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신분열증 (Schizophrenia, SPR)
Ⅰ. 질병기술
1.병태생리
1) 정신분열증
2) 원인
2.임상 증상
3.진단
4.치료
5.예방
Ⅱ. 일반적 사항
대상자 사정/ 개인력/ 간호력
Ⅲ. 건강력
과거병력 / 현 병력 /주 호소 / 자아개념/ 가족사정/ 정신적 상태
Ⅳ. 약물
Ⅴ.간호과정
Ⅵ. 참고문헌
Ⅰ. 질병기술
1.병태생리
1) 정신분열증
2) 원인
2.임상 증상
3.진단
4.치료
5.예방
Ⅱ. 일반적 사항
대상자 사정/ 개인력/ 간호력
Ⅲ. 건강력
과거병력 / 현 병력 /주 호소 / 자아개념/ 가족사정/ 정신적 상태
Ⅳ. 약물
Ⅴ.간호과정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 수행
①자가 간호 능력의 수준을 사정한다.
②환자의 능력 수준에 따라 정상적인 일상 활동을 행하도록 격려한다.
③환자의 신체적 활동을 증진시킨다.
④환자가 좋아하는 놀이나 화제 거리로 이야기하여 낮잠 자는 시간을 줄인다.
-신체적 합병증을 예방하고 자존감을 유지시켜 드린다.
긍정적인 생각으로 바람직한 행동을 반복하게 해드린다.
-일상 활동을 성공적으로 행하는것은 자존감을 증진시킨다.
-긍정적 강화는 자존감을 증진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반복하도록 한다.
-신체운동은 억압된 자신을 발산시키기에 효과적인 방법이다.
①아침에 출근해서 위생 상 태를 확인했다.
②위생상태가 잘 되었을 경우 칭찬을 해주었다.
(깨끗하게 씻고 오셨을 때 좋은 냄새가 나고 더 멋있어 지셨다고 말씀드렸다.)
③위생상태가 불량 할 때는 다시 수행 할 수 있도록 강조했다.
간호평가
.위생 상태는 양호(머리를 이틀에 한 번씩 감을 때도 있고 안감는 날도 있으므로)해 졌지만 그래도 시간이 많이 부족한 것 같다.
.스스로 씻으려고 노력은 하나 깨끗이 씻는 것은 아직까지는 무리인 것 같다. 그래도 세수도 하고 씻고 나서 오늘 머리감았다고 자랑 하시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낮에 대화도 하고 걷기운동도 하면서 잠자는 시간을 줄였다.(하루 종일 잠만 잘 때가 있었는데 낮잠 줄어듬.)
사 정
주관적 자료..s
객관적 자료..o
“입맛이 없어요.”
“제가 변비 있다고 했더니 변비약을 아침 점심 저녁으로 계속해서 주는 거 있죠.. 좀 심한 것 아니에요. 어떻게 그렇게 줄 수 있 어요. ”
“변비약을 먹는데도 변이 안 나와요.”
“물 많이 먹었어요. ”
“힘들어서 운동 못해요. 다리가 많이 아파서 다리에 힘이 없어요. 아침에도 다리에 힘이 없어 쓰러졌어요.”
-Magnesium oxide 250mg (MgO) 복용
1T 조식-중식-석식
-죽을 먹는데도 다 먹지 않고 남김
-활동량이 적고 식사시간외에는 대부분 누워 있거나 움직이지 않는다.
-간간히 변비를 호소하고 수분섭취량도 투약 시간 외에는 따로 마시지 않는다.
-대상자는 물을 많이 먹었다고 하지만 작은 컵으로 150cc정도 먹는 모습을 볼 수 있음
-운동 하는 것을 싫어하심(움직임 자체를 싫 어 하심)
-너무 움직임이 없다보니 목 돌리는 것조차 힘들어 하심(간단한 체조도 하지 않으려 고 함)
간호진단
#3. 활동량부족과 관련된 변비
기대결과
1.수분섭취량을 2배로 섭취 할 것이다.
