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와 연극] 영문학과 헤롤드 핀터(Harold Pinter)에 관한 「The Sleuth」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헤롤드 핀터, 그는 누구인가?

Ⅱ.『 The Sleuth 』, 안소니 샤퍼 와
 『 The Sleuth 』, 헤롤드 핀터 비교

Ⅲ. 『 The Sleuth 』분석

본문내용

극 ’생일파티‘, ’핫하우스', '벙어리 웨이터’에서 정치적 상황이 빚어내는 삶의 경험을 핀터는 존재론적으로 해석하면서 구체적으로 정치적인 언급은 피하고 있지만 그러한 작품들을 정치적 은유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은유적인 냄새를 지우는 작품이 등장하게 되는데 바로 '최후의 한잔'이다. 극작품 '최후의 한잔'은 작품에 들어가기 전에 핀터와 니콜라스 한과의 인터뷰로 시작한다. 이 인터뷰 안에서 핀터는 터키에서 느낀 사람들의 정치적 부조리성과 이를 외면하는 다른 이들의 책임 회피성 경향에 질려하며 보다 직접적이고 강력한 폭력성을 가미한 색체를 보여주기 시작하며 핀터만의 또 다른 정의가 내려지면서 부조리극의 표본을 보여주기 시작한다.
강력한 폭력성으로 무장한 정치극을 보여주는 핀터가 다른 정치극 작가들과 가장 비교되는것은 진형의 중립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정치극의 대부분은 좌파 혹은 우파로서 색채를 보이며 관객들에게 각 체제의 정당성을 주장하는데 그치는 반면 핀터의 부조리극의 대표적인 작품 '정확하게'를 통해 살펴보면 사회 전반적인 구조적 문제와 우리가 인식하고 있는 것이 옳지 않음을 시사 하는데 있어서 특정 파벌의 색채를 보여주지 않고 희생자가 어떤 사람인지 상관하지 않는 상류계층 사람들의 사교생활에 대해 폭로하며 비판하는 회색빛 정치극인 것이다.
3) 핀터레스크
핀터의 부조리극의 구조는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핀터레스크(Pinteresque)라는 신조어를 만들어 낼 정도로 독보적이다. 하지만 핀터레스크라는 단어가 내리는 정의는 “핀터에 의해 쓰여진.” 이라는 짧은 한 문장에 그치고 있다.
“어떤 이야기도 하지마라. 당신의 모습 그대로 잠시 서있어라. 그러면 당신의 인격의 모습이 자연스럽게 드러나 당신이 아무런 말도 할 필요가 없어진다.”(Ralph Waldo Emerson) 이라는 말로 정의하며 많은 작가들은 침묵을 이용함로서 극 중인물의 대사와 상징성에 힘을 가미한다. 핀터는 단순한 침묵이 아닌 세 부호점(Three dots), 사이(Pause), 암전(Black out), 막(Curtain)등의 여러 방법으로 침묵을 사용한다. 특히 암전은 전체적인 작품의 틀을 준다. 핀터의 작품 마지막 한잔에서 마지막은 주인공 니콜라스를 빅터가 침묵으로 노려본체 암전기법으로 넘어간다. 이 상황에서 침묵이 주는 힘은 강력한 억압 속의 분노를 극대화시켜 보이고 있다.
핀터의 연극은 불안의 연극이다. ‘생일파티‘는 핀터의 불안이 어떤 불안인지를 잘 말해주는 작품이다. 갑자기 주인공도 모르게 생일파티가 준비된다. 하지만 그 생일파티는 고통과 폭력의 축제이다. ’귀향’은 안락한 집으로의 귀환이 아니라 형제들과 아버지가 아내를 호시탐탐 겁탈하고 창녀로 만들려는 지옥으로의 복귀다. 이런 상반된 의미의 작품의 제목과 일어나는 사건들은 관객으로 하여금 진정한 불안이 무엇인지 깨닫게 만드는 피력의 결정체이다.
