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구치 메소드 (Experiment design by using Taguchi's method)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실험요약

2. 서론
(1) 실험의 목적
(2) 실험의 이론적 배경

3. 본론(실험)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7.19
216.83
46.72
6
218.93
220.55
220.44
221.63
220.53
219.29
220.32
219.92
218.93
219.89
220.04
46.85
7
219.62
219.30
220.71
217.74
220.05
220.51
220.35
220.20
219.66
220.29
219.84
46.84
8
193.71
192.88
192.76
192.84
191.67
192.91
193.26
193.46
194.58
192.79
193.09
45.71
위에서 구한 조건을 기준으로 실험 인자의 새로운 수준을 임의로 만들어 보면 아래와 같이 만들 수 있다. 아래의 구간은 임의로 나눈 것으로서 더 작게 나눌 수로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인자
Level
Range
A. Launch angle ()
4
10, 10.5, 11, 11.5
B. Spin rate (rpm)
2
5900, 6100
C. Air density ()
2
very cloudy(1.3), cludy(1.1)
D. Air viscosity ()
2
very humid(2.1), humid(1.9)
E. Dimple type
1
Round
일 때를 가정하고 비거리 x 와 공기저항 상수 k 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비거리는 정해진 시간에서 k가 작을 수록 커짐을 알 수 있다. [그래프 1]
위의 결과로부터 우리는 launch angle과 air viscosity간에 교호작용이 있을 수 있을 것이라 유추 할 수 있다.
또 하나 다른 가능성은 Spin rate와 Air density 간의 교호작용이다. 공과 같은 물체는 회전하게 되면 공의 윗부분은 바람의 방향과 공의 회전 방향이 같아서 공기의 속도가 빨랒고 이와 반대로 공의 아래부분은 방향이 반대여서 공기의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이에 베르누이 효과로 인해 위쪽의 공기는 아래쪽의 공기에 비해 압력이 낮아져서 위로 부양하는 힘을 받게 된다. 이런 효과를 ‘마그누스 효과’라고 한다. 공의 Spin rate가 빠를 수록, air density가 클수록 그 영향이 커서 마그누스 효과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로인해 체공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날아갈 수 있는 시간이 길어져 비거리가 길어진다는 데 문제가 있다. 따라서 둘 간의 교호작용을 고려 해야만 한다.
4. 결론
이번 실험을 통해서 가장 효율적으로 최적의 조건을 알아내는 실험을 할 수 있는 다구치 방법을 알아 보았다. 한 번에 최적 조건을 찾아내기는 어렵기 때문에 여러번 실험을 통한 평균과 S/N 비를 이용하여 실험하며, 점점 그 범위를 좁혀 나감으로써 최상의 결과를 얻어 낼 수 있었다. 또한 다구치 방법의 맹점인 교호작용에 대해서도 알아 보았다. 대부분 이런 교호작용은 미리 알아내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다구치 방법을 이용하되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했을 때는 교호작용을 고려하여 재 실험을 하면 비교적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5. 참고문헌
‘기계공학실험’ ,p 27~p.46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 가격13,86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9.25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78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