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그린카 개요
- 그린카란?
- 그린카의 종류
- 클린디젤 자동차(CDV)
-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
- 전기차(EV),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FCEV)
- 주요 부품
2. 그린카 개발의 필요성
- 그린카 개발 배경
- 자원 고갈
- 온실가스에 의한 지구온난화
- 환경 규제 강화
3. 주요국 그린카 기술 개발 동향
- 주요국 그린카 지원 정책
- 미국
- 일본
- 유럽
4. 시장 전망
- 소비자의 선호 변화
- 그린카 시장의 성장 요인
- 시장 동향
- 그린카 시장 규모 전망
5. 대응 방향 및 해결 과제
- 독자 기술 확보
- 핵심 기술력 제고
- 부품∙규제 표준화
- 인프라 구축
- 정부의 비전 제시와 조정
6. 참고문헌
- 그린카란?
- 그린카의 종류
- 클린디젤 자동차(CDV)
-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
- 전기차(EV),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FCEV)
- 주요 부품
2. 그린카 개발의 필요성
- 그린카 개발 배경
- 자원 고갈
- 온실가스에 의한 지구온난화
- 환경 규제 강화
3. 주요국 그린카 기술 개발 동향
- 주요국 그린카 지원 정책
- 미국
- 일본
- 유럽
4. 시장 전망
- 소비자의 선호 변화
- 그린카 시장의 성장 요인
- 시장 동향
- 그린카 시장 규모 전망
5. 대응 방향 및 해결 과제
- 독자 기술 확보
- 핵심 기술력 제고
- 부품∙규제 표준화
- 인프라 구축
- 정부의 비전 제시와 조정
6. 참고문헌
본문내용
- 그린카란?
Green Car
에너지 소비 효율이 우수하고 무공해 또는 저공해 기준을 충족하는 친환경 자동차
그린 동력시스템의 활용, 장착 또는 이에 준하는 개선으로 기존 내연기관 대비 연비가 높고 배출가스나 CO₂ 배출량이 적은 차
그린 동력시스템 : 화석연료의 사용을 줄여 배출가스, CO₂ 등의 발생이 적은 친환경 동력시스템
그린 동력시스템의 활용 또는 장착(built-in green)
하이브리드 자동차,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
그린 동력시스템에 준하는 개선(green effect)
클린디젤 자동차
- 클린디젤 자동차(CDV)
CDV : Clean Diesel Vehicle
가솔린 차량보다 효율이 높은 디젤 차량의 장점을 살려 기존 문제점이었던 미세 먼지, 질소산화물 등의 배출가스를 현저하게 줄인 자동차
디젤로 주유하기 때문에 별도의 충전인프라는 필요 없으며, 온실가스 배출량은 HEV와 유사한 수준
- 전기차(EV),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FCEV)
EV : Electronic Vehicle
배터리와 전기모터의 동력만으로 구동이 되는 자동차
연료비가 매우 적게 들고 100% 무공해
아직까진 운행 거리가 짧아 충전 인프라 구축 및 배터리 성능향상이 과제
FCEV : Fuel Cell Electric Vehicle
연료전지에 저장된 수소를 산소와 반응시켜 생산한 전기로 전기모터를 작동
배터리 충전을 위해 충전 인프라가 필요하며, 부품가격이 아직은 상당히 비쌈
Green Car
에너지 소비 효율이 우수하고 무공해 또는 저공해 기준을 충족하는 친환경 자동차
그린 동력시스템의 활용, 장착 또는 이에 준하는 개선으로 기존 내연기관 대비 연비가 높고 배출가스나 CO₂ 배출량이 적은 차
그린 동력시스템 : 화석연료의 사용을 줄여 배출가스, CO₂ 등의 발생이 적은 친환경 동력시스템
그린 동력시스템의 활용 또는 장착(built-in green)
하이브리드 자동차,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
그린 동력시스템에 준하는 개선(green effect)
클린디젤 자동차
- 클린디젤 자동차(CDV)
CDV : Clean Diesel Vehicle
가솔린 차량보다 효율이 높은 디젤 차량의 장점을 살려 기존 문제점이었던 미세 먼지, 질소산화물 등의 배출가스를 현저하게 줄인 자동차
디젤로 주유하기 때문에 별도의 충전인프라는 필요 없으며, 온실가스 배출량은 HEV와 유사한 수준
- 전기차(EV),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FCEV)
EV : Electronic Vehicle
배터리와 전기모터의 동력만으로 구동이 되는 자동차
연료비가 매우 적게 들고 100% 무공해
아직까진 운행 거리가 짧아 충전 인프라 구축 및 배터리 성능향상이 과제
FCEV : Fuel Cell Electric Vehicle
연료전지에 저장된 수소를 산소와 반응시켜 생산한 전기로 전기모터를 작동
배터리 충전을 위해 충전 인프라가 필요하며, 부품가격이 아직은 상당히 비쌈
추천자료
연료전지자동차 (Fuel Cell Vehicles)
한미FTA가 자동차산업과 노동자에게 미치는 영향
전기자동차에 대하여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완벽정리)
전기자동차에 대하여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완벽정리)
하이브리드카 시스템 회로 관련
자동차 환경규제(euro-5 등)와 미래자동차
하이브리드 건축
자동차산업 CSR - 현대, 도요타, 포드 자동차
[글로벌경영] 그린 에너지기업의 글로벌 전략의 수립- LG화학의 아랍에미리트 진출 전략 수립
자동차 연비
하이브리드카 시장과 석유
글로벌 기업 도요타(토요타/Toyota) 자동차의 성공 사례와 실패 사례
현대·기아자동차의 역사기아차 해외시장현대차 글로벌자동차시장현대 기아차 마케팅 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