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과 운동치료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골다공증과 운동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I. 골다공증이란 1

1. 골다공증의 정의 1
2. 골다공증의 원인 1
3. 골다공증의 증상 3
4. 골다공증의 종류 3

Ⅱ. 골다공증의 운동치료 4

1. 골다공증 환자의 운동 시 주의사항 5
2. 운동 치료 5
3. 영양 치료 9

Ⅲ. 골다공증 예방 10


※ 참고문헌 11

본문내용

1~4주 때 달성하고 속도는 5-14주에 개선한다.
① 걷기의 올바른 자세
시선은 15m 앞을 주시하며 허리를 펴고, 팔꿈치는‘L’자, 또는‘V’자 모양으로 약간 구 부린 상태로 하고 보폭은 [키 - 100], 걷 는 도중의 호흡은 코로 들이쉬고 입으로 내 쉬도록 한다. 또 다리는 양 무릎이 스칠 정 도로 거의 일자에 가깝게 이동시킨다. 주먹은 가볍게 쥐고 가슴 중심선을 중심으로 조금씩 교차되는 정도로 움직인다. 주먹과 가슴 사이의 거리가 30㎝이상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걸을 때는 뒷발꿈치부터 대고 발바닥은 바깥쪽에서 안쪽면이 닿도록 한다.
ㄴ. 등척성 운동
운동할 때 근육에 주어지는 부하는 변하지만 근육의 길이는 변화가 없는 것을 등척성 운동이라고 한다. 운동 방법은 자신이 발휘하는 힘을 이용하는 방법과 상대편이 발휘하는 힘을 이용하는 방법 및 고정된 물체 또는 정적 트레이닝대를 이용하여 실시한다.
등척성 운동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① 운동강도는 서서히 힘을 주기 시작하여 최대의 힘을 내도록 한다.
② 운동시간은 각 동작은 최대의 힘을 주는 최대의 힘이 발휘될 때 8~15초간 지속하도록 하며 모든 운동을 순환 식으로 하루에 2~3회씩 반복한다.
③ 운동빈도는 1주일에 4일 이상 실시해야 효과적이다.
- 손대고 밀기 : 가슴 앞에서 양 손바닥을 대고 최대의 힘으로 민다.
- 손잡고 당기기 : 양손을 가슴 앞에서 마주 잡고 바깥쪽을 향해 최대의 힘으로 당긴 다.
- 한쪽 다리 들어올리기 : 양쪽 발목에 밴드를 건 다음 다른 한쪽 다리를 최대의 힘을 가하여 들어올린다. 다른 발로는 밴드를 고정시키며 양쪽을 번갈아 한번 씩 실시하되 몸이 들리지 않도록 벽을 잡고 실시 하도록 한다.
- 벽에 등대고 앉기 : 벽에 등을 댄 채로 선 다음, 무릎이 90도가 될 때까지 상체를 서 서히 내려 의자에 앉은 자세를 취한다. 다리의 최대 힘을 발휘하 여 자세를 취한다.
ㄷ. 등척성 복근운동
횟수를 반복하는 것보다 이 운동은 스트레칭과 같이 최대지점에서 정적수축을 한다.
① -1. 바닥에 편안하게 누워 무릎을 세운다. 손은 손등이 위로 가도록 무릎을 향해 앞으로 나란히 동작을 한다.
① -2. 앞으로 뻗은 손이 무릎에 닿을 수 있도록 상체를 점점 높이 들어 올려서 5초간 정지한다. 고개를 드는 것이 아니라 배에 힘을 주고 상체를 들어 올린다는 느낌이어야 한다. ① ②
② -1. 바닥에 다리를 펴고 앉아 등을 똑바로 편다. 다리는 앞으로 뻗어 가지런히 모은다. 팔꿈치를 구부려 팔을 몸 옆에 붙이고 엄지손가락이 안쪽으로 가도록 주먹을 쥔다.
② -2. 상체를 눕혀 팔꿈치를 바닥에 대고 몸을 지탱하면서 다리를 들어 올렸다가 다시 내린다. 다리를 들어 올릴 때는 등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다.
3. 영양 치료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선 칼슘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폐경 후 여성은 매일 1천~1천 5백㎎의 칼슘 섭취가 필요하다. 칼슘을 보충하려면 유제품 및 뼈째 먹는 식품을 자주 즐기는 것이 효과적이다.
