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1) 빈민법의 발달
2) COS와 인보관운동

2.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1) 초기 사회복지(19세기 ~ 1940년대)
2) 한국의 사회복지와 외원기관
3) 카바(KAVA, Korean Association of Voluntary Agencies)
4) 자격제도와 사회복지인력

본문내용

국전쟁 이후의 외원기관
1951년부터 유엔민사 원조처(UNCAC. U.N Civil Assistance Command)의 도움으로 정부의 관계부처와 중앙구호위원회를 구성, 전재민 구호사업을 전개하였다.
① 기독교아동복리회(Christian Children`s Fund)
1948년, 내한, 한국전쟁 이후로 전쟁고아를 후원
1953-1954, 전국 71개 시설의 8,003명의 아동 후원
1986, 현 한국복지재단에 사업을 위임한 후 한국을 떠났다
② 선명회세계본부(World Vision)
1955년 내한, 아동구호사업 전개, 전국 19개 시설, 1,337명 후원
현재, 월드비전이라는 이름으로 아동후원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③ 양친회(FPP)
1853~1980 동안 활동, 33개 시설 743명의 아동 후원
외국의 후원자와 한국 아동 사이에 외원단체 사무실을 통해 후원금이 전달되는 형태
편지와 사진이 교환되는 후원 사업을 양친회에서는 후원입양으로 불렀다.
시설 아동뿐 아니라, 일반가정의 방치된 아동도 지원하였다.
일종의 거택구호사업이었으며, 1960년대 이후 추진된 가정복지사업의 선구적인 형태였다.
④ 동양선교회(Oriental Mission)
1952년에 내한하여 가장 적은 수의 아동후원사업을 전개하였는데, 1개 시설 56명의 아동을 월 $5.00씩 후원하였다.
(2) 전후 외원기관의 활동
① 긴급 구호활동 : 구호물자 도입, 현금 또는 기술 원조
② 시설구호 : 전쟁고아시설구호, 아동후원사업, 전쟁미망인구호, 피난민정착사업, 급식구호, 고아해외입양, 기타시설 원조 및 구호 등.
③ 영농기술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 한미재단(AKF)의 지원으로 시작된 4H운동
④ 양로원 지원, 맹인 시설 지원, 부녀복지시설 지원, 탁아소 지원, 농어촌 개발 사업 등
3) 카바(KAVA, Korean Association of Voluntary Agencies)
여러 외원기관들은 개별적으로 운영되어오던 사업 형태를 통일하고 좀 더 효과적인 원조를 실시하기 위하여 1952년, 7개 기관이 모여서 카바(KAVA)를 결성하였다.
① 카바의 구성
카바는 의결기관으로서 기관대표로 구성된 자문위원회, 사회복지분과위원회, 교육 분과위원회, 지역사회분과위원회, 구호분과위원회, 보건 분과위원회, 소분과위원회
② 카바의 발전
1954년, 33개 외원단체 가입. 1955년, 사무국을 두어 연합회로서의 기능을 갖추었다.
1962년에는 62개, 1964년에는 70개, 1970년에는 76개 단체가 카바에 가입.
③ 카바의 활동
고아문제, 장애문제, 혼혈아문제, 아동유기 등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 모색을 위해 실태 조사 실시
점차 자선사업에서 재활사업으로 전환
초등학생을 위한 음식제공 등
4) 자격제도와 사회복지인력
① 1997년 개정된 사회복지사업법에 따라, 2003년부터 국가자격시험을 실시하여 새로운 자격제도를 실행하게 되었다. 이 제도로 모든 예비사회복지사와 2급, 3급 사회복지사는 국가시험에 합격하여야 공인된 1급 사회복지사의 자격을 얻게 된다. 2002년 현재 69,323명이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소유하고 있다.
② 사회복지사 자격을 인정하는 공인 국가시험으로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시험과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시험이 있다. 또 사회복지협회 자체에서 사회복지의 자격을 높이고 질을 통제하고자 전문사회복지사 자격증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③ 한국의 사회복지는 교육 정도와 실무경력에 따라 1급, 2급, 3급으로 구분한다. 사회복지는 주로 지역사회복지관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1987년부터 사회복지전문요원이 구청과 동사무소에 배치되어 활동하고 있다. 또 의료, 정신의료분야에서도 특수성과 전문성을 갖고 병원과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④ 자원봉사자도 사회복지실천에서 매우 중요한 인력으로, 자원봉사자의 효율적인 활용은 사회복지실천의 성패를 좌우하기도 한다.
* 대표적인 외원단체
단체명
주요 활동
한미재단
(American-Korean Foundation)
1952년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요청으로 한국 사람과 미국인의 우정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
비영리, 비정치성에 의한 자조를 목표로 보건, 교육, 복지사업, 농업, 지역사회 개발, 예술, 문화사업
미국 유학중인 한국 학생에 대한 교육적 카운슬링, 귀국 학생에 대한 직업 조력, 보사부와 W. H. O의 협력으로 결핵치료 사업
CARE
(Cooperative for American Relief Everywhere)
세계적으로 활동하는 미국의 구호연맹으로서 미국 내의 26개 사회자선단체로 구성된 시립기간
Self-help의 유용에 대하여 협조해 주는 것을 목적
노동자, 가정주부, 취학아동, 여성단체, 노동조합, 교회 및 사교단체, 기타 많은 단체 지원
경제적 곤란에 처한 초등학생에 대한 식량문제 협조와 아동보건소 설립, 경제적 불경기 때의 일반협조와 지역사회개발 협조 등
홀트양자회
(Holt Adoption Program)
미국의 오래곤 주에 있는 혼혈아의 해외 입양기구
버림받은 아동의 해외 입양 추진 기구
기독교세계봉사회(Korean Church World Service)
그리스도의 사랑을 실천하는 데 목적을 둠
가족계획, 결핵사업, 가정 복지, 지역사회개발, 불구자 재활사업, 긴급 재해 구호 등 광범위한 사업
극빈자의 자조(self-help)정신고취
양친회
(Foster Parents Plan)
빈곤가정에 대한 현금과 물질적 원조 및 자조를 목적
서울과 부산 같은 대도시에서 일반적으로 3명 이상의 자녀를 가진 가정으로 아버지가 없고 그 가족의 수입이 시급한 가정을 대상으로 교육비 보조
가톨릭구제회
(United States Catholic Conference)
구호, 사회복지, 의료, 사회경제적 발전 분야에 대한 물질적, 재정적 보조와 원조 목적으로 설립
식량, 의복, 약품, 물질무상공급, 망명자의 재정착, 토지개간, 양자 및 결연 사업 등
세계구호위원회
(World Relief Commission)
그리스도 구호사업과 재활 계획 목적
PL480에 의거한 식량 공급
구라선교회
(The Leprosy Mission)
나병환자 구제와 정신적 도움을 목표
의료구호와 생계보조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2.07.13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87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