2.운동에 참여하여 활동량을 늘일 수일을 것이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 수행
①변비가 왜생기는지에 대해 서 이야기 하고 대처방안을 모색한다.
②운동에 참여한다.
(걷기와 간단한 체조)
③수분섭취량을 늘여 배변을 돕도록 한다.
-물을 많이 마시면서 섬유질음식과 유제품 음식을 먹어줌으로써 변의가 생기도록 한다.
-배변 횟수를 관찰함으로 변비의 변화를 확인한다.
-운동은 장운동을 촉진시켜 배변 활동을 돕는다.
-침대에 누워 있지 않고 활동을 함으로써 근육을 강화시키고 장운동을 돕는다.
-수분 섭취는 변을 부드럽게 하고 장운동을 촉진시킨다.
①변비는 수분섭취량과 운동 에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했 다.
②약에 의존하지 말고 스스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 했다.
③식사 후 걷기운동을 하도록 유도했다. (하루에 한번 간단한 체조를 하도록 했다. )
④아침에 일어나서, 식전 식후 에 물 500ml먹도록 했다.
간호평가
.식사 전과 후 물을 먹는 보습을 볼 수 있었지만 그래도 아직은 시간이 많이 부족한 것 같 다. 아직까지는 먹으라고 해야지만 먹는 모습을 볼 수 있었고 스스로 챙겨서 먹는 것은 많이 부족한 것 같다.
.식사 후 걷기운동을 열심히 하고 간단한 체조도 간간히 따라서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 다. 예전보다 식사량도 좀 늘었다.
.배변보기가 예전보다 힘들지 않다고 함. 2/9(월)바나나 크기의 덩어리로 2번 보셨다고 함
사 정
주관적 자료..s
객관적 자료..o
“이제 퇴원하고 싶어요.”
“저 언제 퇴원해요.”
“저 여기 몇 번 입원 했어요. 강남 ○○병원 에 입원했다가 이곳에 왔어요.”
“저 죽으려고 약 먹었다 죽지 못했어요.”
“내가 왜 이러는지 저도 모르겠어요.”
“이제는 제대로 살아 보고 싶어요.”
“저 언제 퇴원하는지 물어봐야겠어요.”
-이곳에 있는 것이 답답하다고 생각하시고 내가 언제 까지 있어야 하는지에 대해 답답하다고 함
-08.12. 퇴원후 약 잘 복용했으나 3주전 기 운 없고, 초조해지면서 우울한 기분 (depressive mood )심해져 3일전 집에서 밧 줄로 장롱에 걸어 hanging 하려는 모습 보 여 ’09.01.28 오후 1시에 EMC통해 Adm함.
-이곳에서 약만 줘서 사람을 재운다고 생각하심
-자포자기식의 말 많이 하고 낮에 많이 주무심
-프로그램에는 적극적으로 참여하시진 않는듯함
간호진단
#4. 약복용의 중요성과 관련된 건강유지능력 변화
기대결과
1.대상자는 약복용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대상자는 약물을 끊지 않고 잘 복용 할 것이다.)
2.약을 복용하면서 무력감을 해소 할 수 있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 수행
①규칙적으로 약복용을 제시간에 수행한다.
②약 복용의 중요성을 인식한다.
③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모습을 보인다.
완치할 수 있는 치료방법은 아직 없지만 적절한 약물치료와 정신 사회재활치료, 가족과 사회의 적극적인 지지가 있으면 대부분의 환자들은 가족과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다 하면서 지낼 수 있다.
①약복용의 중요성을 인식시켰다.
②약물을 잘 복용한다면 머릿속에 이상한(괴이한)것들이 덜 괴롭힐 것이라고 인식시켰다.
③약물을 잘 복용한다면 퇴원후 재입원하는 횟수가 줄어들 수 있을 것 이다. 라고 인식시켰다.
④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지 했다.
간호평가
.약물을 잘 복용해야만 된다는 것을 인식 한 것 같다.
.퇴원시 약을 잘 챙겨먹어야 한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 같다.
.약물복용도 잘 하면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모습을 조금씩 보였다.