칼슘은 많이 먹어도 흡수가 잘 되지 않기 때문에 흡수를 돕는 비타민D 를 함께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타민D는 보통 음식을 통해 섭취하기 힘들므로 비타민제를 먹거나 하루 30분가량 햇볕을 쬐어 직접 비타민D를 공급하는 게 좋다.
또 신장의 정기를 보강하는 검은 색 식품군인 ‘블랙푸드’도 골다공증의 치료와 예방에 좋은 식품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골다공증 환자의 식사법
ㄱ. 칼슘이 풍부한 식품을 매일 2회 이상 먹는다.
ㄴ. 비타민D를 충분히 섭취한다.
ㄷ. 저체중인 경우 음식을 충분히 먹는다.
ㄹ. 칼슘 흡수 방해하는 지방의 과잉섭취는 자제한다.
ㅁ. 술, 담배, 카페인이 함유된 것들은 피한다.
ㅂ. 패스트푸드, 청량음료, 인스턴트식품 등을 피한다.
Ⅲ. 골다공증 예방
치료와 더불어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골다공증의 예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있는데 적절한 칼슘 섭취와 적절한 운동이다. 성장기에서부터 충분한 운동, 충분한 칼슘을 섭취하고 유전적으로 결정된 최대한 골량이 형성되도록 해야 하며 폐경이 되면 골밀도 검사와 함께 골다공증 위험인자를 점검하여 가능한 골소실이 적게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다.
1) 골다공증의 예방을 위해 해야 하는 일
ㄱ. 생활습관
ㄴ. 식사조절 : 칼슘섭취, 음식을 짜게 먹지 않는다.
ㄷ. 운동 : 운동의 중요성은 골다공증의 예방이나 폐경기 여성에서도 골절의 위험성을 줄 일 수 있다. 40-77세 폐경기 여성 61,200명의 연구에서 활동량이 많으면 많 을수록 고관절 골절 위험도는 감소하며 일주일에 4시간 이상 걷는다면 고관 절 골절 위험을 약 41%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운동이 골강도를 이루는 데 중요하며 식사에 칼슘의 섭취는 중요하지만 골 스트레스가 동반되어야 한 다고 하였다.
ㄹ. 사춘기 예방 : 초경이 시작(9-16세)되면 운동으로 골세포를 자극하고 칼슘의 필요량 을 섭취, 적당한 시점에서 여성 호르몬의 적정 분비 여부 검사가 필요 하다.
ㅁ. 갱년기 여성 예방 : 월경이 중단되기 전 1~3년에 골다공증이 나타나기 쉽다. 갱년기 후 5-6년은 매년 1~3%씩 뼈가 감소되고 골절빈도는 10배나 증가한다. 이학적 검사로서 키, 몸무게를 매년 측정하고 척추후 만증과 요통을 평가해야한다.
※ 참고문헌
박원근. 건강특종 골다공증 안걸리는 여자. 하늘출판사. 1995.8.25.
임승길. BMA 세브란스 패밀리 닥터 시리즈 골다공증. 아카데미아. 2005.5.2
조태형.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 (운동과 영양을 중심으로 한), 서울의학사.
2006.01.15
김영수 외4명,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운동프로그램, 한국체육과학연
구원. 1997
대한골다공증학회 http://www.koreanosteoporosis.or.kr/
한국건강관리협회 http://www.kahp.or.kr/
골다공증민간비방연구소 http://www.biman.pe.kr/
YTN 뉴스
동영상
http://cafe.naver.com/silqlife.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58
  • 가격2,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08.06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02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