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실험
1) 실험식
2) 실험가정
3) 실험준비
4) 실험방법
5) 실험기구
6) 실험 시 주의사항
3. 실험결과
4. 고찰 및 개선 사항
5. 결 론
6. 참고문헌
2. 실험
1) 실험식
2) 실험가정
3) 실험준비
4) 실험방법
5) 실험기구
6) 실험 시 주의사항
3. 실험결과
4. 고찰 및 개선 사항
5. 결 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er와 Pitot tube를 흐르며 발생하는 압력강하(실험값)을 측정하고, 풍속을 측정하여 이를 식에 대입해 이론값을 측정한 뒤 그 두 값을 비교해보고, Venturi meter와 Pitot tube의 실제 공정에서의 작용을 이해해보는 실험이었다.
실험 변수는 풍속, Venturi Meter, PitotTube였다.
우선, Pitot tube가 관 중앙에 있을 때, 풍속에 따른
마노미터 수두차를 측정하였고, 풍속이 빨라질수록 수두차가 커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Venturi 관 내에서 Pitot tube의 위치에 따른 유속측정에서 가운데의 유속이 가장 빠르고 처음과 끝의 유속은 비슷한 결과 값이 나왔다.
두 번째는 Pitot tube가 관 위쪽 벽에 붙어 있을 때의 상황에서 처음과 똑같은 실험을 반복하였다. 이번 실험 또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2) 오차 분석
실험을 하면서 발생한 오차의 원인을 분석해 본 결과 3가지의 오차 원인을 있었다.
첫째, 실험을 하는데 있어 가정을 했던 부분에서 실제와 이론상의 차이가 있어서 오차가 생겼을 것이다. 여러 가정 중 실험 환경이 완벽하게 정상상태라고 증명 할 수가 없었고, 우리가 실험한 유체가 비압축성 유체였는지 확인 할 수 없었고, 파이프내의 마찰 손실이 없었는지도 확인 할 수 없었다.
둘째, 풍속계로 풍속을 측정할 때 최대한 유체가 빠져 나가지 않게 노력해서 측정 했음에도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공기의 누출이 있어서 풍속이 실제보다
낮게 측정 되었을 것이다.
셋째, 압력강하를 측정할 때, 마노미터의 눈금을 정확하게 읽으려 했으나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였다.
3) 개선 사항
① 직접 눈으로 측정해야 하는 부분에 색 테이프를
붙여서 조금이나마 정확한 측정에 도움이 되었다.
② 풍속을 측정할 때 관에서 나오는 입구의 주위를 종이컵으로 감싸 더 정확한 풍속을 측정하였다.
③ Venturi 관 내에서 Pitot tube의 위치에 따른 풍 속차를 측정하여 더 많은 자료를 얻었다.
5. 결 론
이번 실험을 통해서 실제 공정에서 Venturi Meter와 Pitot Tube의 위치에 따른 압력강하를 이해 할 수 있었다.
Venturi Meter 풍속이 증가함에 따라 수두차도 증가 하였다. Pitot Tube 또한 위치에 상관없이 풍속이 증가함에 따라 수두차도 같이 증가 하였다.그러나 Pitot Tube가 관 위쪽 벽에 있을 때 보다 관 중앙에 위치했을 때 결과 값이 대부분 낮았다.
또한 Venturi 관 내에서 Pitot tube의 측정위치가 가운데에 있을 때, 가장 높은 결과 값을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itot tube의 가운데를 기준의 양 옆으로 4cm 부분에서는 가운데의 결과 값보다 낮지만 서로 비슷한 결과 값을 얻을 수 있었다.
6. 참고문헌
화공 현상 실험 준비실, 『화공현상실험』
James O. Wilkes, 『화학공학 유체역학』, 도서출판 한산
Wikipedia http://www.wikipedia.org
Naver 지식사전 - http://terms.naver.com
실험 변수는 풍속, Venturi Meter, PitotTube였다.
우선, Pitot tube가 관 중앙에 있을 때, 풍속에 따른
마노미터 수두차를 측정하였고, 풍속이 빨라질수록 수두차가 커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Venturi 관 내에서 Pitot tube의 위치에 따른 유속측정에서 가운데의 유속이 가장 빠르고 처음과 끝의 유속은 비슷한 결과 값이 나왔다.
두 번째는 Pitot tube가 관 위쪽 벽에 붙어 있을 때의 상황에서 처음과 똑같은 실험을 반복하였다. 이번 실험 또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2) 오차 분석
실험을 하면서 발생한 오차의 원인을 분석해 본 결과 3가지의 오차 원인을 있었다.
첫째, 실험을 하는데 있어 가정을 했던 부분에서 실제와 이론상의 차이가 있어서 오차가 생겼을 것이다. 여러 가정 중 실험 환경이 완벽하게 정상상태라고 증명 할 수가 없었고, 우리가 실험한 유체가 비압축성 유체였는지 확인 할 수 없었고, 파이프내의 마찰 손실이 없었는지도 확인 할 수 없었다.
둘째, 풍속계로 풍속을 측정할 때 최대한 유체가 빠져 나가지 않게 노력해서 측정 했음에도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공기의 누출이 있어서 풍속이 실제보다
낮게 측정 되었을 것이다.
셋째, 압력강하를 측정할 때, 마노미터의 눈금을 정확하게 읽으려 했으나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였다.
3) 개선 사항
① 직접 눈으로 측정해야 하는 부분에 색 테이프를
붙여서 조금이나마 정확한 측정에 도움이 되었다.
② 풍속을 측정할 때 관에서 나오는 입구의 주위를 종이컵으로 감싸 더 정확한 풍속을 측정하였다.
③ Venturi 관 내에서 Pitot tube의 위치에 따른 풍 속차를 측정하여 더 많은 자료를 얻었다.
5. 결 론
이번 실험을 통해서 실제 공정에서 Venturi Meter와 Pitot Tube의 위치에 따른 압력강하를 이해 할 수 있었다.
Venturi Meter 풍속이 증가함에 따라 수두차도 증가 하였다. Pitot Tube 또한 위치에 상관없이 풍속이 증가함에 따라 수두차도 같이 증가 하였다.그러나 Pitot Tube가 관 위쪽 벽에 있을 때 보다 관 중앙에 위치했을 때 결과 값이 대부분 낮았다.
또한 Venturi 관 내에서 Pitot tube의 측정위치가 가운데에 있을 때, 가장 높은 결과 값을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itot tube의 가운데를 기준의 양 옆으로 4cm 부분에서는 가운데의 결과 값보다 낮지만 서로 비슷한 결과 값을 얻을 수 있었다.
6. 참고문헌
화공 현상 실험 준비실, 『화공현상실험』
James O. Wilkes, 『화학공학 유체역학』, 도서출판 한산
Wikipedia http://www.wikipedia.org
Naver 지식사전 - http://terms.naver.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