Ⅵ. 참고문헌
1. (제5판) 정신간호총론 / 이광자 외5명/ 수문사
2. 정신간호학(하)/이정숙 외(2000)/ 현문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 수행
①자가 간호 능력의 수준을 사정한다.
②환자의 능력 수준에 따라 정상적인 일상 활동을 행하도록 격려한다.
③환자의 신체적 활동을 증진시킨다.
④환자가 좋아하는 놀이나 화제 거리로 이야기하여 낮잠 자는 시간을 줄인다.
-신체적 합병증을 예방하고 자존감을 유지시켜 드린다.
긍정적인 생각으로 바람직한 행동을 반복하게 해드린다.
-일상 활동을 성공적으로 행하는것은 자존감을 증진시킨다.
-긍정적 강화는 자존감을 증진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반복하도록 한다.
-신체운동은 억압된 자신을 발산시키기에 효과적인 방법이다.
①아침에 출근해서 위생 상 태를 확인했다.
②위생상태가 잘 되었을 경우 칭찬을 해주었다.
(깨끗하게 씻고 오셨을 때 좋은 냄새가 나고 더 멋있어 지셨다고 말씀드렸다.)
③위생상태가 불량 할 때는 다시 수행 할 수 있도록 강조했다.
간호평가
.위생 상태는 양호(머리를 이틀에 한 번씩 감을 때도 있고 안감는 날도 있으므로)해 졌지만 그래도 시간이 많이 부족한 것 같다.
.스스로 씻으려고 노력은 하나 깨끗이 씻는 것은 아직까지는 무리인 것 같다. 그래도 세수도 하고 씻고 나서 오늘 머리감았다고 자랑 하시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낮에 대화도 하고 걷기운동도 하면서 잠자는 시간을 줄였다.(하루 종일 잠만 잘 때가 있었는데 낮잠 줄어듬.)
사 정
주관적 자료..s
객관적 자료..o
“입맛이 없어요.”
“제가 변비 있다고 했더니 변비약을 아침 점심 저녁으로 계속해서 주는 거 있죠.. 좀 심한 것 아니에요. 어떻게 그렇게 줄 수 있 어요. ”
“변비약을 먹는데도 변이 안 나와요.”
“물 많이 먹었어요. ”
“힘들어서 운동 못해요. 다리가 많이 아파서 다리에 힘이 없어요. 아침에도 다리에 힘이 없어 쓰러졌어요.”
-Magnesium oxide 250mg (MgO) 복용
1T 조식-중식-석식
-죽을 먹는데도 다 먹지 않고 남김
-활동량이 적고 식사시간외에는 대부분 누워 있거나 움직이지 않는다.
-간간히 변비를 호소하고 수분섭취량도 투약 시간 외에는 따로 마시지 않는다.
-대상자는 물을 많이 먹었다고 하지만 작은 컵으로 150cc정도 먹는 모습을 볼 수 있음
-운동 하는 것을 싫어하심(움직임 자체를 싫 어 하심)
-너무 움직임이 없다보니 목 돌리는 것조차 힘들어 하심(간단한 체조도 하지 않으려 고 함)
간호진단
#3. 활동량부족과 관련된 변비
기대결과
1.수분섭취량을 2배로 섭취 할 것이다.
2.운동에 참여하여 활동량을 늘일 수일을 것이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 수행
①변비가 왜생기는지에 대해 서 이야기 하고 대처방안을 모색한다.
②운동에 참여한다.
(걷기와 간단한 체조)
③수분섭취량을 늘여 배변을 돕도록 한다.
-물을 많이 마시면서 섬유질음식과 유제품 음식을 먹어줌으로써 변의가 생기도록 한다.
-배변 횟수를 관찰함으로 변비의 변화를 확인한다.
-운동은 장운동을 촉진시켜 배변 활동을 돕는다.
-침대에 누워 있지 않고 활동을 함으로써 근육을 강화시키고 장운동을 돕는다.
-수분 섭취는 변을 부드럽게 하고 장운동을 촉진시킨다.
①변비는 수분섭취량과 운동 에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했 다.
②약에 의존하지 말고 스스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 했다.
