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간생태학
2. 갈등이론
3. 사회체계이론/기능주의
4. 조직이론
6. 사회적 교환이론
5. 자원 동원이론
2. 갈등이론
3. 사회체계이론/기능주의
4. 조직이론
6. 사회적 교환이론
5. 자원 동원이론
본문내용
검토하여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보상을 얻을 수 있는 길을 선택한다. 보상이나 이익은 관계에서 도출되는 긍정적 결과를 가리킨다. 여기에는 심리적 안정, 사회적 지위, 만족감과 같은 심리적사회적 결과물을 비롯하여 경제적물질적 이득까지 포함된다. 그러나 보상의 획득에는 언제나 비용이 따른다. 만일 비용이 보상보다 커지게 된다면 관계는 유지되기 어렵다.
◎ 블라우의 교환이론: 교환이라는 인간의 사회적 행동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사회적 유대(즉, 동반자/평등의 관계) 또는 차별적 지위구조(즉, 불평등의 관계)를 만들어내는지에 관심. 교환이 평등한 관계로 이어질지 아니면 불평등한 관계로 이어질지는 교환에서 얻는 이익의 호혜성(reciprocity) 여부에 달려 있다.
= 호혜적인 교환은 사람 사이의 신뢰와 유대를 강화. 반면, 일방적인 시혜는 권력과 지위의 차이를 만들어 낸다. 따라서 권력 구조는 불평등한 교환 관계에서 만들어 진다.
= 그러나 비대칭적인 의존 관계와 권력 관계는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힘(권력)이 없거나 덜 가진 사람/집단이 권력의 불균형을 시정하기 위해 온갖 노력을 기울이기 때문이다. 블라우에 따르면, 권력 불균형을 시정하기 위해 힘이 없는 사람/집단이 취할 수 있는 행동은 힘이 있는 사람/집단에게 복종(deference)을 보이는 것이다. 힘이 있는 사람/집단은 이들로부터 복종과 지위를 얻고 반대급부로 상대방이 필요로 하는 자원을 제공한다.
= 사회적 교환이론은 지역사회실천가들에게 권력이 교환관계의 동학(動學)에서 파생되는 것임을 깨닫게 해 준다. 이 이론이 시사하는 바는 이렇다. 지역사회실천가들이 지역사회복지와 관련된 의사결정 과정에 충분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는 상황에 놓여 있을지라도, 쉽게 좌절하거나 포기해서는 안 된다. 권력(영향력)은 결국 교환할 자원의 양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고, 모자라는 자원은 연합을 통해 보충할 수 있다. 물론, 연합의 위험성에 대해서도 경계를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 외부 조직에 대한 자원 의존은 목표의 왜곡과 자율성 상실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 오정수·류진석, 지역사회복지론, 학지사
- 장창호·고순철·김익균·김치영, 지역사회복지론, 교문사
- 강희철·정무성, 지역사회 복지실천론, 나남출판
- 고수현, 지역사회복지, 교육과학사
- 지은구, 지역복지론, 청목출판사
- 강철희, 정무성, 지역사회 복지실천론, (주)나남출판
◎ 블라우의 교환이론: 교환이라는 인간의 사회적 행동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사회적 유대(즉, 동반자/평등의 관계) 또는 차별적 지위구조(즉, 불평등의 관계)를 만들어내는지에 관심. 교환이 평등한 관계로 이어질지 아니면 불평등한 관계로 이어질지는 교환에서 얻는 이익의 호혜성(reciprocity) 여부에 달려 있다.
= 호혜적인 교환은 사람 사이의 신뢰와 유대를 강화. 반면, 일방적인 시혜는 권력과 지위의 차이를 만들어 낸다. 따라서 권력 구조는 불평등한 교환 관계에서 만들어 진다.
= 그러나 비대칭적인 의존 관계와 권력 관계는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힘(권력)이 없거나 덜 가진 사람/집단이 권력의 불균형을 시정하기 위해 온갖 노력을 기울이기 때문이다. 블라우에 따르면, 권력 불균형을 시정하기 위해 힘이 없는 사람/집단이 취할 수 있는 행동은 힘이 있는 사람/집단에게 복종(deference)을 보이는 것이다. 힘이 있는 사람/집단은 이들로부터 복종과 지위를 얻고 반대급부로 상대방이 필요로 하는 자원을 제공한다.
= 사회적 교환이론은 지역사회실천가들에게 권력이 교환관계의 동학(動學)에서 파생되는 것임을 깨닫게 해 준다. 이 이론이 시사하는 바는 이렇다. 지역사회실천가들이 지역사회복지와 관련된 의사결정 과정에 충분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는 상황에 놓여 있을지라도, 쉽게 좌절하거나 포기해서는 안 된다. 권력(영향력)은 결국 교환할 자원의 양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고, 모자라는 자원은 연합을 통해 보충할 수 있다. 물론, 연합의 위험성에 대해서도 경계를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 외부 조직에 대한 자원 의존은 목표의 왜곡과 자율성 상실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 오정수·류진석, 지역사회복지론, 학지사
- 장창호·고순철·김익균·김치영, 지역사회복지론, 교문사
- 강희철·정무성, 지역사회 복지실천론, 나남출판
- 고수현, 지역사회복지, 교육과학사
- 지은구, 지역복지론, 청목출판사
- 강철희, 정무성, 지역사회 복지실천론, (주)나남출판
추천자료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지역사회복지의 실천 모형] 사회(개발, 계획, 행동, 자원개발, 탈 시설화) 모형
로스만의 모델 유형을 정리하고 로스만 모델에 따른 지역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제시
(A+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 로스만의 모델과 웨일과 갬블의 모델
지역사회실천모델의 유형
로스만(Rothman)의 지역사회실천모델 3가지를 비교, 분석하여 서술하시오.
지방분권화와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인 로스만의 모델, 웨일과 갬블의 모델, 테일러와 로...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실천모델 3가지
자신이 속한 지역사회의 제2기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찾아 읽고 자신이 속한 지역사회의 특징을...
[사회복지개론] 지역사회조직 실천모형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논하시오 (지역사회조직)
지역사회복지론-학습자가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현존하고 있는 지역사회 문제를...
[지역사회복지] 지역복지실천모델(로스만 웨인과 갬블 포플)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실제 국내 ...
지역사회복지의 실천모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