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전후(解放前後)」읽기 _ 이태준 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해방전후」읽기..

1. 「해방전후」는 무엇을 이야기하고 있는가.
2. 「해방전후」는 어떻게 이야기하고 있는가.
3. 「해방전후」의 가치와 한계는 무엇인가.

본문내용

지기에는 시대적 정세가 지나치게 암울하였다. 그 후 그는 창작에만 전념하면서 일제의 능동적으로 저항하지 못한 채 친일적인 글에 손을 댄다. 그러나 상허는 곧 자신의 매문 행위에 부끄러움을 느끼고 1943년 고향인 철원으로 내려가 낚시로 소일하다가 1945년 8월 16일에야 해방의 소식을 듣는다. 을유년 해방과 더불어 귀경한 상허는 임화, 김남천 등 카프계열 작가와 어울리게 된다. 당시의 심정과 주변상황은 작품『해방전후』에 소상히 나와 있거니와 그는 1946년 돌연히 월북했다. 『이태준 소설연구』,장영우, 태학사, 1996. pp.37~44
「해방전후」는 작가의 분신이라 할 수 있는 두 인물을 내세워 자신의 심경적 변화를 고백한 작품이며, 따라서 주로 인물의 심리 분석에 치중하였다. 즉 현과 김직원 사이의 사상적 대립과 갈등을 작가 자신의 내적 갈등과 사상 변화에 대한 작가의 적극적인 해명인 것이다. 여기에서 이태준이 「해방전후」보여준 자기 반성적 태도는 비교적 솔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할 것은 첫째 일제 말 특수한 상황 속에서 부일협력할 수밖에 없었던 지식인들의 삶을 읽을 수 있다는 것, 둘째 이태준 개인의 변신과정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즉, 「해방전후」를 통해 지식인들이 어떻게 현실에 대응했는가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작가의 고백 또는 변명의 성격이 잇지만 한 시대의 작가들, 말을 바꾸면 지식인들의 양심과 삶을 조명하는데 의의가 있다 『국어국문학논총』, 「해방 후(1945.8~1950.6)의 문학」, 김영화, 한국문학도서관, 2007, p.269.
.
해방 후 이태준은 문학과 정치를 동일한 범주에서 이해하려 하였고, 그러한 자신의 신념을 실제 행동으로 나타내 보였다. 그러나 문학이 곧 생활이며 정치라는 그의 정치관은 너무 소박하고 비논리적이어서 스스로 논리의 파탄과정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오히려 식민지 시대부터 6·25때 까지 이태준의 사상적 바탕을 이룬 것은 소박한 의미의 민족주의이며, 그것이 해방 후 사회정치적 상황의 변화에 따라 굴절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문협>에 가담하면서 스스로 다짐했던 계급보다 민족을 우선하겠다는 각오는 이념과 계급적 투쟁을 강조하는 북의 요구에 부응할 수 없었고, 이태준이 종전 후 미국의 앞잡이로 몰려 숙청당한 것은 따라서 당연한 귀결이라 할 수 있겠다 앞의 책,「해방 후 이태준 소설 연구」,장영우, 태학사 pp.297~299.
.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6.20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46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