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로그램을 시작하기 전에 생리 학적 모니터링을 하기 위해 건강검진을 받아야 한다.
2. 중재
-스트레스 완화전략은 사람들이 관리할 수 없을 만큼 늦기 전에 긴장을 줄이고 생활의 통제력을 얻도록 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간호사는 건강증진, 질병 예방, 건강교육의 전문가로서 대상자 스스로 그런 기술을 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한다. 물론 간호사 자신의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데에도 스트레스 완화 전략을 사용된다. 특히 정신과에서는 간호사 자신이 중요한 치료 적 도구이기 때문에 간호사의 스트레스 관리는 간호사 개인을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대 상자를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신체적, 정신적 질병예방 측면에서 볼 때 스트레스 관리는 스트레스의 감소를 통해 모든 사람에게 잠재적인 이익을 가져다주는 보편적인 예방중재로써 인정을 받는다. 또한 스트 레스 관리 프로그램은 신체적이거나 정신적 질병으로 발전할 사람들(선택적 예방 중재)이 나 위험률이 높은 사람들에게도 적절한 중재이다.(지시적 예방중재)
예> 미국 흑인들처럼 고혈압의 위험이 높은 사람들에게 혈압 조정을 위한 자기조절 능력 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이다.
-급성 치료기관이나 재활치료기관에서 일하는 정신과 간호사들도 모두 스트레스 관리 기 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런 기관에서 스트레스 관리 전략은 효과적인 증상관리, 개인이 나 가족의 효과적인 대처, 자기조절 증진 그리고 재발방지 등을 위해 간호계획이나 다학 제간 치료계획안에 들어간다.
예> 자기주장훈련, 점진적 긴장이완 그리고 비합리적 신념 및 사고에 대한 논박 등의 전 략은 우울 대상자를 위한 입원치료나 통원치료 계획 및 중재에도 적절할 것이다.
Ⅲ. 스트레스 관리기법의 실제
1. 스트레스 인식일지
- 하루 중 어떤 때 더 스트레스를 받았고, 어떤 스트레스 사건들이 증상을 더 만들었는가 확인하는 것.
- 사건에 따라 사람들이 경험하는 특정한 스트레스를 기술함으로써 특정한 사건이 어떻 게 특정한 증상들을 생기게 하는지 알 수 있다.
- 스트레스 사건이 발생한 시각을 기록, 사건의 종류와 기간을 적고, 그 사건과 관련있는 신체적 또는 정서적 증상을 기술함.
- 특징적인 스트레스 반응양상이 규명되면 이에 따라 적절한 스트레스 감소 기법을 적용 한다.
2. 심호흡 운동
- 적절한 호흡은 스트레스와 고통을 경감시킴.
- 차분하고 깊게 하는 호흡은 혈액의 정화와 산소공급에 효과가 있어서 혈액 내 산소가 부족할 때 나타나는 피로와 무기력, 불안, 근육 긴장, 정신적 혼란, 우울 등은 심호흡으 로 증상을 완화, 예방 할 수 있다.
- 다음 지침을 이용한 심호흡 법
* 일어서거나 앉거나 바닥에 눕는다. 카펫트 바닥, 매트 또는 담요 위에 눕는 것이 심호 흡하기에 가장 좋다. 반드시 등을 곧게 펴고 무릎을 굽힌 채 발가락은 약간 바깥을 향 하게 하여 발을 20cm 가량 벌린다.
* 몸의 긴장을 푼다.
* 한손을 배 위에 다른 한 손을 가슴에 올린다.
* 코를 통해 숨을 천천히 그리고 깊이 들이쉬어 배속으로 넣으며 편안한 정도로 손을 들어올린다. 이때 가슴을 아주 조금만 움직이고 주로 배를 움직이도록 한다.
* ‘휴~’하는 소리와 함께 바람을 불 듯이 입으로 숨을 내뿜는다. 얼굴과 입, 턱이 긴장하 지 않도록 한다.
* 배가 오르락 내리락 하도록 길고 느리게 호흡한다. 점점 이완되어감에 따라 호흡의 소 리와 느낌에 집중한다.
* 하루 두 번 종도, 한번에 10분간 지속적으로 하는데 익숙해지면 20분씩 해도 된다.
* 끝낼 때는 2~3분간 몸에 긴장된 곳이 없는지 살핀다. 그리고 시작할 때 느낀 긴장과 끝날 때를 비교한다.
* 심호흡을 통해 이완되는 경험을 했다면 긴장을 느낄 때마다 행한다.
3. 점진적 이완
- 스트레스가 심하고 불안하면 근육이 긴장된다는 전제하에 근육을 이완시켜 긴장을 풀 어주는 기법이다.
- 교감신경게 각성상태에서 부교감신경계의 회복상태로 바꿔 맥박과 호흡, 혈압, 땀, 그 밖의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 징후들을 감소시킨다.
