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장애인 특수교육
2
2
2
3
8
1. 장애아동의 정의
1) 장애인 복지법에서의 정의
2) 특수교육진흥법에서의 정의
2. 장애아동의 욕구
3. 장애아동을 위한 교육정책
4. 특수교육의 현황
1) 특수학교
2) 2011년 특수학급 주요 현황
3) 일반학급 내 특수교육
4) 2011년 특수교육의 실태
5) 교육지원 정책
5. 특수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
9
9
10
11
11
11
Ⅱ. 장애인 통합교육
1. 장애인 통합교육이란?
2. 장애인 통합교육의 현실
3. 통합교육의 필요성
4. 통합교육의 문제점 및 반대이유
5. 대책
6. 특수학급 통합교육의 발전적 모색
2
2
2
3
8
1. 장애아동의 정의
1) 장애인 복지법에서의 정의
2) 특수교육진흥법에서의 정의
2. 장애아동의 욕구
3. 장애아동을 위한 교육정책
4. 특수교육의 현황
1) 특수학교
2) 2011년 특수학급 주요 현황
3) 일반학급 내 특수교육
4) 2011년 특수교육의 실태
5) 교육지원 정책
5. 특수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
9
9
10
11
11
11
Ⅱ. 장애인 통합교육
1. 장애인 통합교육이란?
2. 장애인 통합교육의 현실
3. 통합교육의 필요성
4. 통합교육의 문제점 및 반대이유
5. 대책
6. 특수학급 통합교육의 발전적 모색
본문내용
이 이후에 교육운동으로 번지면서 생겨난 교육방법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94년 시행되기 시작했으며, 현재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도 시행 중이다. 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완전 통합교육, 즉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모든 과목을 한 교실에서 똑같이 배우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여러 여건상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부분 통합교육만 이루어지고 있다. 즉 장애학생의 장애 정도와 학습 능력에 따라 일반 학생과 같이 수업을 들을 수 있는 과목은 통합 교육의 수업을 받도록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학교에 설치된 특수 학급에서 장애학생끼리 수업을 받게 하는 것이다.
* 통합 의미
① 장애아와 일반아를 함께 보육하는 것이고
② 의료, 복지, 교육등의 관련분야와의 연계에 의한 보육이다.
2. 장애인 통합교육의 현실
- 이제 시행된 지 10년이 넘었지만 우리나라의 통합교육은 아직도 걸음마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선생님들과 관련돼 있다. 대부분의 선생님들은 장애 학생의 이해할 수 없는 언행에 인내의 한계를 느끼며 때때로 분노하게 된다. 다른 많은 학생들을 가르치며 장애학생에게 제대로 된 수업을 한다는 것은 분명 힘든 일이다.
하지만 학부모의 입장에서는 선생님들의 하소연은 특수교육을 모르는 데서 오는 한계일 뿐이다. 실제로 특수교육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일반 교사들의 특수교육에 대한 재교육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장애학생들이 때때로 보여주는 납득할 수 없는 행동들이 장애로 인한 것임을 인식하고 참고 고쳐질 수 있도록 교육해 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어떤 전문가는 과거 초등학교 영어교육을 실시하면서 전체 초등학교 선생님들에게 영어 교육 연수를 했듯이 모든 선생님들에게 특수교육 연수를 실시할 것을 주장하기도 한다.
다음으로 통합교육을 위해 꼭 필요한 특수학급이 설치되지 않은 학교가 아직도 많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특히 상급학교로 진학할수록 특수학급이 있는 학교가 아주 적어지기 때문에 통합교육을 받아오던 학생들도 통합교육을 포기하고 특수학교로 가거나, 아예 학업을 포기하는 경우도 있다. 몇 시간씩 통학하며 학교에 다닐 엄두를 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특수학급이 있는 학교로 진학한다고 해도 입시 위주의 수업이 이루어지는 교육 현실에서, 장애학생 개개인에게 장애정도에 따라 별도의 수업을 해주는 개별화 수업은 요원한 이야기일 뿐이다. 그래서 장애학생을 둔 학부모들은 학교를 감옥이라고 말한다.
통합학급 학교 현황
시도
학교수
계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경남
870
101
420
215
134
국립
5
-
2
2
1
공립
704
34
417
167
86
사립
161
67
1
46
47
통합학급 학급, 학생 현황
시도
전체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급수
학생수
학급수
학생수
학급수
학생수
학급수
학생수
학급수
학생수
경남
3,803
4,550
152
186
1,984
2,281
942
1,157
725
926
국립
27
33
-
-
4
4
9
10
14
19
공립
3,423
4,097
51
72
1,973
2,267
828
1,107
571
751
사립
353
420
101
114
7
10
105
140
140
156
3. 통합교육의 필요성
= 발달장애를 겪고 있는 영화 ‘말아톤‘의 실제 주인공 형진이나 수영선수로 유명한 진호는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들의 최종 목표점이다. 자신의 자녀들이 사회에 나가 일반인들과 자연스레 어울리며 살아가는 것,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장애 자녀를 둔 많은 부모들은 통합교육을 시키고 있다. 전문가들은 통합교육이 많은 장애인에게 그 어떤 치료보다 훨씬 더 효과가 좋은 치료법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비장애 학생들과 어울리며, 부딪히며 듣는 말, 익히는 행동들이 장애 학생들에게는 훌륭한 자극이 된 다는 것이다. 실제로 우리는 취재 중 통합교육을 통해 자녀가 뜻 박의 성취를 이뤘다는 말하는 많은 학부모들을 만날 수 있었다.
