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교회사회사업 실천기술의 특성
1. 활동체계의 차이
2. 신분과 역할의 차이
3. 하나님의 사랑을 표현하는 가장 중요한 도구
Ⅲ. 교회사회사업의 실천
1. 교회사회사업의 요구
2. 교회사회사업 실천의 문제
Ⅳ. 자원동원의 중요성과 방법
1. 자원동원의 중요성
2. 자원동원의 방법
Ⅴ. 교회사회사업 실천기술 원리
1. 서로의 이야기에 집중하며 진지하게 듣고 감탄하기
2. 한 번에 한 사람씩 나누기
3. 가능하면 현재에 머물기
4. 개인의 사례를 일반화하지 말기
5. 자신에게 정직하고 성실하기
6. 서로를 존중하기
7. 자신의 문제를 소유하기
8. 자신을 객관적으로 관찰하기
9. 훈련된 언어 생활하기
10. 서로의 비밀을 존중하기
Ⅴ. 결론
Ⅱ. 교회사회사업 실천기술의 특성
1. 활동체계의 차이
2. 신분과 역할의 차이
3. 하나님의 사랑을 표현하는 가장 중요한 도구
Ⅲ. 교회사회사업의 실천
1. 교회사회사업의 요구
2. 교회사회사업 실천의 문제
Ⅳ. 자원동원의 중요성과 방법
1. 자원동원의 중요성
2. 자원동원의 방법
Ⅴ. 교회사회사업 실천기술 원리
1. 서로의 이야기에 집중하며 진지하게 듣고 감탄하기
2. 한 번에 한 사람씩 나누기
3. 가능하면 현재에 머물기
4. 개인의 사례를 일반화하지 말기
5. 자신에게 정직하고 성실하기
6. 서로를 존중하기
7. 자신의 문제를 소유하기
8. 자신을 객관적으로 관찰하기
9. 훈련된 언어 생활하기
10. 서로의 비밀을 존중하기
Ⅴ. 결론
본문내용
첨벙 물 속에 뛰어들지 않고 강둑에 앉아 바라보며 관찰하며 배우는 사람이다. 사람이 상황에 뛰어들어 풍덩 빠지게 되면 흑백논리, 옳고 그름, 잘 잘못 등에 빠지고 상대의 이야기를 들을 여유가 없게 되며 격한 감정으로 치닫는 경우가 많다(사 7, 36-39). 뿐만 아니라 상대도 함께 빠지게 되는 물귀신 같은 역할을 하여 모임을 힘들게 할 수 있다. 자기 관찰을 하는 사람들은 열띤 토론 한가운데서도 동시에 조금 뒤로 물러나 자신의 모습, 자신의 행동과 언어, 자신의 냄새 등을 보고 맡을 수 있는 자신에 대한 냉철함을 보이는 과정 중심의 사람이다.
9. 훈련된 언어 생활하기
과정을 중시하는 교회사회사업가와 교인은 훈련되고 세련된 언어 생활을 한다. 다음은 건강한 생명을 낳을 수 있는 언어적 기술들이다(고후 2:4, 골 2:1, 고후 6:11).
(1) 상대가 감정적으로 힘들게 보일 때는 공감적 반영을 한다. 공감적 반영은 “상대가 문제를 소유하고 있는 것처럼 보일 때” 상대를 문제에서 건져낼 수 있는 효과적인 대화술로 그 틀은 “이유 + 상대가 느낀다고 생각하는 느낌 표현”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집사님의 말을 듣고 보니/집사님을 보니 참 답답하게 느끼시겠어요.”하는 것이다. 즉, 상대가 느낀다고 생각하는 감정을 반영해 주는 것으로 자신의 개인적 의견이나 생각, 또는 감정을 철저하게 배제한다. 공감적 반영이 잘 될 때, 먼저 상대가 이해 받는 느낌을 갖는다.
(2) 자기 표현은 공감적 반영과는 반대로 “자신이 문제를 소유하고 있는 때” 사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화술이다. 그 틀은 “상대의 행동, 태도, 또는 말 + 그로 인해 자신이 받은 영향 + 그래서 현재의 기분”으로 되어 있다.
