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목차
1.고대도시 (원시~통일신라)
2.중세도시 (고려~조선)
3.원형경관 (조선초기)
4.현대 이후 도시성장 (조선말기 이후)
2.중세도시 (고려~조선)
3.원형경관 (조선초기)
4.현대 이후 도시성장 (조선말기 이후)
본문내용
우리나라의 도시공간과 경관
고대의 도시
고대의 도시
원시주거~삼국시대
부족연맹 사회 도시 발생
청동기시대(기원전 4세기경)이후로 도구개발 본격화 ,농경활동 활성화, 사회계층 형성, 취락의 확대, 정치적 지배관계의 성립
원시주거
-동굴주거 : 구석기시대 (B.C 3만년 경) 수렵, 사냥활동
-움집 : 신석기시대 (B.C 3천년 경) 기술과 도구 사용, 경험적 지식 발달
-성읍국가 : 청동기시대 (B.C 4세기 경) 도구개발 본격화, 농경활동의 활성화
사회계층 형성으로 취락의 확대와 정치적 지배관계가 성립되었다.
≪ 사 진 ≫ ≪ 사 진 ≫
동굴주거 움집
고대의 도시
원시주거~삼국시대
성곽도시의 발생
부족연맹체의 통일 고대왕권국가 형성 도시의 성격 확립 도성건설
방어목적으로 성곽설치
고조선
-왕검성 : 최초의 성읍국가이며 우리나라 최초의 도시
우리나라 최초의 도시는 고조선의 왕검성으로 추정(그 위치와 규모 등이 정확히 밝혀지지 못함)
: BC194년 위만이 도읍지로 정하여 오다가 BC108년 한(漢)나라 군대에 포위되어 수개월 동안
항전 끝에 투항하였다. 427년 이래 고구려의 도읍지도 되었다. 하지만 정확한 위치에 대해서는
지금의 요동지역이라는 설, 지금의 평양지역이라는 설 등의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고대의 도시
원시주거~삼국시대
삼국시대
낙랑에서 사용되었던 한문화(중국)에 의한 기술은 점차적으로 한국 전역의 주요지방에 전파되어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의 문화 발전의 터전을 만들어주었다.
삼국시대
대체로 5세기 전후 삼국은 중앙집권적 정치체제 를 확립함에 따라 수도와 지방행정 중심지에 관아 및 군인과 그 예속민, 상공인이 모이고 시장을 형성하게 되자 성곽을 축조함으로써 정치행정의 중심도시가 형성 되었다. (예; 고구려의 3경, 백제의 22담로, 신라의 수도와 2소경)
≪ 지 도 ≫
고대의 도시
고대의 도시
원시주거~삼국시대
부족연맹 사회 도시 발생
청동기시대(기원전 4세기경)이후로 도구개발 본격화 ,농경활동 활성화, 사회계층 형성, 취락의 확대, 정치적 지배관계의 성립
원시주거
-동굴주거 : 구석기시대 (B.C 3만년 경) 수렵, 사냥활동
-움집 : 신석기시대 (B.C 3천년 경) 기술과 도구 사용, 경험적 지식 발달
-성읍국가 : 청동기시대 (B.C 4세기 경) 도구개발 본격화, 농경활동의 활성화
사회계층 형성으로 취락의 확대와 정치적 지배관계가 성립되었다.
≪ 사 진 ≫ ≪ 사 진 ≫
동굴주거 움집
고대의 도시
원시주거~삼국시대
성곽도시의 발생
부족연맹체의 통일 고대왕권국가 형성 도시의 성격 확립 도성건설
방어목적으로 성곽설치
고조선
-왕검성 : 최초의 성읍국가이며 우리나라 최초의 도시
우리나라 최초의 도시는 고조선의 왕검성으로 추정(그 위치와 규모 등이 정확히 밝혀지지 못함)
: BC194년 위만이 도읍지로 정하여 오다가 BC108년 한(漢)나라 군대에 포위되어 수개월 동안
항전 끝에 투항하였다. 427년 이래 고구려의 도읍지도 되었다. 하지만 정확한 위치에 대해서는
지금의 요동지역이라는 설, 지금의 평양지역이라는 설 등의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고대의 도시
원시주거~삼국시대
삼국시대
낙랑에서 사용되었던 한문화(중국)에 의한 기술은 점차적으로 한국 전역의 주요지방에 전파되어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의 문화 발전의 터전을 만들어주었다.
삼국시대
대체로 5세기 전후 삼국은 중앙집권적 정치체제 를 확립함에 따라 수도와 지방행정 중심지에 관아 및 군인과 그 예속민, 상공인이 모이고 시장을 형성하게 되자 성곽을 축조함으로써 정치행정의 중심도시가 형성 되었다. (예; 고구려의 3경, 백제의 22담로, 신라의 수도와 2소경)
≪ 지 도 ≫
추천자료
기후지역에 따른 건축사례 (토속 건축)
서양건축사(한국건축사)
단청에 관한 자세한 정리
친환경건축물 사례조사_삼성동아이파크
[생태건축][생태건축의 배경][생태건축의 요건][생태건축의 사례][생태건축의 발전방향]생태...
[한옥][한옥의 민가양식][한옥과 음양원리][한옥과 풍수지리설][한옥과 아파트의 비교]한옥의...
63빌딩의 구조적 특징 및 시공적 특징
한국건축의 역사 1장 태동기의 건축
[일제시대]일제시대(식민지시대, 일제강점기, 일제시기)의 조선시가지계획령, 도시발달, 일제...
건축가 조성룡 작가분석 (SOMA 미술관 Seoul Olympic Museum of Art)
[건축역사] 아파트의 시초 및 변화 과정 - 계단식 아파트, 고층아파트, 서민아파트, 초고층, ...
[건축역사_식민지시대 이후 주거의 역사]개항과 서구 건축양식의 유입, 식민지시대 토막민의 ...
한국건축 중국건축 일본건축 김동욱 독후감 감상문 서평
향교와 서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