름, 성과 호는 붙여쓴다.
호칭어, 관직명: 띄어 쓴다
제 63 항: 띄어 쓴다
성명 이외
제 49 항: 붙여 쓰기 허용
제 63 항: 띄어 쓴다
전문 용어
제 50 항: 붙여 쓰기 허용
*
‘이’와 ‘-히’
제 6 장 그 밖의 것
제 51 항: ‘이’로 발음되는 것만 ‘-이’로
*
cf. 제 12 항 2. 제 14 항 1. 제 21항 7. 부록 5 참조
본음ㆍ속음
제 52 항: 소리에 따라
제 47,48,49,40,51항
어미
제 53 항: 예사소리로 표기하는 경우와 된소리로 표기하는 경우
보유 첫째: 구분은 따로 하지 않음
접미사
제 54 항: 된소리 표기 접미사
*
어휘
제 55 항: ‘맞추다, 뻗치다’
제 56 항:\'-더라, -던, -든지‘
*
보유 둘째: ‘-든’으로 통일
동음 이의어
제 57 항
*
부록
부록: 문장 부호
규정 보완, 불필요한 부호 삭제
부록: 문장 부호
39개 항의 나열
1. *표는 <한글맞춤법 통일안>에는 없는 조항임.
2. <한글맞춤법 통일안> 총론 2의 표준어에 관한 규정은 따로 <표준어 규정>이 마련됨으로써 삭제됨.
3. <한글맞춤법 통일안>에 있던 제 33,34,37,38,40,41,45,46,47,48,50,51항 등은 <한글맞춤법>에서는 제외됨.
4. <한글맞춤법 통일안>에 항 표시만 한 것은 <한글맞춤법>의 내용과 큰 차이가 없음을 의미함.
★ 참고문헌 ★
ㆍ이희승, 안병희, “한글맞춤법 강의”, 신구문화사, 1989.
_ “고친판 한글맞춤법 강의”, 신구문화사, 1994.
ㆍ연규동, “통일시대의 한글맞춤법”, 박이정, 1998.
ㆍ이은정, “국어학ㆍ언어학 용어사전”, 국어문화사, 1994.
※국어사전의 표제어에 대하여
1.사서론과 사서의 종류
국어학의 활용방법 : 사서론(사서편찬)
- 사전의 목적: 예상되는 이용자의 요구에 맞게 설정함으로써 그 사전의 종류가 결정됨.
- 사전은 표제어의 선정과 주석의 방법을 기준으로 분류
∴ 사전은 한때 자전이라고 불리었으나 이 것은 한자의 자서를 나타내는 것임.
¤ 우리나라 사전의 역사.
- 예전에는 자서와 유서로 구분했음.
∞ 자서 : ① 성음을 주로하는 음인자서
② 형체 결구와 용법을 주로하는 획인자서
③ 의미를 주로하는 유인자서
∝ 유서 : 소학이라고도 하는 자서에 대한 사전(事典)에 해당하는 것임.
▷ 예전에 우리의 국어사전이 존재하지 않고 위의 자서와 유서가 행해짐.
▶ 오늘날은 갈수록 더 많은 종류의 사전이 요구되고 있으며 전문화됨.
2. 사전과 표의어 선정
1) 사전편찬의 기본태도
대부분의 사전 편찬자는 순정한 용어만을 골라 그 모범적 의미를 기록하고 권위있는 용법을 규정함으로써 당대의 언어를 고정시키는 규범적 태도를 취하고 있다.
① 사전이 국가주의를 표방하는 문제 : 순수하게 객관적이기보다 다소간 국가주의로 지향.
