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담도폐색증]
-총담관낭(choledochal cyst)의 3가지 기본유형을 열거한다
-원발성 담즙성 간경화증(primary biliary cirrhosis)과 이차성
담즙성 간경화증(secondary biliary cirrhosis)의 발생기전을
설명한다
-원발성 담즙성 간경화증과 이차성 담즙성 간경화증을 구
별한다
-담도 폐색의 병리, 원인, 진단, 처치에 관해 설명한다
-총담관낭(choledochal cyst)의 3가지 기본유형을 열거한다
-원발성 담즙성 간경화증(primary biliary cirrhosis)과 이차성
담즙성 간경화증(secondary biliary cirrhosis)의 발생기전을
설명한다
-원발성 담즙성 간경화증과 이차성 담즙성 간경화증을 구
별한다
-담도 폐색의 병리, 원인, 진단, 처치에 관해 설명한다
본문내용
담도폐색증
≪ 글 - 그림 파일 ≫
≪ 그 림 ≫
◎담관계(biliary system)
1)구성 : 간세포의 biliary canaliculus, 간 내 담관(hepatic duct), 총담관(common bile duct), 담낭관(cystic duct), 담낭, 바터팽대부(ampulla of Vater)
2)기능
①담즙산염(bile salt)의 저장과 분비
②콜레스테롤 분비
③빌리루빈 분비
④약물대사 물질을 포함한 유기이온 분비
총담관낭(Choledochal cyst)
≪ 그 림 ≫
1. 개요
1)원인: 담관의 선천성 이상
2)아시아에서 호발, 여성에서 유병률 4배
3)췌담관합류이상(anomalous
pancreaticobiliary ductal union, APBDU), 선천성 간 섬유화와 관련
2. 임상양상
1)3대증상(1/3에서 발생): 우상복부 통증(가장 흔함), 황달, 우상복부 종괴 촉지
2)영아에서는 담즙정체성 황달, 회색변(alcoholic stool)으로 나타남
3)약 50%의 환자가 10세이후에 증상발생
4)합병증: 급성췌장염, 담관염, 정맥류출혈, 낭종파열
3. 분류
Type1이 가장 흔하다.
≪ 글 - 그림 파일 ≫
≪ 그 림 ≫
◎담관계(biliary system)
1)구성 : 간세포의 biliary canaliculus, 간 내 담관(hepatic duct), 총담관(common bile duct), 담낭관(cystic duct), 담낭, 바터팽대부(ampulla of Vater)
2)기능
①담즙산염(bile salt)의 저장과 분비
②콜레스테롤 분비
③빌리루빈 분비
④약물대사 물질을 포함한 유기이온 분비
총담관낭(Choledochal cyst)
≪ 그 림 ≫
1. 개요
1)원인: 담관의 선천성 이상
2)아시아에서 호발, 여성에서 유병률 4배
3)췌담관합류이상(anomalous
pancreaticobiliary ductal union, APBDU), 선천성 간 섬유화와 관련
2. 임상양상
1)3대증상(1/3에서 발생): 우상복부 통증(가장 흔함), 황달, 우상복부 종괴 촉지
2)영아에서는 담즙정체성 황달, 회색변(alcoholic stool)으로 나타남
3)약 50%의 환자가 10세이후에 증상발생
4)합병증: 급성췌장염, 담관염, 정맥류출혈, 낭종파열
3. 분류
Type1이 가장 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