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리 지침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contact precaution)
병원감염에서 가장 중요하고, 빈번하게 적용되는 방법으로 환자의 치료과정에서
의료인의 손이나 피부에 직접 접촉으로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기
본경계 지침에 접촉경계 지침을 함께 사용한다.
(1) 일반적인 지침
ⓐ 병실
㉠ 반드시 독방이나 cohort 격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환자의 상황에 따라
결정한다.
ⓑ 장갑과 손 씻기
㉠ 방에 들어갈 때 반드시 장갑을 착용한다.
㉡ 환자 처치 후 오염된 장갑으로 다른 환자나 기구를 만지지 않도록 한다.
㉢ 환자의 방을 나오기 전에 반드시 손을 씻고, 씻을 수 없을 때는 waterless
손 소독제를 사용한다.
ⓒ 가운
㉠ 깨끗하게 세탁된 가운을 착용한다.
㉡ 환자를 처치할 때 감염원과 접촉하여 옷이 오염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엔
입는다.
㉢ 입었던 가운이 주위 환경에 닿아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하며, 처치 후
환자가 있는 병실을 떠나기 전에 가운을 벗고 나온다.
ⓓ 환자의 이동
㉠ 가능한 한 이동을 제한하고, 이동 시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주의한다.
ⓔ 사용한 의료기구 및 용품
㉠ 환자가 사용했던 물건이나 만졌던 것은 매일 깨끗이 청소한다.
㉡ 청진기, 혈압계, 이동변기, 직장체온계와 같은 기구는 다른 환자와 같이 사
용하지 않는다.
㉢ 재사용 물품은 소독 후 다른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다.
(2) 해당질환
ⓐ 소화기계, 호흡기계, 피부 또는 창상의 감염이나 다제내 성인 세균이 정착된
경우
ⓑ 감염률이 낮지만, 오랫동안 환경에서 생존하는 장 감염
㉠ Clostridium difficile
㉡ 기저귀를 사용하거나 실금환자의 경우 :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O157 : H7, shigella, hepatitis A, Rotavirus
㉢ Respiratory syncytial virus, Parainfluenza virus, 신생아와 유아의
Enterovurus 감염
㉣ 높은 전염력을 가진 또는 피부를 통해 전염될 수 있는 피부감염
- Diphteria, cutaneous
- Herpes simplex virus (neonatal 또는 mucocutaneous)
- Impetigo
- Major (noncontained) absoesses, oellulitis
- Pediculosis
- Scabies
- 신생아와 유아의 staphylococcal furunculosis
- Staphylococcal scaled skin syndrome
- Zoster (disseminated or in the immunocompromised host)
㉤ Viral hemorrhagic conjunctivitis
㉥ Viral hemorrhagic infections (Ebola, Lassa, Marburg virus)
3. 표준 주의 지침
임상증세 및 상태
설사 (diarrhea)
① 실금이 있거나 기저귀 착용 환자에서 감염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급성 설

② 장기간 또는 광범위 항생제를 투여 받은 경력이 있는 성인 환자의 설사
뇌막염(menigitis) 원인 불명으로 전신에 발생한 발진 또는 exantheme
① Petechial/ ecchymotic with fever
② Vesicular
③ Maculopapular with coryza and fever
호흡기계 감염
① HIV 음성이거나 가능성이 낮은 환자의 기침, 열, 폐상엽의 침윤
② HIV 양성자나 가능성이 높은 환자에서 기침, 열 폐침윤 (어느 부위든 관계없
이)
③ Pertuissis activity의 기간 중 paroxysmal or sever persistant cough
④ 유아나 소아에서의 bronchiolitis나 croup과 같은 호흡기계 감염
다제내성균에 의한 감염가능성
① 다약내제성균에 의한 감염이나 균집락의 가왕력이 있는 경우
② 다약내제성균이 많은 병원, 재활센터 등에 최근에 입원한 경력이 있는 환자
에서 피부, 창상, 또는 요로감염
피부 또는 창상감염
① 드레싱이 덮여 있지 않고 분비물이 있는 창상이나 농양(abscess)
의심되는 미생물
장관계 감염 병원균 Clostridium difficile
Neisseria meningitidis
Neisseria meningitidis Varicella Rubeola(measles)
Mycobacteriumtuberculosis Mycobacterium
tuberculosis Bordetella pertussis Respiratory
syncytial or parainfluenza virus
Resistant bacteria Resistant bacteria
Staphylococcus aureus, Group A Streptococcus
격리
설사 (diarrhea) : 접촉
뇌막염(menigitis) : 비말, 공기, 접촉
호흡기계 감염 : 공기, 비말, 접촉
다제내성균에 의한 감염가능성 : 접촉
피부 또는 창상감염 : 접촉
(1) 병원사정에 따라 추가하거나 변경이 가능하다. 위와 같은 증상 및 상태에 있는
환자를 일정한 기준과 방식으로 찾아 낼 수 있는 체계를 감염관리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환자에 따라서 열거된 증세나 상태와 다른 양상을 보일 수도 있다.[예를 들면
신생아나 성인의 백일해(pertussis)에서는 발작적이거나 심한 기침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지역적인 특성과 임상적인 판단에 따라 임상 증세 및 상태
의 기준을 정할 수 있다.
(3) 다약제내성균의 종류는 지역적인 특성, 임상적인 또는 역학적인 특성을 고려하
여 감염관리위원회에서 결정한다.
(4) 의심되는 미생물의 감염의 가능성이 있는 전체 미생물이나 진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보다는 기본경계만으로는 전파를 차단할 수 없는 미생물
을 주로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미생물에 의한 감염이 아닌 것으로 진단이
확정되기 전까지 적용한다.
(5) 이에 포함되는 미생물에는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O157 : H7,
Shigella, hepatitis A 또는 Rotavirus 등이 있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06.27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57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