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설계] 콘크리트의 시방배합 현장배합 계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배합설계
2.시험목적
3.시험순서
계산식
①. 물-시멘트비
②. 굵은 골재 최대치수 및 슬럼프 값
③. 골재 최대치수에 대한 잔골재율(S/a), 단위수량 W결정
④. 단위시멘트량
⑤. 단위 잔골재량 및 단위 굵은골재량
⑥. 시방배합의 표시(위계산 결과)
⑦. 시방배합의 현장배합으로 환산
4.결과 및 고찰

본문내용

표면수 1%, 자갈의 표면수가 1%이다.
2) 골재의 입도에 대한 수정
배합설계시 적용된 골재의 입도와 표면수는 현장조건과는 다르므로 현장조건의 골재입도 및 표면수에 적합하도록 시방배합을 수정한다.
-골재의 입도에 대한 수정
S=시방배합의 단위 잔 골재량
G=시방배합의 단위 굵은 골재량
a=모래속에 5mm체에 남는 량의 백분율(%)
b=자갈 속에 5mm체를 통과하는 양의 백분율(%)
-현장배합의 단위 잔 골재량
이므로
-현장배합의 단위 굵은 골재량
-골재의 표면수에 대한 보정
c=현장상태 모래의 표면수량(%)
d=현장상태 자갈의 표면수량(%)
-현장배합의 단위 잔골재량
-현장배합의 단위 굵은골재량
-현장배합의 단위수량 수정
여기서 중요한건 잔골재, 굵은골재의 표면수(%)를 소수점화 하지 않고 계산을 하였다. 단! 현장 배합의 잔골재량을 구하고자 할 때에는 잔골재, 굵은골재의 표면수(%)를 소수점화 하야 계산하 였다. 신중히 잘보고 계산하자!
3) 최종 현장배합
굵은골재최대치수
(mm)
슬럼프의 범위
(cm)
공기량의 목표치
물시멘트비
W/C
(%)
잔골재율
S/a
(%)
단 위 량()

W
시멘트
C
잔골재
S
굵은골재G
혼화재료
mm~
mm
mm~mm
혼화재
혼화제
(공기연행제)
25
10
6
40
39.3
147.74
412
659.02
1047.46
0.1236
결과적으로 위 계산으로부터 1 의 콘크리트를 만드는데 현장에서 계량해야 할 양은 다음과 같다.
물 : 164.8
시멘트 : 412
잔골재 : 659.02
굵은골재 : 1047.46
공기연행제 : 123.6
4. 결과 및 고찰
우리는 왜 시방배합과 현장배합이 필요한지를 토의 하고 생각하였다. 그 결과 시방배합은 어느 한 지도자의 지시 및 시방 즉, 그 지도자의 기준으로 한 배합이라고 결론지었다. 또한 현장배합은 지도자의 기준인 시방배합을 현장에서 적합하게 즉, 변수 (잔골재, 굵은골재 표면수)들을 고려하여 보정한 값이라고 결론지었다. 또한 우리는 시방배합은 이론적으로 40의 강도를 내기위해 짜여진 값이라고 생각 하였다.
우리는 시방배합과 현장배합을 계산하면서 많은 생각과 고찰을 겪었다. 그 이유는 당연 히 잘 모르고, 많은 단위 변환 실수, 이해부족 및 예습 부족이 원인이었다. 하지만 우리는 위 과정을 겪으며 다시 한 번 실수들을 상기시키며 또다시 실수를 하지 않기 위해 복습을 하였다.
우리는 처음 토목에 관한 상식이 전혀 없을 때에는 ‘콘트리트? 모레와 시멘트를 섞으면 되지’ 라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우리는 토목인의 길의 앞자락에 와보니 ‘우리가 하찮게 여겼던 콘크리트 및 다른 건물, 교량, 도로 들이 쉽게 쉽게 만들어지지 않는 구나‘라는 것을 알아 우리의 마음속에 토목이란 것이 하찮은 것이 아닌 정말 세심한 것 까지 정확한 계산과 측정으로 만들어 지는구나 라는 걸 알았다. 이런 과정에서 우리는 토목재료학 과목에서만이 아닌 토목이라는 것에 자부심을 더 나아가 대구대, 우리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건물, 교량 등 을 건설 할 수 있는 토목인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6.13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37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