가령, “아무도 내 말을 듣지 않는 것 같아 무시당한 생각이 들어 기분이 참 그렇네요.” 같은 것이다.
(3) 상대에 대한 느낌과 인상은 가능하면 피드백(feedback)으로 표현한다(살전 2: 8; 롬 1: 11; 빌 1: 8). 상대가 이야기 할 때, 가능하면 직접적 충고, 방향 제시, 해석, 분석, 판단, 구해내기, 깊이 없는 농담, 대변 등을 피하고 피드백을 한다. 피드백이란 상대의 이야기를 들으며 내가 개인적으로 상대를 경험한 것을 전하거나 상대의 이야기를 들으며 내가 개인적으로 상대를 경험한 것들을 나누는 대화술이다.
예를 들면, 스스로 결정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들이 충고나 지시에 의존해서 살아가는 모습을 반복적으로 발견하게 될 때 “집사님 말씀하는 것을 들으며 제가 받은 인상은 집사님은 스스로 결정하는데 참 어려움을 느끼시는 것 같아요”하거나 “집사님이 스스로 결정하시는데 참 어려움을 느끼시는 것 같아요. 마치 내 모습을 보는 것 같아요”라고 말할 때 피드백을 주는 것이다.
(4) 네 가지 반응을 조심해야 한다(고후 2:14; 살후 1:4; 롬 5:3).
첫째, 격렬한 생체적 반응으로 면담을 시작해서는 안 된다.
둘째, 일방적인 비난적 자세를 피해야 한다.
셋째, 철저한 방어적 자세를 갖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넷째, 담 또는 벽의 자세를 깨도록 애써야 한다.
10. 서로의 비밀을 존중하기
이 말은 면담을 통해서 나온 말은 가능하면 비밀성을 존중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럴 때 서로를 신뢰하게 되고 자기 개방과 좀더 깊은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안전한 분위기가 되어 “진짜와 진짜가 만날 수 있는 분위기”가 되어 거룩함과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 진정한 교회사회사업 실천 현장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가능하면 교회사회사업 실천 현장을 떠날 때, 서로 극히 개인적인 이야기를 그 장소에 놓고 떠나는 마음의 훈련이 중요하다.
Ⅴ. 결론
교회에 대한 일련의 역사적 사조는 ‘성도의 교제’를 강조하는 유기체로서의 교회와 제도를 강조하는 조직체로서의 교회 사이에서 시계추와 같이 반복되어 흘러왔음을 보여주고 있다. 역사는 우리에게 양국면에 대한 이해의 균형이 있어야 할 것을 교훈한다. 교회는 ‘지역사회내에서 조직구성원의 하나로서 오랫동안 존재하여 왔으며 사회에 다양한 봉사를 행하여 왔고, 여러 사회봉사주체-공공기관, 비영리기관, 영리기관, 자조집단, 개인-중에서 비영리기관에 속하는 조직체이다. 김기원, “교회의 사회적 기능” 「기독교와 사회복지」한국기독교사회복지학회편(서울:예안),1995, p.12.
조직체로서 지역사회내에서 존재하고 그 기능을 하는 사회조직이다. 사회조직으로서 교회내에서 수행해야할 기능이 있다. 그 기능은 ① 생산분배소비기능, ② 사회화기능, ③ 신분부여기능, ④ 친교적 기능, ⑤ 사회연대기능, ⑥사회안정기능, ⑦사회통제기능, ⑧ 사회개혁기능, ⑨사회복지기능이 있다. 교회는 복지다원주의 하에서 사회복지사업의 한 주체로서 오랫동안 기여해 왔다. 라인홀드 니버는 ’교회는 사회복지를 낳고 키운 어머니‘로서 보았다. 이렇게 교회가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노력을 통하여 사회복지기능을 수행하여 왔다. 사회복지조직으로서 교회는 사회복지기관들의 협력자, 보완자, 비판자의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고 박영호, 「교회와 산업사회」(서울:기독교문서선교회, 1984), pp.133-134 : 이삼열, 「사회봉사의 신학과 실천」(서울:한울, 1992),pp.24-25.
