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사 이유
2. 조사 목표
3. 러시아 보고서 공개가 공개되면 안 되는 이유
4. 피로파괴의 가능성
5. 나꼼수와 버지니아大 교수의 주장
6. 최초의 좌초보고
7. CCTV 마지막 장면은? 그리고 왜 승원에 함구령을?
8. 대통령과 일부 언론의 반응
9. 인간어뢰와 맺음 글
2. 조사 목표
3. 러시아 보고서 공개가 공개되면 안 되는 이유
4. 피로파괴의 가능성
5. 나꼼수와 버지니아大 교수의 주장
6. 최초의 좌초보고
7. CCTV 마지막 장면은? 그리고 왜 승원에 함구령을?
8. 대통령과 일부 언론의 반응
9. 인간어뢰와 맺음 글
본문내용
란 것이다. 인간어뢰니 어쩌니 하는 언론도 문제가 있다. 소설을 쓰는가.
[언더그라운드.넷]인간어뢰 ‘괴담’, 조선일보의 해명2011 12/13ㅣ주간경향 954호
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5&artid=201112061812481
위 기사를 보면라는 말이 나온다. 참 무책임한 언론 때문에 더 논란만 증폭시키는 것 같다.
또 1번이라 적힌 어뢰도 논란이 많았다. 작년에는 2개라는 논란까지 있었다.
천안함 침몰시킨 '1번어뢰'는 두개였다?
김경환 기자 kkh@vop.co.kr
입력 2011-08-23 13:06:48 l 수정 2011-08-23 13:17:14
http://www.vop.co.kr/view.php?cid=A00000426005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든 의구심이 들게 만든다. 의혹을 증폭시켜나가며 의심하지 말라하면 쓰나?
근접어뢰폭발설을 부정하는 증거 내용을 알고 싶다면 아래 링크로 들어가 기사의 아랫부분을 보면 왜 근접어뢰폭발이 아니라고 여기는지 적혀있다. 꼭 읽고 넘어가길 바란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712062&CMPT_CD=P0001
논란에 대한 조사는 이쯤해서 마치고 믿을 수 있는 증거를 대든지 믿을 수 있는 사람이 모의실험이나 조사에 참여하여 믿음이 저절로 가게 해 줬음 좋겠다. 너무 큰 바람인가? 정부 정신차리고 정확한 신뢰가는 증거로 천안함 문제를 종식했음 좋겠다. 논란의 대명사가 되지 않게. 4대강도 너무 빨리 졸속으로 하니까 재검토하고 사업성 알아보라니까 홍보가 부족하다며 홍보 강화했는데 포인트를 너무 잘못 짚기만 하는 것 같아 마음이 아플 지경이다.
나의 의견을 피력하자면, 함선은 낡았으나 두동강 날 정도는 아닌 것 같고 러시아 조사단의 프로펠러에 그물이 걸리며 이동에 문제가 생기고 기뢰를 건드려 원거리 버블 충격파에 두 동강이 났다고 본다. 근거리 폭발이라면 선원이 너무 멀쩡한게 이상하고 각종 내부 물건들이 참 잘 정돈된 상태라 근거리 충격에 그 정도로 내부 물건이 가지런히 남을 수 있었나 싶다. 예를 들면 근거리 어뢰 폭발이면 버스안에서 교통사고난 것과 유사할 것인데 선원들이 참 멀쩡히 구조되고 희생된 선원은 익사였다. 상식적으로 고막이상등 청각장애, 심한 타박 정도는 가능하지 않은가.
<△미국과 한국의 최첨단 이지스함 등 다수의 군함이 포진해 있는 상황에서 천안함을 공격한 잠수정이 무사히 도주했다는 군 당국의 추리는 일반적인 군 상식에 어긋난다는 점, △사고 해역은 잠수함 운항이 자살행위라 할 만큼 악조건이라는 점, △배가 순식간에 두 동강 나는 상황에서 배에 승선하고 있던 선원 가운데 폭음에 의한 고막 파열이나 물기둥에 의한 흔적이 전혀 없었다는 점, △천안함 파괴 상태가 어뢰 폭발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기 어렵다는 점> 정리된 이 반박논리는 아래 기사에서 자세히 볼 수 있다.
천안함영구미제로남을까…피의자배제한부실재판의결과
[고승우 칼럼] 사건원인·조사과정 여전히 안개 속
고승우 전문위원 | konews80@hanmail.net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1255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호기심은 발명을 낳고 의구심은 진실을 밝힙니다. -
-레포트 참고용으로만 쓰시기 바라며
배포용이 아닌 자료조사 내용인 만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금합니다.-
[언더그라운드.넷]인간어뢰 ‘괴담’, 조선일보의 해명2011 12/13ㅣ주간경향 954호
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5&artid=201112061812481
위 기사를 보면
또 1번이라 적힌 어뢰도 논란이 많았다. 작년에는 2개라는 논란까지 있었다.