① 통합교육은 많은 장애인들에게 그 인권을 보장하고 사회성을 키우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② 비장애인들에게도 장애인이 차별하고 놀림을 받아야할 대상이 아니라 똑같은 사람으로서 함께 사회에서 어울리고 도와주어야할 사람이라는 사회통합적 인식을 함양시키는데도 큰 도움이 된다.
따라서 통합교육은 더 많은 장애인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부족한 점을 다듬고 보완해서 확대 시행할 필요가 있다.
4. 통합교육의 문제점 및 반대이유
① 장애학생의 행동을 따라하거나 학습에 방해를 받는 등의 영향을 받을까봐
②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같은 반에서 생활하는 것이 싫어서
③ 사회적 인식이나 이해가 부족해 장애학생이 놀림이나 괴롭힘을 받을까봐
④ 장애학생이 적절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비장애학교의 교육환경이 미비하기 때문에
⑤ 비장애학생들에게 장애에 대한 편견이 있을 경우, 우월감을 가지고 자신보다 약한 사람을 무시하는 태도를 가질 수 있다.
5. 대책
① 장애학생에 대해 교사와 비장애학생들의 관심이 필요하다
② 장애학생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③ 교사의 장애학생 지도능력 배양 (모든 선생님들에게 특수교육 연수를 실시)
6. 특수학급 통합교육의 발전적 모색
통합교육은 특수교육의 입장에서뿐만 아니라 일반 교육의 입장에서도 하루빨리 실현하여야 할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비록 지금 특수학급 중심의 부분적인 통합 수준의 단계이지만 이에 대한 꾸준한 발전적 모색이 이루어져 완전통합 수준에 접근해야 할 것이다. 특수아동이 통합교육을 받기 위해서는 통합학급의 학급당 인원수가 대폭 줄어져야 할 것이며, 개별화 교수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
또한 특수아동의 일반학급으로의 완전통합을 점진적으로 시도하고 전일제, 시간제 중심의 특수학급 운영형태도 도움학습실(특별학습실)로 전환하여 일반학급으로 통합할 수 없는 특수아를 중심으로 운영하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일반학급에 완전통합 된 특수아의 교육과정과 교수방법도 그들에게 적절한 교육을 위해서 연구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일반 교사들의 특수교육에 대한 자질 향상이 이루어져야 하며, 특수교사의 전문성도 크게 신장되어야 한다.
* 통합 의미
① 장애아와 일반아를 함께 보육하는 것이고
② 의료, 복지, 교육등의 관련분야와의 연계에 의한 보육이다.
2. 장애인 통합교육의 현실
- 이제 시행된 지 10년이 넘었지만 우리나라의 통합교육은 아직도 걸음마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선생님들과 관련돼 있다. 대부분의 선생님들은 장애 학생의 이해할 수 없는 언행에 인내의 한계를 느끼며 때때로 분노하게 된다. 다른 많은 학생들을 가르치며 장애학생에게 제대로 된 수업을 한다는 것은 분명 힘든 일이다.
하지만 학부모의 입장에서는 선생님들의 하소연은 특수교육을 모르는 데서 오는 한계일 뿐이다. 실제로 특수교육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일반 교사들의 특수교육에 대한 재교육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장애학생들이 때때로 보여주는 납득할 수 없는 행동들이 장애로 인한 것임을 인식하고 참고 고쳐질 수 있도록 교육해 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어떤 전문가는 과거 초등학교 영어교육을 실시하면서 전체 초등학교 선생님들에게 영어 교육 연수를 했듯이 모든 선생님들에게 특수교육 연수를 실시할 것을 주장하기도 한다.
다음으로 통합교육을 위해 꼭 필요한 특수학급이 설치되지 않은 학교가 아직도 많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특히 상급학교로 진학할수록 특수학급이 있는 학교가 아주 적어지기 때문에 통합교육을 받아오던 학생들도 통합교육을 포기하고 특수학교로 가거나, 아예 학업을 포기하는 경우도 있다. 몇 시간씩 통학하며 학교에 다닐 엄두를 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특수학급이 있는 학교로 진학한다고 해도 입시 위주의 수업이 이루어지는 교육 현실에서, 장애학생 개개인에게 장애정도에 따라 별도의 수업을 해주는 개별화 수업은 요원한 이야기일 뿐이다. 그래서 장애학생을 둔 학부모들은 학교를 감옥이라고 말한다.
