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통합적 방법의 등장배경
2,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방법의 필요성
3, 통합적 방법의 개념 및 특징
4, 통합적 방법 모델
5, 전통적 모델과 통합적 모델 비교
2,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방법의 필요성
3, 통합적 방법의 개념 및 특징
4, 통합적 방법 모델
5, 전통적 모델과 통합적 모델 비교
본문내용
모델
내용
단일화 모델
- 대표학자: Goldstein
- 이론 및 방법:
유기체로서의 개인, 역동적 사회관계 및 양자 간의 상호작용을 강조
① 사회체계모델
② 사회학습 혹은 문제해결 모델
③ 과정모델 결합
이 중 과정모델이 중심, 과정모델은 조사와 평가의뢰와 중재, 평가적 전략 등에 의해 사회사업실천이 역할유도단계, 핵심단계 및 종결단계를 통하여 이루어진 것
사회학습에 관한 사회복지사의 기능에 관심
사회학습과정을 통한 큰 체계가(조직지역사회) 변화될 수 있음을 강조
사회복지사의 자원 확보 및 폭넓은 활용을 통해 사회변화 가능성 강조
- 목표
사회학습의 촉진 및 강화
사회변화(자원의 확보 및 활용)
- 실천과정
① 욕구의 공식화
② 정보의 탐색
③ 해결방법의 공식화
④ 결과의 비교
⑤ 해결방법의 검증
- 사회복지사의 기능
① 지식과 정보의 인식
② 전략(조사, 개입, 평가)
모델
내용
문제해결 모델
- 대표학자 : Perlaman에 의해 개발, Compton과 Galaway에 의해 정교화
- 이론 및 방법
개인과 상황(환경)과의 전체적 상호작용을 강조
인간이나 사회체계를 효과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목표를 합리적으로 달성하는데 중점
이러한 목표의 합리적 달성에 필요한 인지적 활동은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의 능력에 의함
사회복지사는 질병을 치료하듯이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이 아니라 클라이언트 체계의 성장과 발달과정에 참여하여 그를 도우면서 삶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그의 능력을 강화
- 목표
문제해결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공동관계 형성
합리적 과정의 수행
- 실천과정
① 접촉단계 : 문제의 명확화, 목표의 명확화, 예비계약, 탐색과 조사
② 계약단계 : 문제의 진단(평가)활동계획의 공식화 후 예측
③ 활동단계 : 계획의실시, 종결, 평가
- 사회복지사의 기능
①문제의 평가 ②자료수집
5, 전통적 모델과 통합적 모델 비교
통합적 사회복지 실천모델
전문적 모델 (전통적 모델)
1. 생활 모델
2. 체계모델: 4체계모델, 6체계모델
3. 문제해결과정 모형 : 단일화 모형
4. 사례관리 : empowerment
1. 심리사회적 모델 :
진단주의, 기능주의 모형이
핵심(진단주의가 주를 이룸)
2. 행동수정 모델
3. 해결중심 모델
4. 위기개입 모델
5. 과업중심치료 모델
사회 환경에 초점
개인에 초점
l 3 * 25
참고문헌
양옥경·김정진·서미경·김미옥·김소희, 2006. 사회복지실천론 : 나남출판
박귀영·류기덕·박형준·신종우·오현숙·이상주, 2010. 사회복지실천론 : 양서원
문수열·김 병·이창희·원기연·정영일·박주현, 2010. 사회복지의 이해 : 창지사
신성자 (2007).사회복지실천기술론.양서원
이윤로 (2007).사회복지실천기술론.학지사
김기태 외 4인 (2002). 사회복지실천론. 양서원
엄명용 외3인 (2005).사회복지실천의 이해.학지사
엄명용 외2인 (2008).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학지사
김동배 외1인(2000).인간행동이론과 사회복지실천.학지사
내용
단일화 모델
- 대표학자: Goldstein
- 이론 및 방법:
유기체로서의 개인, 역동적 사회관계 및 양자 간의 상호작용을 강조
① 사회체계모델
② 사회학습 혹은 문제해결 모델
③ 과정모델 결합
이 중 과정모델이 중심, 과정모델은 조사와 평가의뢰와 중재, 평가적 전략 등에 의해 사회사업실천이 역할유도단계, 핵심단계 및 종결단계를 통하여 이루어진 것
