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굴절수요곡선모형
- 굴절수요곡선의 모형 -
- 생산비 변화의 효과 -
- 수요곡선 변화의 효과 -
- 굴절수요곡선의 모형 -
- 생산비 변화의 효과 -
- 수요곡선 변화의 효과 -
본문내용
반응하되 가격 상승은 반응하지 않는다는 가정은 항상 성립한다고 볼 수 없다. 오히려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경쟁기업끼리 가격을 인하하는 경우가 있다. 즉, 기업이 가격을 인하하는 경우는 제품에 하자가 있을 때나 또는 기업이 자금 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매출액을 늘려보려는 시도에서 비롯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굴절수요곡선모형은 몇 가지 한계점이 지적되고 있다. 그런데 홀(R. L. Hall)과 힛치(C. J. Hitch)는 스윗지가 설명하지 못한 현행가격이 왜 수요곡선의 굴절점에서 결정되는가? 이른바 가격의 높이를 설명하는 이론을 전개하였다. 1939년 두 사람을 중심으로 하는 옥스퍼드대학 조사단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실제로 대다수 기업들이 가격을 결정하는 방식은 먼저 제품 1단위당의 주요 비용인 원료비 임금 등을 계산하고, 그에 공통비용인 감가상각비 지대 이자 등을 회수하기 위한 일정 비율의 금액을 가산한 다음 다시 관례적인 일정률의 이윤을 부과해서 가격을 결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가격결정원리를 홀과 힛치는 총계비용가격결정원리(full cost pricing principle)라고 부르고 있다. 즉, 과점기업들은 평균비용에다 일정한 이윤 부가율을 가산하여 가격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오늘날 현실 경제에 비추어 볼 때 타당한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상품의 가치가 시장의 수요와 공급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과점기업들이 일방적으로 결정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원리의 타당성을 인정한다면 시장경제의 대명제가 흔들리게 된다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굴절수요곡선모형은 몇 가지 한계점이 지적되고 있다. 그런데 홀(R. L. Hall)과 힛치(C. J. Hitch)는 스윗지가 설명하지 못한 현행가격이 왜 수요곡선의 굴절점에서 결정되는가? 이른바 가격의 높이를 설명하는 이론을 전개하였다. 1939년 두 사람을 중심으로 하는 옥스퍼드대학 조사단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실제로 대다수 기업들이 가격을 결정하는 방식은 먼저 제품 1단위당의 주요 비용인 원료비 임금 등을 계산하고, 그에 공통비용인 감가상각비 지대 이자 등을 회수하기 위한 일정 비율의 금액을 가산한 다음 다시 관례적인 일정률의 이윤을 부과해서 가격을 결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가격결정원리를 홀과 힛치는 총계비용가격결정원리(full cost pricing principle)라고 부르고 있다. 즉, 과점기업들은 평균비용에다 일정한 이윤 부가율을 가산하여 가격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오늘날 현실 경제에 비추어 볼 때 타당한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상품의 가치가 시장의 수요와 공급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과점기업들이 일방적으로 결정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원리의 타당성을 인정한다면 시장경제의 대명제가 흔들리게 된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