- 긴장성 두통, 불면증, 요통, 근육경련, 피로, 과민성 대장, 불안, 우울, 가벼운 공포증 등 을 가지는 대상자에게 도움
- 주요 근육군은 1) 손, 전박, 이두박근 2) 머리, 안면, 인후, 어깨 3) 가슴, 복부, 허리 4) 대퇴 둔부, 장딴지, 발
① 손 : 먼저 주먹을 긴장시킨다음 이완시키고 손가락을 벌리고 이완시킨다.
② 이두박근과 삼두박근 : 긴장시킨 다음 이완시킨다.
③ 어깨 : 뒤로 당겨서 이완시키고 나서 앞으로 밀어서 이완시킨다.
④ 목 : 머리를 먼저 오른 쪽으로 천천히 돌리고 이완시킨다. 다음 왼쪽으로 돌리고 이 완시키고 나서 가슴에 턱이 닿을 때까지 숙이고 이완시킨다.
⑤ 입 : 입은 가능한 한 넓게 열고 이완시킨다. 입술은 쭉 내민 상태에서 이완시킨다. 혀 는 가능한 밖으로 내밀고 이완시키고 가슴을 수축시키고 이완시킨다. 입천정에 힘껏 압력을 주고 이완시키고 나서 입바닥에 압력을 주고 이완시킨다.
⑥ 눈 : 가능한 한 그케 열고 이완시키고 가능한 굳게 닫고 이완시킨다.
⑦ 호흡 : 가능한 한 깊이 들여마시고 이완시키고 가능한 한 많이 내쉬고 이완시킨다.
⑧ 등 : 몸통을 앞으로 밀어서 완전히 등이 아취형이 되게 한 다음 이완시킨다.
⑨ 엉덩이 : 엉덩이 근육을 긴장 이완시칸다.
⑩다리 : 다리를 벌리고 바닥에서 약 15센치 가량 올린 다음 이완시킨다. 발등을 바닥에 대고 힘을 가한 다음 이완시킨다.
⑪ 위 : 가능한 많이 움츠리고 이완시킨 다음 확장시키고 이완시킨다.
⑫ 발 : 다리를 지지한 채 발을 머리쪽으로 향해 발끝을 구부린 다음 이완시킨다. 발을 반대방향으로 구부린 다음 이완시킨다.
⑬ 발가락 : 발가락을 신발바닥 안에서 힘을 가하고 이완시킨 다음 신발의 안쪽면의 꼭 대기에 닿게 구부리고 이완시킨다.
4. 심상법
- 이미지를 떠올리며 혼란스러운 생각들을 통제하고 신체적인 이완을 도모하며 스트레 스를 조절하도록 자기 신체를 훈련시킬 수 있음.
5. 명상 (meditation)
- 스트레스와 내적 혼란을 감소시키고 내적 조화와 자기 성찰을 이루기 위해 명상.
-
2. 중재
-스트레스 완화전략은 사람들이 관리할 수 없을 만큼 늦기 전에 긴장을 줄이고 생활의 통제력을 얻도록 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간호사는 건강증진, 질병 예방, 건강교육의 전문가로서 대상자 스스로 그런 기술을 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한다. 물론 간호사 자신의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데에도 스트레스 완화 전략을 사용된다. 특히 정신과에서는 간호사 자신이 중요한 치료 적 도구이기 때문에 간호사의 스트레스 관리는 간호사 개인을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대 상자를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신체적, 정신적 질병예방 측면에서 볼 때 스트레스 관리는 스트레스의 감소를 통해 모든 사람에게 잠재적인 이익을 가져다주는 보편적인 예방중재로써 인정을 받는다. 또한 스트 레스 관리 프로그램은 신체적이거나 정신적 질병으로 발전할 사람들(선택적 예방 중재)이 나 위험률이 높은 사람들에게도 적절한 중재이다.(지시적 예방중재)
예> 미국 흑인들처럼 고혈압의 위험이 높은 사람들에게 혈압 조정을 위한 자기조절 능력 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이다.
-급성 치료기관이나 재활치료기관에서 일하는 정신과 간호사들도 모두 스트레스 관리 기 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런 기관에서 스트레스 관리 전략은 효과적인 증상관리, 개인이 나 가족의 효과적인 대처, 자기조절 증진 그리고 재발방지 등을 위해 간호계획이나 다학 제간 치료계획안에 들어간다.
예> 자기주장훈련, 점진적 긴장이완 그리고 비합리적 신념 및 사고에 대한 논박 등의 전 략은 우울 대상자를 위한 입원치료나 통원치료 계획 및 중재에도 적절할 것이다.
Ⅲ. 스트레스 관리기법의 실제
1. 스트레스 인식일지
- 하루 중 어떤 때 더 스트레스를 받았고, 어떤 스트레스 사건들이 증상을 더 만들었는가 확인하는 것.
- 사건에 따라 사람들이 경험하는 특정한 스트레스를 기술함으로써 특정한 사건이 어떻 게 특정한 증상들을 생기게 하는지 알 수 있다.
- 스트레스 사건이 발생한 시각을 기록, 사건의 종류와 기간을 적고, 그 사건과 관련있는 신체적 또는 정서적 증상을 기술함.
- 특징적인 스트레스 반응양상이 규명되면 이에 따라 적절한 스트레스 감소 기법을 적용 한다.