직접적간접적으로 복지사업을 실천하기도 하며, 전략적으로 교회의 사회복지기능을 요구된다.
이를 위해 많은 교인이 사회사업 실천에 참여하여 보람과 감동을 가질 수 있도록 교회사회사업의 저변을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한 두 사람의 교인이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전교인이 사회사업에 대해 관심을 갖고 참여함으로 의미 있는 사회사업 실천 체험을 하게끔 하는 사업과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회사회사업 실천 기술을 개발하여 훈련함으로 성공적인 실행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나아가 교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보다 효과적인 자원봉사 교육을 해나가야 한다. 자원봉사자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동기를 부여하고 끊임없이 교육하며 훈련하는 것은 교회사회사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꾀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교육과 훈련을 통해서 교회사회사업의 중요성을 인식해 나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매맺는 교회사회사업 실천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9. 훈련된 언어 생활하기
과정을 중시하는 교회사회사업가와 교인은 훈련되고 세련된 언어 생활을 한다. 다음은 건강한 생명을 낳을 수 있는 언어적 기술들이다(고후 2:4, 골 2:1, 고후 6:11).
(1) 상대가 감정적으로 힘들게 보일 때는 공감적 반영을 한다. 공감적 반영은 “상대가 문제를 소유하고 있는 것처럼 보일 때” 상대를 문제에서 건져낼 수 있는 효과적인 대화술로 그 틀은 “이유 + 상대가 느낀다고 생각하는 느낌 표현”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집사님의 말을 듣고 보니/집사님을 보니 참 답답하게 느끼시겠어요.”하는 것이다. 즉, 상대가 느낀다고 생각하는 감정을 반영해 주는 것으로 자신의 개인적 의견이나 생각, 또는 감정을 철저하게 배제한다. 공감적 반영이 잘 될 때, 먼저 상대가 이해 받는 느낌을 갖는다.
(2) 자기 표현은 공감적 반영과는 반대로 “자신이 문제를 소유하고 있는 때” 사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화술이다. 그 틀은 “상대의 행동, 태도, 또는 말 + 그로 인해 자신이 받은 영향 + 그래서 현재의 기분”으로 되어 있다.
가령, “아무도 내 말을 듣지 않는 것 같아 무시당한 생각이 들어 기분이 참 그렇네요.” 같은 것이다.
(3) 상대에 대한 느낌과 인상은 가능하면 피드백(feedback)으로 표현한다(살전 2: 8; 롬 1: 11; 빌 1: 8). 상대가 이야기 할 때, 가능하면 직접적 충고, 방향 제시, 해석, 분석, 판단, 구해내기, 깊이 없는 농담, 대변 등을 피하고 피드백을 한다. 피드백이란 상대의 이야기를 들으며 내가 개인적으로 상대를 경험한 것을 전하거나 상대의 이야기를 들으며 내가 개인적으로 상대를 경험한 것들을 나누는 대화술이다.
예를 들면, 스스로 결정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들이 충고나 지시에 의존해서 살아가는 모습을 반복적으로 발견하게 될 때 “집사님 말씀하는 것을 들으며 제가 받은 인상은 집사님은 스스로 결정하는데 참 어려움을 느끼시는 것 같아요”하거나 “집사님이 스스로 결정하시는데 참 어려움을 느끼시는 것 같아요. 마치 내 모습을 보는 것 같아요”라고 말할 때 피드백을 주는 것이다.
(4) 네 가지 반응을 조심해야 한다(고후 2:14; 살후 1:4; 롬 5:3).
첫째, 격렬한 생체적 반응으로 면담을 시작해서는 안 된다.
둘째, 일방적인 비난적 자세를 피해야 한다.
셋째, 철저한 방어적 자세를 갖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넷째, 담 또는 벽의 자세를 깨도록 애써야 한다.
