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의학용어 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횡선이나 사선일 수 있는데, 뼈에 약간 또는 중간 정도의 직접 압력이 가해졌을 때 발생한다.
사선골절(Oblique f.) : 선상골절의 한 형태로 뼈의 축에서 사선으로 골절된다.
종선골절(Longitudinal f.) : 골절선이 뼈의 장축에 수평으로 생긴다.
횡선골절(Transverse f.) : 골절선이 뼈의 장축에 수직을 이룬다. 각을 이루며 가하는 압력을 받았을 때 발생한다.
나선골절(Spiral f.) : 골절이 뼈 둘레를 돌면서 나선형으로 골절된다. 스키사고와 같이 사지가 뒤틀릴 때 발생한다.
전위골절(Displaced f.) : 골절편이 관절이나 골절선에서 떨어져 나온 상태.
분쇄골절(Comminuted f.) : 골절된 뼈가 산산이 부서진 형태로 자동차 사고 같은 강한 힘에 의해 발생한다.
매복골절(Impacted f.) : 골절 부위의 한쪽 종단면이 다른 쪽의 종단면에 박히는 경우이다. 똑바로 선 자세로 떨어졌을 때 발생 가능하다.
압박골절(Compression f.) : 뼈의 장축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졌을 때 발생한다.
유연골절(Greenstick f.) : 뼈에 부분적으로 골절이 생기는 경우다. 나뭇가지가 꺾여졌을 때처럼 뼈의 한쪽은 완전히 분리되고 다른 쪽은 휘어지기만 한 형태이다.
- 골절 치유의 5단계
① 혈종형성 : 골절 직후 골절 부위에 출혈이 생기고 염증성 삼출물이 생긴다. 골막과 근접 조직의 혈관이 파괴되어 출혈이 일어나고 혈종이 형성되며, 혈종은 골절 주변을 둘러싸고 골절의 갈라진 골편 사이를 채운다.
② 육아조직 형성 : 수일(2~3일) 내에 혈종은 육아조직으로 대치된다. 혈종 부위는 섬유아세포로 채워지고, 이 섬유아세포가 골절 부위를 둘러싸 연조직 가골을 형성하면서 회복과정이 시작된다.
③ 가골 형성 : 손상 후 6~10일경에는 육아조직이 변화하여 일시적으로 가골을 형성한다. 이 가골은 정상의 뼈보다 크고 넓으며, 느슨하게 짜여진 뼈와 연골의 덩어리이다.
④ 골화과정 : 칼슘염과 광물질이 침착하여 딱딱하고 단단한 진성가골이 된다. 치료 기간은 3~10주로, 이 기간에 가골은 뼈로 전환되며, 이와 같은 형성과정을 거쳐 골절된 끝이 서로 단단히 연결되어 완전하게 치유된다.
⑤ 골 재형성 : 원래의 완전한 뼈가 형성되는 동시에 골아세포와 파골세포의 작용에 의해 가골이 재형성된다. 골화될 때 과잉 증식했던 뼈들은 연차적으로 흡수되고 원래의 딱딱한 뼈가 된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7.11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83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