같은 언어라도 국가가 다르면 언어분화의 이치에 따라 기준어와 철자법 및 의미용법등이
달라지기
제 23 항: ‘-하다, -거리다’→‘-이’ 파생명사
cf.(붙임): ‘-하다,-거리 다’가 붙지 못하는 것
제 21 항 2. cf. 1은 부사
제 22 항: 유형별로 구분
‘-이다’
제 24 항: ‘-거리다’→‘-이다’
제 24 항: ‘-이다’
‘-이/히’
제 25 항: ‘-이/히’부사
제 21 항 1. cf.2는 명사임
‘-하다, -없다’
제 26 항: 1. ‘-하다’
26.2. ‘-없다’
제 23 항: ‘-하다’만
제 27 항 (붙임): ‘-없다’
합성ㆍ파생어
제 4 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 27 항: 합성어, 접두 파생어의 원형
cf. (붙임 3) ‘이→니’
제 7 절 품사 합성
제 28 항: (붙임 3)의 ‘이→니’는 없음
‘ㄹ’ 탈락
제 28 항: ‘ㄹ’→0
제 29 항: ‘ㄹ’→0
‘ㄹ’→‘ㄷ’
제 29 항: ‘ㄹ’→‘ㄷ’
*
사이시옷
제 30 항: 순 우리말 합성어, 순 우리말과 한자어의 합성어, 두 음절로 된 한자어(6개만)
ㄱ.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된 것
ㄴ. ‘ㄴ’소리가 덧나는 것
제 30 항: 윗말의 끝소리가 자음일 때에 된소리로 발음되면 사이시옷 사용
‘ㅂ’, ‘ㅎ’
제 31 항: ‘ㅂ’이나 ‘ㅎ’소리가 덧나는 것
제 31 항
모음 탈락
제 5 절 준말
제 32 항: 단어 끝 모음 탈락→앞 음절의 받침
제 5 장 준말
제 52 항
체언과 조사
제 33 항: 체언과 조사의 축약→준대로 적음
제 53 항
모음 축약
제 34 항: ‘ㅏ,ㅓ\' + ’-아/어;-았/었-‘
cf. (붙임1): ‘애,에’ + ‘- 어,-었-’
(붙임2): ‘하여’→‘해’
제 55 항 2.
*
*
모음 축약
제 35 항: ‘ㅗ,ㅜ’ + ‘-아/어:-았/었-’
cf. (붙임1):‘놓아’→‘놔’
(붙임2):‘외’ + ‘-어, 었-’
제 36 항: ‘ㅣ’ + ‘-어’→‘ㅕ’
제 37 항: ‘ㅏ,ㅕ,ㅗ,ㅜ, ㅡ’ + ‘-이-’
제 38 항: ‘ㅏ,ㅗ,ㅜ,ㅣ’ + ‘-이어’
제 39 항: ‘잖’, ‘찮’
제 40 항: ‘하’의 ‘ㅏ’탈락→거센 소리로
cf.(붙임1): ‘ㅎ’을 어간 끝소리로
(붙임2): ‘하’의 탈락
(붙임3): 부사의 경우
제 55 항 2.
*
*
제 55 항 4.
제 55 항 1. ‘ㅡ’ + ‘-이-’
제 55 항 3. ‘ㅗ,ㅡ’ + ‘-이어,-이었’
*
제 56 항: \'ㅎ‘을 그 자리에 두거나 윗 음절의 받침으로
*
*
제 57 항
띄어쓰기
제 5 장 띄어쓰기
제 7 장 띄어쓰기
조사
제 1 절 조사
제 41 항: \'명사, 부사‘+’조사‘
제 61 항:용언의 어간과 어미 포함.
cf. \'다만‘: 의존명사 붙여쓰기 허용
의존 명사
제 2 절 의존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및 열거하는 말 등
제 42 항: 띄어 쓴다
*
단위
제 43 항: 띄어 쓴다
cf.‘다만’: 붙여쓰기 허용
제 61 항:\'다만‘
제 61 항 ‘다만’: 띄어쓰기 허용
수
제 44 항:만(萬)단위로
제 62 항: 십진법에 따라
연결어
제 45 항:띄어 쓴다
*
단음절 단어
제 46 항:붙여쓰기 허용
제 61 항:\'다만‘
보조 용언
제 3 절 보조용언
제 47 항: 붙여 쓰기 허용
*
성명, 호칭어
제 4 절 고유명사 및 전문용어
제 48 항: 성과 이름, 성과 호는 붙여쓴다.