③식사 후 걷기운동을 하도록 유도했다. (하루에 한번 간단한 체조를 하도록 했다. )
④아침에 일어나서, 식전 식후 에 물 500ml먹도록 했다.
간호평가
.식사 전과 후 물을 먹는 보습을 볼 수 있었지만 그래도 아직은 시간이 많이 부족한 것 같 다. 아직까지는 먹으라고 해야지만 먹는 모습을 볼 수 있었고 스스로 챙겨서 먹는 것은 많이 부족한 것 같다.
.식사 후 걷기운동을 열심히 하고 간단한 체조도 간간히 따라서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 다. 예전보다 식사량도 좀 늘었다.
.배변보기가 예전보다 힘들지 않다고 함. 2/9(월)바나나 크기의 덩어리로 2번 보셨다고 함
사 정
주관적 자료..s
객관적 자료..o
“이제 퇴원하고 싶어요.”
“저 언제 퇴원해요.”
“저 여기 몇 번 입원 했어요. 강남 ○○병원 에 입원했다가 이곳에 왔어요.”
“저 죽으려고 약 먹었다 죽지 못했어요.”
“내가 왜 이러는지 저도 모르겠어요.”
“이제는 제대로 살아 보고 싶어요.”
“저 언제 퇴원하는지 물어봐야겠어요.”
-이곳에 있는 것이 답답하다고 생각하시고 내가 언제 까지 있어야 하는지에 대해 답답하다고 함
-08.12. 퇴원후 약 잘 복용했으나 3주전 기 운 없고, 초조해지면서 우울한 기분 (depressive mood )심해져 3일전 집에서 밧 줄로 장롱에 걸어 hanging 하려는 모습 보 여 ’09.01.28 오후 1시에 EMC통해 Adm함.
-이곳에서 약만 줘서 사람을 재운다고 생각하심
-자포자기식의 말 많이 하고 낮에 많이 주무심
-프로그램에는 적극적으로 참여하시진 않는듯함
간호진단
#4. 약복용의 중요성과 관련된 건강유지능력 변화
기대결과
1.대상자는 약복용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대상자는 약물을 끊지 않고 잘 복용 할 것이다.)
2.약을 복용하면서 무력감을 해소 할 수 있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 수행
①규칙적으로 약복용을 제시간에 수행한다.
②약 복용의 중요성을 인식한다.
③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모습을 보인다.
완치할 수 있는 치료방법은 아직 없지만 적절한 약물치료와 정신 사회재활치료, 가족과 사회의 적극적인 지지가 있으면 대부분의 환자들은 가족과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다 하면서 지낼 수 있다.
①약복용의 중요성을 인식시켰다.
②약물을 잘 복용한다면 머릿속에 이상한(괴이한)것들이 덜 괴롭힐 것이라고 인식시켰다.
③약물을 잘 복용한다면 퇴원후 재입원하는 횟수가 줄어들 수 있을 것 이다. 라고 인식시켰다.
④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지 했다.
간호평가
.약물을 잘 복용해야만 된다는 것을 인식 한 것 같다.
.퇴원시 약을 잘 챙겨먹어야 한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 같다.
.약물복용도 잘 하면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모습을 조금씩 보였다.
Ⅵ. 참고문헌
1. (제5판) 정신간호총론 / 이광자 외5명/ 수문사
2. 정신간호학(하)/이정숙 외(2000)/ 현문사
추천자료
아동case study(UTI)
정형외과 케이스 스터디
기흉(Pneumothorax )케이스
폐렴 pneumonia
케이스 스터디/ 기관절개술 환자의 간호사례/ 간호진단/
아동간호학 급성기관지염 케이스
진폐증 (pneumoconiosis)의 대상자에 대한 CASE STUDY
간세포암 케이스
아동간호학 - 폐렴(pneumonia) & 인플루엔자 케이스
[정신간호학][Schizophrenia][정신분열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폐렴][Pneumonia]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 대장암(결장암, Colon cancer) Case study
임상사례연구(당뇨)
간호과정 내과실습 간경화 LC (Liver cirrhosi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