통합학급 학교 현황
시도
학교수
계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경남
870
101
420
215
134
국립
5
-
2
2
1
공립
704
34
417
167
86
사립
161
67
1
46
47
통합학급 학급, 학생 현황
시도
전체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급수
학생수
학급수
학생수
학급수
학생수
학급수
학생수
학급수
학생수
경남
3,803
4,550
152
186
1,984
2,281
942
1,157
725
926
국립
27
33
-
-
4
4
9
10
14
19
공립
3,423
4,097
51
72
1,973
2,267
828
1,107
571
751
사립
353
420
101
114
7
10
105
140
140
156
3. 통합교육의 필요성
= 발달장애를 겪고 있는 영화 ‘말아톤‘의 실제 주인공 형진이나 수영선수로 유명한 진호는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들의 최종 목표점이다. 자신의 자녀들이 사회에 나가 일반인들과 자연스레 어울리며 살아가는 것,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장애 자녀를 둔 많은 부모들은 통합교육을 시키고 있다. 전문가들은 통합교육이 많은 장애인에게 그 어떤 치료보다 훨씬 더 효과가 좋은 치료법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비장애 학생들과 어울리며, 부딪히며 듣는 말, 익히는 행동들이 장애 학생들에게는 훌륭한 자극이 된 다는 것이다. 실제로 우리는 취재 중 통합교육을 통해 자녀가 뜻 박의 성취를 이뤘다는 말하는 많은 학부모들을 만날 수 있었다.
① 통합교육은 많은 장애인들에게 그 인권을 보장하고 사회성을 키우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② 비장애인들에게도 장애인이 차별하고 놀림을 받아야할 대상이 아니라 똑같은 사람으로서 함께 사회에서 어울리고 도와주어야할 사람이라는 사회통합적 인식을 함양시키는데도 큰 도움이 된다.
따라서 통합교육은 더 많은 장애인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부족한 점을 다듬고 보완해서 확대 시행할 필요가 있다.
4. 통합교육의 문제점 및 반대이유
① 장애학생의 행동을 따라하거나 학습에 방해를 받는 등의 영향을 받을까봐
②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같은 반에서 생활하는 것이 싫어서
③ 사회적 인식이나 이해가 부족해 장애학생이 놀림이나 괴롭힘을 받을까봐
④ 장애학생이 적절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비장애학교의 교육환경이 미비하기 때문에
⑤ 비장애학생들에게 장애에 대한 편견이 있을 경우, 우월감을 가지고 자신보다 약한 사람을 무시하는 태도를 가질 수 있다.
5. 대책
① 장애학생에 대해 교사와 비장애학생들의 관심이 필요하다
② 장애학생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③ 교사의 장애학생 지도능력 배양 (모든 선생님들에게 특수교육 연수를 실시)
6. 특수학급 통합교육의 발전적 모색
통합교육은 특수교육의 입장에서뿐만 아니라 일반 교육의 입장에서도 하루빨리 실현하여야 할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비록 지금 특수학급 중심의 부분적인 통합 수준의 단계이지만 이에 대한 꾸준한 발전적 모색이 이루어져 완전통합 수준에 접근해야 할 것이다. 특수아동이 통합교육을 받기 위해서는 통합학급의 학급당 인원수가 대폭 줄어져야 할 것이며, 개별화 교수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
또한 특수아동의 일반학급으로의 완전통합을 점진적으로 시도하고 전일제, 시간제 중심의 특수학급 운영형태도 도움학습실(특별학습실)로 전환하여 일반학급으로 통합할 수 없는 특수아를 중심으로 운영하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일반학급에 완전통합 된 특수아의 교육과정과 교수방법도 그들에게 적절한 교육을 위해서 연구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일반 교사들의 특수교육에 대한 자질 향상이 이루어져야 하며, 특수교사의 전문성도 크게 신장되어야 한다.
추천자료
학교 내에서의 장애인(장애학생)의 권리 그리고 인권- 장애학생의 교육권에 대해 -
(특수교육) 장애인의 교육권에 관한 총체적 보고서
특수교육의 최근동향
통합교육의 성취과제
장애아통합교육
장애아동 복지
장애인의 부모 및 형제 자매의 역할 및 사회의 가족모델 고찰
[장애인통합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의의, 장애인통합교육의 필요성, 장애인통합교육의 배경, ...
[장애][장애인][청각장애][청각장애인]장애(장애인)의 정의, 장애(장애인)의 분류, 장애(장애...
[자폐아동(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증)]자폐아동(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증)의 특성, 모방행동, ...
장애인의 교실에서의 권리 - 장애학생의 교육권에 대해 -
특수特殊아교육4A)우리나라 유아 특수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하여 객관적 자료를 근거로 ...
장애 아동 사회복지실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