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관리] 생산시스템의 의사결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 2
Ⅱ. 본 론 ……………………………… 2
 1. 생산관리의 정의 ……………………………… 2
 2. 생산전략의 정의 ……………………………… 3
 3. 생산전략의 목표 ……………………………… 4
  가. 원가 ……………………………… 4
  나. 품질 ……………………………… 4
  다. 납기 ……………………………… 4
  라. 유연성 ……………………………… 4
 4. 기업전략가 생산전략 ……………………………… 5
 5. 포터의 경쟁전략 ……………………………… 5
 6. 의사결정을 위한 문제의 정의 ……………………………… 6
 7. 의사결정기법 ……………………………… 7
  가. 브레인 스토밍(Brain Storming) ……………………… 8
  나. 델파이법(Delphi Method) ……………………………… 8
  다. 명목집단기법(nominal grouping technique) ………… 9
  라. 브레인 라이팅(Brain Writing) ………………………… 9
  마. 최악의 아이디어 방법 ……………………………… 9
  바. 가상여행 ……………………………… 9
 8. 의사결정의 종류 ……………………………… 9
  가. 의사결정의 수준에 따라 ……………………………… 9
  나. 의사결정의 성격에 따라 10
  다. 의사결정의 상황에 따라 10
Ⅲ. 결 론 11
* 참고문헌 ……………………………

본문내용

쁜 아이디어이다. 그것은 인습에서 해방된 파격적 방법을 통해 위대한 발상으로 이끈다.
바. 가상여행
참가자는 머리 속으로 표적시장의 소비자가 되어 하루의 일상을 상상한다. 이 방법을 이용했던 사람은 누구나 객관적 사실, 느낌, 문제점, 문제해결을 위한 필요조건 등 풍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 다음 그 정보를 이용해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 창조한다.
8. 의사결정의 종류
가. 의사결정의 수준에 따라
엔소프(H.I.Ansoff)는 의사결정을 수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하고 있다.
첫째, 전략적 의사결정(strategic decision making)이란 기업의 성격을 기본적으로 좌우하는 기업과 외부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의사결정으로서, 장기적ㆍ거시적ㆍ전체적인 성격을 띤다. 이는 주로 최고경영자층이 수행하는 의사결정이다. 그러나 전략적 의사결정은 기업과 외부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의사결정이므로 예측이 곤란하고 불확실하여 계량적으로 파악하기가 어렵다.
둘째, 관리적 의사결정(administrative decision making)이란 전략적 의사결정을 구체화하기 위해 인적ㆍ물적 자원을 조달하여 최대의 수익성을 올릴 수 있도록 기업의 자원을 조달하기 위한 의사결정으로서, 주로 중간경영층이 수행하는 의사결정이다.
셋째, 업무적 의사결정(operating decision making)이란 일상적으로 행하는 업무에 관한 의사결정으로서, 주로 하층경영층이 수행하는 의사결정이다. 의사결정의 목적은 기업자원의 전환과정에서 능률 또는 수익성을 최대로 하고자 함에 있다.
나. 의사결정의 성격에 따라
사이몬(H.A.Simon)은 의사결정을 성격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하고 있다.
첫째, 정형적 의사결정(programmed decision making)이란 규칙화가 용이하며, 자주 되풀이 되며, 구조가 비교적 명확히 되어 있는 의사결정으로 프로그램화가 가능하다.
둘째, 비정형적 의사결정(non-programmed decision making)이란 개인의 경험ㆍ판단ㆍ능력ㆍ직관에 의해 영향을 받는 휴리스틱한 문제해결법으로, 프로그램화가 가능하다.
다. 의사결정의 상황에 따라
첫째, 확실한 상황(certainty)은 의사결정에 필요한 완전정보의 이용이 가능하여 의사결정자가 각 행동대안에 대한 성과를 명확히 알 수 있는 경우를 말한다. 이 경우 의사결정자는 미래의 성과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가 확실한 상황을 확정적(deterministic)이라고 한다. 확실한 상황하의 의사결정문제는 각 대안의 성과를 비교하여 최대의 이익이나 최소의 비용을 가진 대안을 최적대안으로 선택함으로써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둘째, 위험한 상황(risk)은 의사결정자가 여러 개의 발생 가능한 결과와 이 결과가 출현할 확률을 알 수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 상황 하에서는 의사결정자가 특정상황이 발생할 확률을 알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만약 의사결정에서 결과의 출현이 확실치 않다고 하여도 과거의 경험이나 자료에 의하여 그 빈도, 또는 확률을 알 수 있다면 특정결과의 출현은 확률적 개념 하에서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위험한 상황하의 의사결정은 확률적 의사결정(stochastic decision)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불확실한 상황(uncertainty)은 의사결정자가 각 행동대안에 대해 발생 가능한 여러 결과를 알고 있으나 위험한 상황과는 대조적으로 각 상황의 출현확률을 알 수 없는 경우이다. 또한 불확실한 상황 하에서는 위험한 상황 하에서보다 이용가능한 정보가 적다. 또한 이 상황 하에서는 의사결정자는 발생 가능한 결과에 대해 확률을 부여하지 못하고, 단지 결과의 출현에 대하여 막연한 기대만을 가질 수밖에 없다.
Ⅲ. 결 론
오늘날 경영자의 가장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는 의사결정이다. 의사결정은 경영자가 당면하고 있는 경영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기본요건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영자가 기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여건 하에서 여러 가지 행동경로, 또는 대안에 대해서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 특히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경제적, 또는 기타의 환경이 급변하는 불확실성하에서는 적절한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며, 경영자에 의해서 내려진 의사결정은 단기적인 기업목표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 기업의 장래를 좌우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의사결정은 여러 측면에서 고려되고 평가됨으로써 내려질 수 있다. 한 개인이나, 한 집단이 주어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선택 가능한 행동, 또는 대안 중에서 최적의 행동이나 대안을 선택해야 한다.
의사결정기법은 브레인 스토밍(Brain Storming), 델파이법(Delphi Method), 명목집단기법(nominal grouping technique), 브레인 라이팅(Brain Writing), 최악의 아이디어 방법, 가상여행이 있다.
의사결정의 종류는 첫째, 의사결정의 수준에 따라 전략적 의사결정(strategic decision making), 관리적 의사결정(administrative decision making), 업무적 의사결정(operating decision making)이 있다. 둘째, 의사결정의 성격에 따라 정형적 의사결정(programmed decision making), 비정형적 의사결정(non-programmed decision making)이 있다. 셋째, 의사결정의 상황에 따라 확실한 상황(certainty), 위험한 상황(risk), 불확실한 상황(uncertainty)이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의사결정기법과 종류에 따른 생산전략을 통한 계획이 성공한 기업과 경영자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 참고문헌
1. 문상원ㆍ김태웅, 「생산관리」,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2001
2. 엄갑호, 「생산관리론」, 청수서원, 2002
3. 고명훈외, 「생산관리시스템」, 선학출판사, 2003
4. 나중경ㆍ박상범, 「생산관리」, 삼영사, 2001
5. 이상문, 「생산관리」, 형설출판사, 2003
6. 정충영, 「생산관리」, 무역경영사, 2000
7. 이운우, 「생산관리」, 학문사, 2003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07.31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99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