천안함 침몰시킨 '1번어뢰'는 두개였다?
김경환 기자 kkh@vop.co.kr
입력 2011-08-23 13:06:48 l 수정 2011-08-23 13:17:14
http://www.vop.co.kr/view.php?cid=A00000426005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든 의구심이 들게 만든다. 의혹을 증폭시켜나가며 의심하지 말라하면 쓰나?
근접어뢰폭발설을 부정하는 증거 내용을 알고 싶다면 아래 링크로 들어가 기사의 아랫부분을 보면 왜 근접어뢰폭발이 아니라고 여기는지 적혀있다. 꼭 읽고 넘어가길 바란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712062&CMPT_CD=P0001
논란에 대한 조사는 이쯤해서 마치고 믿을 수 있는 증거를 대든지 믿을 수 있는 사람이 모의실험이나 조사에 참여하여 믿음이 저절로 가게 해 줬음 좋겠다. 너무 큰 바람인가? 정부 정신차리고 정확한 신뢰가는 증거로 천안함 문제를 종식했음 좋겠다. 논란의 대명사가 되지 않게. 4대강도 너무 빨리 졸속으로 하니까 재검토하고 사업성 알아보라니까 홍보가 부족하다며 홍보 강화했는데 포인트를 너무 잘못 짚기만 하는 것 같아 마음이 아플 지경이다.
나의 의견을 피력하자면, 함선은 낡았으나 두동강 날 정도는 아닌 것 같고 러시아 조사단의 프로펠러에 그물이 걸리며 이동에 문제가 생기고 기뢰를 건드려 원거리 버블 충격파에 두 동강이 났다고 본다. 근거리 폭발이라면 선원이 너무 멀쩡한게 이상하고 각종 내부 물건들이 참 잘 정돈된 상태라 근거리 충격에 그 정도로 내부 물건이 가지런히 남을 수 있었나 싶다. 예를 들면 근거리 어뢰 폭발이면 버스안에서 교통사고난 것과 유사할 것인데 선원들이 참 멀쩡히 구조되고 희생된 선원은 익사였다. 상식적으로 고막이상등 청각장애, 심한 타박 정도는 가능하지 않은가.
<△미국과 한국의 최첨단 이지스함 등 다수의 군함이 포진해 있는 상황에서 천안함을 공격한 잠수정이 무사히 도주했다는 군 당국의 추리는 일반적인 군 상식에 어긋난다는 점, △사고 해역은 잠수함 운항이 자살행위라 할 만큼 악조건이라는 점, △배가 순식간에 두 동강 나는 상황에서 배에 승선하고 있던 선원 가운데 폭음에 의한 고막 파열이나 물기둥에 의한 흔적이 전혀 없었다는 점, △천안함 파괴 상태가 어뢰 폭발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기 어렵다는 점> 정리된 이 반박논리는 아래 기사에서 자세히 볼 수 있다.
천안함영구미제로남을까…피의자배제한부실재판의결과
[고승우 칼럼] 사건원인·조사과정 여전히 안개 속
고승우 전문위원 | konews80@hanmail.net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1255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호기심은 발명을 낳고 의구심은 진실을 밝힙니다. -
-레포트 참고용으로만 쓰시기 바라며
배포용이 아닌 자료조사 내용인 만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금합니다.-
추천자료
디지털 스토리텔링(Digtal Storytelling) 재난보도 - 스토리텔링 사례, 영국여객선, 타이타닉...
원전사태로 바라본 품질비용관리의 중요성
생태학적 이론에 의해 세월호 사건을 논하시오
2014년 1월 1일 부터 6월 30일까지 일어났던 사건 가운데 하나를 골라서사회학적 사고나 사회...
세월호 침몰사태 분석 및 수습방안과 대형참사의 예방방안
[인간과사회 A형] 2014년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일어났던 사건 가운데 하나를 골라서 사...
세월호 사건으로 인하여 트라우마를 겪고 있는 청소년들의 문제가 무엇이며, 이를 해결하기 ...
세월호 사건 KBS 보도 분석 (재난사건 보도 경향, KBS뉴스 세월호 보도 경향 분석(1주일), 언...
세상읽기와논술2C)세월호 참사 후 세월호 특별법이 제정되기까지의 주요 현안들과 논점들을 ...
세월호 사건 : [세월호 사건] 세월호는 왜 시민운동으로 촉발되었는가 - 세월호 침몰 원인, ...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의 개념과 원인, 상담 방법 등에 대해 서술하고, 현재 세월호 침...
북한의 도발 사건-목함지뢰 사건에 대해
세월호 사건의 리더십 이론적용을 통한 해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