호칭어, 관직명: 띄어 쓴다
제 63 항: 띄어 쓴다
성명 이외
제 49 항: 붙여 쓰기 허용
제 63 항: 띄어 쓴다
전문 용어
제 50 항: 붙여 쓰기 허용
*
‘이’와 ‘-히’
제 6 장 그 밖의 것
제 51 항: ‘이’로 발음되는 것만 ‘-이’로
*
cf. 제 12 항 2. 제 14 항 1. 제 21항 7. 부록 5 참조
본음ㆍ속음
제 52 항: 소리에 따라
제 47,48,49,40,51항
어미
제 53 항: 예사소리로 표기하는 경우와 된소리로 표기하는 경우
보유 첫째: 구분은 따로 하지 않음
접미사
제 54 항: 된소리 표기 접미사
*
어휘
제 55 항: ‘맞추다, 뻗치다’
제 56 항:\'-더라, -던, -든지‘
*
보유 둘째: ‘-든’으로 통일
동음 이의어
제 57 항
*
부록
부록: 문장 부호
규정 보완, 불필요한 부호 삭제
부록: 문장 부호
39개 항의 나열
1. *표는 <한글맞춤법 통일안>에는 없는 조항임.
2. <한글맞춤법 통일안> 총론 2의 표준어에 관한 규정은 따로 <표준어 규정>이 마련됨으로써 삭제됨.
3. <한글맞춤법 통일안>에 있던 제 33,34,37,38,40,41,45,46,47,48,50,51항 등은 <한글맞춤법>에서는 제외됨.
4. <한글맞춤법 통일안>에 항 표시만 한 것은 <한글맞춤법>의 내용과 큰 차이가 없음을 의미함.
★ 참고문헌 ★
ㆍ이희승, 안병희, “한글맞춤법 강의”, 신구문화사, 1989.
_ “고친판 한글맞춤법 강의”, 신구문화사, 1994.
ㆍ연규동, “통일시대의 한글맞춤법”, 박이정, 1998.
ㆍ이은정, “국어학ㆍ언어학 용어사전”, 국어문화사, 1994.
※국어사전의 표제어에 대하여
1.사서론과 사서의 종류
국어학의 활용방법 : 사서론(사서편찬)
- 사전의 목적: 예상되는 이용자의 요구에 맞게 설정함으로써 그 사전의 종류가 결정됨.
- 사전은 표제어의 선정과 주석의 방법을 기준으로 분류
∴ 사전은 한때 자전이라고 불리었으나 이 것은 한자의 자서를 나타내는 것임.
¤ 우리나라 사전의 역사.
- 예전에는 자서와 유서로 구분했음.
∞ 자서 : ① 성음을 주로하는 음인자서
② 형체 결구와 용법을 주로하는 획인자서
③ 의미를 주로하는 유인자서
∝ 유서 : 소학이라고도 하는 자서에 대한 사전(事典)에 해당하는 것임.
▷ 예전에 우리의 국어사전이 존재하지 않고 위의 자서와 유서가 행해짐.
▶ 오늘날은 갈수록 더 많은 종류의 사전이 요구되고 있으며 전문화됨.
2. 사전과 표의어 선정
1) 사전편찬의 기본태도
대부분의 사전 편찬자는 순정한 용어만을 골라 그 모범적 의미를 기록하고 권위있는 용법을 규정함으로써 당대의 언어를 고정시키는 규범적 태도를 취하고 있다.
① 사전이 국가주의를 표방하는 문제 : 순수하게 객관적이기보다 다소간 국가주의로 지향.
같은 언어라도 국가가 다르면 언어분화의 이치에 따라 기준어와 철자법 및 의미용법등이
달라지기
키워드
추천자료
'조사와 의존명사의 띄어쓰기'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
국어교육의 목표와 성격
[창의적 국어 사용 능력]창의적 국어 사용 능력 향상 방안(창의적인 국어 사용 능력 향상 방...
국어교사의 임무와 내가 지향하는 교사상 - 국어교사, 임무, 교사상, 지향
국어교육의 이해 요약정리
고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의 성격, 고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의 목표, 고등학교 국어과(국...
중학교(중등) 국어교육(국어과) 내용구성, 중학교(중등) 국어교육(국어과) 수준별교육과정 편...
국어교과서(국어과교과서)의 성격, 국어교과서(국어과교과서)의 기능, 국어교과서(국어과교과...
[학습평가][교육평가][수학][국어][과학][도덕][실과][음악][체육]수학교육 학습평가, 국어교...
[교육평가][국어과교육][수학과교육][사회과교육][과학과교육][도덕과교육][체육과교육]국어...
국어 지식 영역의 교수 학습에 있어서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
고등 학교 문법 교과서 검토
어휘 능력과 학교 교육과정 (어휘 능력의 중요성, 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어휘 능력 및 어휘 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