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기업주는 또 다른 의미의 보람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세 번째 덕목은 윤리경영이다. 기업주가 이윤에만 집착하고 윤리적이고 공동체적인 면을 등한시하면 할수록 그는 이기적이고 몰인정한 기업주가 될 것이다. 악한 일을 하면 할수록 악한 마음을 갖게 되듯이, 기업주가 윤리적인 경영을 하면 할수록 그는 훌륭한 인격을 갖추게 될 것이다. 물론 기업가의 윤리경영은 사회적 요구이기도 하다. 그러나 자신의 인격과 삶을 바람직하게 만들기 위해서라도 윤리 경영을 실천해야만 한다. 윤리경영을 통해서 좋은 사회적 평가를 받을수록 그리고 피고용자들에게 존경과 신뢰를 받을수록, 좀 더 고차원적인 보람과 성취감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백충용, 『민주사회의 직업윤리』, 동양문고, 2007, p210~214, 참조.
4. 토론 주제
1). 수많은 기업에는 노동조합이 존재한다. 노동조합은 노동자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설립되었고 회사측에 부당함이 있을 경우 노동자들을 대표해서 협상을 한다. 하지만 협상이 결렬되었을 경우 주로 노동조합에서는 파업에 돌입하곤 한다. 가장 큰 예로는 근래에 MBC 파업, 2009년 쌍용자동차 파업, 2005년 항공사 파업 등이 있다. 하지만 이 파업으로 인하여 일반 시민 또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큰 불편함을 감소해야만 했다. 과연 이들 노동조합의 파업은 정당한가?
2). 직업을 선택함에 있어서는 보수지향적, 기여지향적, 자아실현적 세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이러한 직업관들 중에서 과연 어떠한 직업관이 가장 타당한 직업관이라 생각하는가?
3). 당신이 한 회사의 사장으로 당신의 거래 당사자가 당신의 회사로부터 뇌물을 받기를 원한다. 만약 뇌물을 안줄 경우 이번 거래는 다른 회사에게 뺏겨 아주 큰 손해를 보게 된다. 뇌물을 주는 행위는 직업윤리에 어긋나는 행동이다. 이때 당신은 뇌물을 주어야 된다고 생각하나?
5. 참고 문헌
백충용, 『민주사회의 직업윤리』, 동양문고, 2007
김대군,박균열 『현대인의 전문직업윤리』철학과현실사
직업윤리교제 간행위원회, 『미래사회와 직업윤리』, 교육과학사,
송재범, 김현수, 『디지털시대의 직업윤리』, 인간사랑, 2001
손준영 『현대사회와 직업윤리』대왕사, 2002
http://speirs.co.kr/entry/%EC%9C%A4%EB%A6%AC%EC%9D%98%EC%8B%9D-%EC%86%8C%EB%B9%84%EC%9E%90%EC%9C%A4%EB%A6%AC
세 번째 덕목은 윤리경영이다. 기업주가 이윤에만 집착하고 윤리적이고 공동체적인 면을 등한시하면 할수록 그는 이기적이고 몰인정한 기업주가 될 것이다. 악한 일을 하면 할수록 악한 마음을 갖게 되듯이, 기업주가 윤리적인 경영을 하면 할수록 그는 훌륭한 인격을 갖추게 될 것이다. 물론 기업가의 윤리경영은 사회적 요구이기도 하다. 그러나 자신의 인격과 삶을 바람직하게 만들기 위해서라도 윤리 경영을 실천해야만 한다. 윤리경영을 통해서 좋은 사회적 평가를 받을수록 그리고 피고용자들에게 존경과 신뢰를 받을수록, 좀 더 고차원적인 보람과 성취감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백충용, 『민주사회의 직업윤리』, 동양문고, 2007, p210~214, 참조.
4. 토론 주제
1). 수많은 기업에는 노동조합이 존재한다. 노동조합은 노동자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설립되었고 회사측에 부당함이 있을 경우 노동자들을 대표해서 협상을 한다. 하지만 협상이 결렬되었을 경우 주로 노동조합에서는 파업에 돌입하곤 한다. 가장 큰 예로는 근래에 MBC 파업, 2009년 쌍용자동차 파업, 2005년 항공사 파업 등이 있다. 하지만 이 파업으로 인하여 일반 시민 또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큰 불편함을 감소해야만 했다. 과연 이들 노동조합의 파업은 정당한가?
2). 직업을 선택함에 있어서는 보수지향적, 기여지향적, 자아실현적 세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이러한 직업관들 중에서 과연 어떠한 직업관이 가장 타당한 직업관이라 생각하는가?
3). 당신이 한 회사의 사장으로 당신의 거래 당사자가 당신의 회사로부터 뇌물을 받기를 원한다. 만약 뇌물을 안줄 경우 이번 거래는 다른 회사에게 뺏겨 아주 큰 손해를 보게 된다. 뇌물을 주는 행위는 직업윤리에 어긋나는 행동이다. 이때 당신은 뇌물을 주어야 된다고 생각하나?
5. 참고 문헌
백충용, 『민주사회의 직업윤리』, 동양문고, 2007
김대군,박균열 『현대인의 전문직업윤리』철학과현실사
직업윤리교제 간행위원회, 『미래사회와 직업윤리』, 교육과학사,
송재범, 김현수, 『디지털시대의 직업윤리』, 인간사랑, 2001
손준영 『현대사회와 직업윤리』대왕사, 2002
http://speirs.co.kr/entry/%EC%9C%A4%EB%A6%AC%EC%9D%98%EC%8B%9D-%EC%86%8C%EB%B9%84%EC%9E%90%EC%9C%A4%EB%A6%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