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든 것은 생각하기 나름이다’정도의 의미로 알려져 있다. 나는 이것을 ‘우주 안에 내가 있으며 내 안에 우주가 있다. 순 안에 역이 있으며 역 안에 순이 있고 이것은 서로 별개가 아니며 전체가 곧 부분과 같다’고 해석했다. 이체합명론의 경우 세 단계로 이루어지며 첫째 단계에서는 서로 다른 것이 양립한다. 둘째 단계에서는 그 둘이 결합하여 하나가 되며, 세 번째 단계에서는 양립과 결합의 상태가 공존하게 된다. 정과 반이 불확정적으로 공존하는 상태인 것이다. 보다 자세히 말하면 사물을 부정하고, 사물의 관념을 부정하며, 마지막으로 그것들을 다시 부정하여 절대무아에 들어서는 것이다. 그리하여 개체가 전체인 상태로 들어가면 역설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게 된다. 난 이것을 보고 진리와 그의 역설은 순환적인 한 덩어리로 생각하게 되었다. 진리와 역설을 구분하여 나누지 않고 그 자체를 긍정하는 것이다. 결국 진리와 역설이 원형적으로 순환하여 차이와 반복의 한 정형을 이루며 순과 역이 비일관성을 띄게 되고 역에도 순이 내포되어있고 순에도 역이 내포되어 있으며 보다 큰 역과 순이 하나로 합쳐져 전체를 이루며 이러한 반복을 순환하기에 부분이 전체가 되고 전체가 부분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계에서는 조화는 있지만 위계는 없다. 따라서 소쉬르의 ‘언어와 대상이 일치하지 않는다.’라는 말은 의미를 상실한다.
아직 동양철학에 대한 나의 이해는 충분히 깊지 않다. 따라서 오류가 있을 가능성을 배제하진 않는다. 하지만 이 책을 읽은 나의 결론은 이것이다. “이것은 파이프이다. 난 사회학도로써 푸코와는 다른 나만의 해답을 찾겠다.”
아직 동양철학에 대한 나의 이해는 충분히 깊지 않다. 따라서 오류가 있을 가능성을 배제하진 않는다. 하지만 이 책을 읽은 나의 결론은 이것이다. “이것은 파이프이다. 난 사회학도로써 푸코와는 다른 나만의 해답을 찾겠다.”
추천자료
동양사상
(동양윤리사상) 묵가 ( 墨家 )
추사 김정희에 대하여
카오스이론
[유교]유교의수행과 이상적인 인간관(세계관)
(철학) 원시 불교철학의 근본교리와 사상에 관한 보고서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의 학술사상
[공사상, 공사상 개념, 공사상과 공삼매, 공사상과 공관, 공사상과 공처정, 공삼매, 공관, 공...
[서양, 스파르타, 봉건제도, 원시주의, 철학, 가치관]서양의 스파르타, 서양의 봉건제도, 서...
민중시를 통해 본 도가적 자연관(신동엽을 중심으로) - 문학에 담긴 도가적 자연관, 신동엽(...
조선 최초의 여성 성리학자, 임윤지당(任允摯堂)
2018년 2학기 철학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E형(노자의 칼, 장자의 방패)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과 도덕 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