10. 서로의 비밀을 존중하기
이 말은 면담을 통해서 나온 말은 가능하면 비밀성을 존중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럴 때 서로를 신뢰하게 되고 자기 개방과 좀더 깊은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안전한 분위기가 되어 “진짜와 진짜가 만날 수 있는 분위기”가 되어 거룩함과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 진정한 교회사회사업 실천 현장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가능하면 교회사회사업 실천 현장을 떠날 때, 서로 극히 개인적인 이야기를 그 장소에 놓고 떠나는 마음의 훈련이 중요하다.
Ⅴ. 결론
교회에 대한 일련의 역사적 사조는 ‘성도의 교제’를 강조하는 유기체로서의 교회와 제도를 강조하는 조직체로서의 교회 사이에서 시계추와 같이 반복되어 흘러왔음을 보여주고 있다. 역사는 우리에게 양국면에 대한 이해의 균형이 있어야 할 것을 교훈한다. 교회는 ‘지역사회내에서 조직구성원의 하나로서 오랫동안 존재하여 왔으며 사회에 다양한 봉사를 행하여 왔고, 여러 사회봉사주체-공공기관, 비영리기관, 영리기관, 자조집단, 개인-중에서 비영리기관에 속하는 조직체이다. 김기원, “교회의 사회적 기능” 「기독교와 사회복지」한국기독교사회복지학회편(서울:예안),1995, p.12.
조직체로서 지역사회내에서 존재하고 그 기능을 하는 사회조직이다. 사회조직으로서 교회내에서 수행해야할 기능이 있다. 그 기능은 ① 생산분배소비기능, ② 사회화기능, ③ 신분부여기능, ④ 친교적 기능, ⑤ 사회연대기능, ⑥사회안정기능, ⑦사회통제기능, ⑧ 사회개혁기능, ⑨사회복지기능이 있다. 교회는 복지다원주의 하에서 사회복지사업의 한 주체로서 오랫동안 기여해 왔다. 라인홀드 니버는 ’교회는 사회복지를 낳고 키운 어머니‘로서 보았다. 이렇게 교회가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노력을 통하여 사회복지기능을 수행하여 왔다. 사회복지조직으로서 교회는 사회복지기관들의 협력자, 보완자, 비판자의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고 박영호, 「교회와 산업사회」(서울:기독교문서선교회, 1984), pp.133-134 : 이삼열, 「사회봉사의 신학과 실천」(서울:한울, 1992),pp.24-25.
직접적간접적으로 복지사업을 실천하기도 하며, 전략적으로 교회의 사회복지기능을 요구된다.
이를 위해 많은 교인이 사회사업 실천에 참여하여 보람과 감동을 가질 수 있도록 교회사회사업의 저변을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한 두 사람의 교인이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전교인이 사회사업에 대해 관심을 갖고 참여함으로 의미 있는 사회사업 실천 체험을 하게끔 하는 사업과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회사회사업 실천 기술을 개발하여 훈련함으로 성공적인 실행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나아가 교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보다 효과적인 자원봉사 교육을 해나가야 한다. 자원봉사자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동기를 부여하고 끊임없이 교육하며 훈련하는 것은 교회사회사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꾀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교육과 훈련을 통해서 교회사회사업의 중요성을 인식해 나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매맺는 교회사회사업 실천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추천자료
사회복지사무소의 문제점과 대책
사회복지실천 - 사례관리
[경영학과] 경영전략론 정리
기업의 사회공헌과 장애인 고용
사회복지실천모델
사회복지관
지역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사의 실천기술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
국가자격시험 사회복지사 1급 지역사회복지론 특강 자료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관의 근거와 사업, 운영과 발전방향 및 지역자활센터의 기능과...
사회복지협의회(개념, 구성, 활동원칙, 기능, 사업, 비판, 문제점, 개선방안) 요약정리
≪지역갈등(地域葛藤/Regional Conflict)≫ 지역갈등의 개념과 특징 및 지역갈등과 지방정부간 ...
[원서번역] Advanced Generalist Social Work Practice (저자 - David S. Derezotes) 11장 종결
[지역사회복지론 공통] 교재 제3장에 소개된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관점’과 ‘이론’을 각각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