그의 연극은 대비적 구조로 되어 있다. 핀터가 각색한 2007년도의 영화 Sleuth는 명예와 부를 차지했으나 이제는 늙어버린 엔드류, 육체적 젊음과 가능성을 가졌지만 가난하고 힘없는 마일로는 부의 시점에서는 상류층과 하류층, 젊은 세대와 늙은 세대, 보수와 진보, 그리고 과거의 핀터와 현재의 핀터등 핀터의 연극 속 한 쌍은, 한 인물의 의식과 무의식, 안정과 혼란을 표현한다. 그리고 그 짝패는 대개는 권력에 있어서 큰 편이 작은 편을 내리누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긴장이 생긴다. 짝패 가운데 한쪽은 길들이려 하고 한쪽은 그것을 거부한다. 한쪽은 복종과 인정을 요구하며 힘으로 누르고, 다른 한쪽은 배신과 불복종 또는 침묵으로 되갚는다. ‘관리인’ ‘배신’ ‘벙어리 웨이터’는 그런 불편한 긴장 관계만으로도 극에 팽팽한 기운을 불어넣는다. 그러나 체제에 깊이 순응하고 있는 극중 인물들은 무기력하게 폭력을 당한다. 최후는 그래서 더욱 허망하다.
핀터의 구조물은 단순하다. ‘최후의 한잔’에서는 취조실을 ‘생일파티’에서는 작은 하숙집 방을 배경으로 둔다. 그렇다고 불안과 암흑만 있는 방을 벗어나려고 하지도 않는다. 왜냐하면 밖은 더 캄캄하고 어둡고 폭력과 무질서에 노출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생일파티’에서 스탠리는 어디론가 도망쳐야 하지만 하숙집 방을 벗어나지 못한다. ‘관리인’에서 60대 노인은 자신의 증명서류도 찾고 일자리가 있는 곳으로 가고 싶어 하지만 잠시 머물러 있는 방에서 나올 용기가 없다. ‘최후의 한잔’에서 빅터는 석방되지만 이 석방이 억압으로부터 벗어난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데뷔작 ‘방’은 이후 핀터의 극이 갖는 구조를 잘 설명해주는 원형이라 할 수 있다. 60대 다정한 아내와 50대 무정한 남편이 동거하는 공간이다. 바깥엔 차갑고 거센 겨울바람이 불어닥치고, 젊은 부부가 자신들이 이사할 방이라며 찾아오고, 지하실에서 낯선 흑인이 찾아온 뒤 아내는 눈이 먼다. 방은 아내가 지키려고 하는 따뜻하고 안정된 공간이지만, 결국 방안에는 암흑만이 찾아온다. 방은 그저 또 하나의 관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방으로 아무 예고도 없이 찾아오는 손님은 폭력과 상처를 남긴다. 폭력은 무작위와 반복의 형식을 통해 순환한다. 핀터의 극의 전개방식은 알 수 없는 혹은 무분별한 폭력 속에 방이라는 틀에 갇혀버린 상처받을 수 밖에 없는 현대 사회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3. 결론
헤롤드 핀터의 작품에는 그가 10대에 경험했던 위협과 공포가 고스란히 녹아있다. 유대인으로서 겪어야 했던 아픔, 세계2차대전의 공포가 그의 작품의 영향을 끼쳤다. 그래서 그의 초기작들은 정체를 알 수 없는 위협과 공포에 노출된 일상의 단면을 보여준다. 그러나 ‘최후의 한잔’ 을 통해 그는 정치 극적인 부조리극을 쓰기 시작 했으며 보다 직접적으로 현실의 공포를 드러낸다. 또한 그는 pause 와 silence 등으로 핀터레스크 라는 신조어를 낳았다. 이렇게 헤롤드 핀터는 셰익스피어의 극으로 정형화 되어있었던 영국에 활기를 불어넣었으며 사무엘 베켓의 뒤를 잇는 부조리극 작가로 명성을 떨쳤으며 2005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그의 특유의 단순함과 섬세함이 작품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앞으로 살펴볼 것이다.
  • 가격2,8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2.08.29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22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