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담도 및 췌장의 구조와 기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 담도 및 췌장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구조와 기능
1. 간의 구조

2. 간 기능

3. 담도의 구조

4. 담도의 기능

5. 췌장의 구조

6. 췌장의 외분비기능

7. 복막

본문내용

지장의 윗부분을 서로 연결시켜 주기 때문에 이것을 소망이라고 부른다. 소망의 오른쪽모서리를 따라 총담관, 고유간동맥 및 문맥이 주행한다.
망낭위가 발생과정에서 비틀리고, 위치가 바뀌면서 십이지장은 뒤복벽에 유착하기 때문에 십이지장과 그곳에서 발생하는 췌장은 복막후장기가 된다. 이에 따라 간의 뒷부분, 소망, 위 및 비장과 뒷복벽의 벽 쪽 복막에 사이에는 복막으로 싸인 주머니가 만들어진다. 이것을 망낭이라고 하며, 소망의 오른쪽모서리와 뒤에 있는 벽 쪽 복막에 의해 망낭으로 들어가는 입구, 즉 망낭구멍이 형성된다.
대망위의 앞, 뒷벽을 싸는 2겹의 복막인 소망이 위의 큰 만곡아래에서 서로 겹쳐진 후 앞복벽을 따라서 내려온다. 그 후 2겹의 복막이 가로결장을 향하여 다시 올라가게 되므로, 결국 4겹의 복막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 4겹의 복막을 대망이라 하며, 앞복벽을 절개했을 때 소장의 앞부분에 앞치마처럼 늘어져 있는 대방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사람에서의 대망은 위의 큰만곡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이 보통인데, 충수염과 같은 염증이 일어났을 때 대망이 유착됨으로써, 염증이 복강 속으로 퍼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도 한다.
간관상인대발생이 진행됨에 따라서 간의 앞쪽부분이 크게 발달하기 때문에, 간과 앞복벽사이에 있는 복막의 주름이 변화되어 결국 간과 횡격막과의 사이에 간관상인대가 형성된다.
위비장인대대망의 왼쪽위부분에 이어지며, 위와 비장 사에 펼쳐져있다. 이 인대의 계속은 횡격막과 가로결장간막에 이어져 망낭의 왼쪽 벽을 만든다.

·서문자 외 - (성인간호학 上 2, 수문사2004)

키워드

,   담낭,   췌장,   담도,   구조,   기능,   간호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4.25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58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