2. 심호흡 운동
- 적절한 호흡은 스트레스와 고통을 경감시킴.
- 차분하고 깊게 하는 호흡은 혈액의 정화와 산소공급에 효과가 있어서 혈액 내 산소가 부족할 때 나타나는 피로와 무기력, 불안, 근육 긴장, 정신적 혼란, 우울 등은 심호흡으 로 증상을 완화, 예방 할 수 있다.
- 다음 지침을 이용한 심호흡 법
* 일어서거나 앉거나 바닥에 눕는다. 카펫트 바닥, 매트 또는 담요 위에 눕는 것이 심호 흡하기에 가장 좋다. 반드시 등을 곧게 펴고 무릎을 굽힌 채 발가락은 약간 바깥을 향 하게 하여 발을 20cm 가량 벌린다.
* 몸의 긴장을 푼다.
* 한손을 배 위에 다른 한 손을 가슴에 올린다.
* 코를 통해 숨을 천천히 그리고 깊이 들이쉬어 배속으로 넣으며 편안한 정도로 손을 들어올린다. 이때 가슴을 아주 조금만 움직이고 주로 배를 움직이도록 한다.
* ‘휴~’하는 소리와 함께 바람을 불 듯이 입으로 숨을 내뿜는다. 얼굴과 입, 턱이 긴장하 지 않도록 한다.
* 배가 오르락 내리락 하도록 길고 느리게 호흡한다. 점점 이완되어감에 따라 호흡의 소 리와 느낌에 집중한다.
* 하루 두 번 종도, 한번에 10분간 지속적으로 하는데 익숙해지면 20분씩 해도 된다.
* 끝낼 때는 2~3분간 몸에 긴장된 곳이 없는지 살핀다. 그리고 시작할 때 느낀 긴장과 끝날 때를 비교한다.
* 심호흡을 통해 이완되는 경험을 했다면 긴장을 느낄 때마다 행한다.
3. 점진적 이완
- 스트레스가 심하고 불안하면 근육이 긴장된다는 전제하에 근육을 이완시켜 긴장을 풀 어주는 기법이다.
- 교감신경게 각성상태에서 부교감신경계의 회복상태로 바꿔 맥박과 호흡, 혈압, 땀, 그 밖의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 징후들을 감소시킨다.
- 긴장성 두통, 불면증, 요통, 근육경련, 피로, 과민성 대장, 불안, 우울, 가벼운 공포증 등 을 가지는 대상자에게 도움
- 주요 근육군은 1) 손, 전박, 이두박근 2) 머리, 안면, 인후, 어깨 3) 가슴, 복부, 허리 4) 대퇴 둔부, 장딴지, 발
① 손 : 먼저 주먹을 긴장시킨다음 이완시키고 손가락을 벌리고 이완시킨다.
② 이두박근과 삼두박근 : 긴장시킨 다음 이완시킨다.
③ 어깨 : 뒤로 당겨서 이완시키고 나서 앞으로 밀어서 이완시킨다.
④ 목 : 머리를 먼저 오른 쪽으로 천천히 돌리고 이완시킨다. 다음 왼쪽으로 돌리고 이 완시키고 나서 가슴에 턱이 닿을 때까지 숙이고 이완시킨다.
⑤ 입 : 입은 가능한 한 넓게 열고 이완시킨다. 입술은 쭉 내민 상태에서 이완시킨다. 혀 는 가능한 밖으로 내밀고 이완시키고 가슴을 수축시키고 이완시킨다. 입천정에 힘껏 압력을 주고 이완시키고 나서 입바닥에 압력을 주고 이완시킨다.
⑥ 눈 : 가능한 한 그케 열고 이완시키고 가능한 굳게 닫고 이완시킨다.
⑦ 호흡 : 가능한 한 깊이 들여마시고 이완시키고 가능한 한 많이 내쉬고 이완시킨다.
⑧ 등 : 몸통을 앞으로 밀어서 완전히 등이 아취형이 되게 한 다음 이완시킨다.
⑨ 엉덩이 : 엉덩이 근육을 긴장 이완시칸다.
⑩다리 : 다리를 벌리고 바닥에서 약 15센치 가량 올린 다음 이완시킨다. 발등을 바닥에 대고 힘을 가한 다음 이완시킨다.
⑪ 위 : 가능한 많이 움츠리고 이완시킨 다음 확장시키고 이완시킨다.
⑫ 발 : 다리를 지지한 채 발을 머리쪽으로 향해 발끝을 구부린 다음 이완시킨다. 발을 반대방향으로 구부린 다음 이완시킨다.
⑬ 발가락 : 발가락을 신발바닥 안에서 힘을 가하고 이완시킨 다음 신발의 안쪽면의 꼭 대기에 닿게 구부리고 이완시킨다.
4. 심상법
- 이미지를 떠올리며 혼란스러운 생각들을 통제하고 신체적인 이완을 도모하며 스트레 스를 조절하도록 자기 신체를 훈련시킬 수 있음.
5. 명상 (meditation)
- 스트레스와 내적 혼란을 감소시키고 내적 조화와 자기 성찰을 이루기 위해 명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