사회학습에 관한 사회복지사의 기능에 관심
사회학습과정을 통한 큰 체계가(조직지역사회) 변화될 수 있음을 강조
사회복지사의 자원 확보 및 폭넓은 활용을 통해 사회변화 가능성 강조
- 목표
사회학습의 촉진 및 강화
사회변화(자원의 확보 및 활용)
- 실천과정
① 욕구의 공식화
② 정보의 탐색
③ 해결방법의 공식화
④ 결과의 비교
⑤ 해결방법의 검증
- 사회복지사의 기능
① 지식과 정보의 인식
② 전략(조사, 개입, 평가)
모델
내용
문제해결 모델
- 대표학자 : Perlaman에 의해 개발, Compton과 Galaway에 의해 정교화
- 이론 및 방법
개인과 상황(환경)과의 전체적 상호작용을 강조
인간이나 사회체계를 효과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목표를 합리적으로 달성하는데 중점
이러한 목표의 합리적 달성에 필요한 인지적 활동은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의 능력에 의함
사회복지사는 질병을 치료하듯이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이 아니라 클라이언트 체계의 성장과 발달과정에 참여하여 그를 도우면서 삶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그의 능력을 강화
- 목표
문제해결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공동관계 형성
합리적 과정의 수행
- 실천과정
① 접촉단계 : 문제의 명확화, 목표의 명확화, 예비계약, 탐색과 조사
② 계약단계 : 문제의 진단(평가)활동계획의 공식화 후 예측
③ 활동단계 : 계획의실시, 종결, 평가
- 사회복지사의 기능
①문제의 평가 ②자료수집
5, 전통적 모델과 통합적 모델 비교
통합적 사회복지 실천모델
전문적 모델 (전통적 모델)
1. 생활 모델
2. 체계모델: 4체계모델, 6체계모델
3. 문제해결과정 모형 : 단일화 모형
4. 사례관리 : empowerment
1. 심리사회적 모델 :
진단주의, 기능주의 모형이
핵심(진단주의가 주를 이룸)
2. 행동수정 모델
3. 해결중심 모델
4. 위기개입 모델
5. 과업중심치료 모델
사회 환경에 초점
개인에 초점
l 3 * 25
참고문헌
양옥경·김정진·서미경·김미옥·김소희, 2006. 사회복지실천론 : 나남출판
박귀영·류기덕·박형준·신종우·오현숙·이상주, 2010. 사회복지실천론 : 양서원
문수열·김 병·이창희·원기연·정영일·박주현, 2010. 사회복지의 이해 : 창지사
신성자 (2007).사회복지실천기술론.양서원
이윤로 (2007).사회복지실천기술론.학지사
김기태 외 4인 (2002). 사회복지실천론. 양서원
엄명용 외3인 (2005).사회복지실천의 이해.학지사
엄명용 외2인 (2008).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학지사
김동배 외1인(2000).인간행동이론과 사회복지실천.학지사
추천자료
과제 중심 이론 모델
[학교사회사업]학교부적응 청소년을 위한 학교사회사업 도입 및 실천모델
[비즈니스모델특허][BM특허]비즈니스모델특허(BM특허) 개념,중요성, 비즈니스모델특허(BM특허...
1. 통합적 접근의 주요 이론 중 일반체계이론, 사회체계이론, 생태체계이론 중 2가지를 선택...
Lowenberg와 Dolgoff, 통합적 방법의 실천모델
<한국사회 내 전통적인 성역할 모델이 현대 여성의 직업 및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
[사회복지신철기술론] 사회복지실천에 있어 전통적 모델인 심리사회모델이나 문제해결모델 등...
통합적 접근 모델에서 콤튼과 갤러웨이가 여섯가지 유형으로 분류한 체계를 설명 [콤튼과 갤...
[6체계모델] 통합적 접근 모델에서 콤튼과 갤러웨이(Compton & Galaway)가 여섯 가지 유...
과제중심모델 보고서(과제중심모델등장, 과제중심모델이론, 과제중심모델실천사례, 과제중심...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론의 기술방법 중 위기개입모델의 사례를 한 가지 들고 사례개...
사회복지에서의 통합적접근방법에 대하여
사회복지실천 통합적 접근방법의 실천모델(4체계모델, 과제중심모델, 문제해결모델, 생활모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