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발생에 관한 사회환경적 원인에 관한 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범죄발생에 관한 사회환경적 원인에 관한 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것은 유일하게 다른 지위를 날려버린다고 주장하였다. lemert는 낙인의 효과를 제시하였다. 1차적일탈 2차적일탈을 제시 하였는데 1차적일탈은 처음 저지른 범죄이다. 2차적일탈은 스스로 범죄자라고 생각하고 저지른범죄이다. 하지만 차이점은 또 다시 범죄를 저지를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다음의 과정이 범죄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보았다. 오명부여, 불공정의 자각, 제도적 강제의수용, 일탈문화의 사회화, 부정적 정체성의 긍정적측면 인식 이 있다. 오명부여는 도덕문제 있는 사람으로 낙인됨을 말한다. 불공정의 자각은 사회적 불만이 커지는 것이고, 제도적강제의수용은 개선이 어려우니 너는 감옥에 들어가야 한다고 해서 감옥에서 규율을 지켜야 하는 것이고, 일탈문화의 사회화는 일탈문화를 감옥에서 학습 하는 것이다. 부정적 정체성의 긍정적 측면인식은 도덕적으로 떨어지니 이해함 착한 일만 해야 되는 것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제2의 범죄로 갈 수 밖에 없다고 제시하였다. 낙인이론은 4D 정책을 내세웠다. 그 내용은 Deinstituionalization 일탈을 학습하므로 가급적 범죄자를 시설에 넣지 말자. 사회내에서 받을수 있는 처벌부과 하자 . Diversion 중간에 전환하는 처우 . 가벼운 폭력사건을 합의처리 하는 것을 말한다. Decriminaligation 형사사건의 결과로 범죄가 성립되는데 사소한 행동은 형사사건으로 처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Due process 공정한 절차인데 사회에 대한 적대감을 줄이는 것이다. Destignatigation 오명을 제거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오토바이 무면허로 입건된 기록을 지워주는 것이다. 낙인이론은 국가의 강력한 개입을 줄이고 범죄자를 사회내처우를 새로운 교화방법을 제시하였다. 처우를 다양화해서 처우의 부정적 요인을 줄이기위해 노력했다.
범죄에 관한 사회구조적인 이론들은 범죄를 사회 환경적인 기회의 부족으로 인해 생기는 긴장의 결과물로 생각 하였다. 따라서 기회가 제한되는 하류계층이 범죄를 더 저지르게 되고 경제적 사회적인 요인 사회의 일정한 기준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이들의 한계는 범죄에 있어서 심리적이고 인격적인 요인들에 관한 설명을 결여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안 좋은 환경의 사회가 범죄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 하였으나 안 좋은 환경에서 좋은 사람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못한다. 범죄의 위험요인을 피하게 하는 요인들에 대한 설명이 빠져있다.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7.08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75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