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케이스 스터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형외과 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case p.t 북3병동(정형외과) 3A(353호실 A환자)

서론

본론
문헌고찰
1. 골절의 정의
2. 골절의 원인
3. 골절의 병태 생리
4. 진단검사
5. 골절의 증상
6. 골절의 종류
7. 치료
8. 치유과정
9. 합병증
9.보충자료

B.간호과정
1) 자료 수집
2) 자료 분석

간호과정

본문내용

alation q 6hr
3/13-14
☞ bronchodilator
선택적으로 기관지 평활근의 β2수용체에 결합하여 교감신경이 흥분되었을 때와 같은 반응인 기관지 확장을 유발하면서 β1 수용체와 결합했을 때 나타나는 심장에서 심장기능을 항진하는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는다.
심계항진, 두통, 기관지경련, 진전
Budesonide(Pulmicort)
1cc inhalation q 6hr
3/13-14
☞ corticosteroid
과민반응 결과 나오는 히스타민의 유리를 감소시키며, 염증 반응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기관지 협착
폐결핵 환자, 진균 및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환자는 주의
Ipratropium
(Atovent)
1cc inhalation
q 6hr
3/13-14
천식치료제 중 항콜린 효능약으로 β-효능약이나 theophylline의 사용이 부적절한 경우에 β-효능약과 병용하여 사용한다,
Hydrocortisone sodium succinate
(Solucortef)
200mg IV
100mg IV(on call)
3/14
☞ 천연 당질스테로이드(natural glucocorticoids)
hydrocortisone의 sodium succinate의 ester이며 수용성 제제로 정맥주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수술 후 및 심한 외상이나 질병시 쇼크 치료에 사용한다.
Cushing's
syndrome,
glucocorticoid effect,
mineralocorticoid effect,
immunosuppression
Ketorolac tromethamine
(Tarasyn)
2ⓐ #2 IM
3/14-15
☞ NSAID
비마약성 소염진통제로 경한 통증에 사용한다.
소화장애, 졸림, 천식, 핍뇨
신기능장애자, 지혈억제치료를 받는 환자, 임부
Ketoprofen
(profenid)
2ⓐ #2 IM
3/14-15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중 propionic acid계
Cyclooxygenase의 활성을 억제, arachidonic acid로부터 thromboxane의 생성을 감소하여 소염, 진통작용을 나타낸다.저해하고 lysosome 막을 안정화 시킨다.
소화장애, 구토, 복통, 설사
-aspirin, 다른 NSAIDs와 병용시 위장관 독성 증대
황산 마이크로노마이신
(MIC)
4ⓐ #2 IV
3/14-
☞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
광범위 항균 스펙트럼을 가지는 살균성 아미노글리코 사이드계 항생물질
shock, 과민증, 신부전, 황달
과민환자, 신장애환자, 간장애환자, 어린이, 비경구영양 환자
약명
용법, 용량
투여기간
약리작용
부작용
주의사항
Aminophylline
500mg IV
3/13
xanthine alkaloid약명로서 직접 호흡기의 평활근을 이완시키고 중추신경계를 흥분시키며 신장에 직접 작용하여 이뇨작용을 일으킨다. 그러나 주입시 주입 펌프를 사용하여 일정하게 투여속도를 조절해야 shock을 방지할 수 있다.
(SC로 투여할 경우 지방분해효과도 있다.)
-오심, 구토, 상복부동통, 설사, 알부민뇨증, 호흡급속, 흥분, 불면
-심박급속, 고혈압, 기외수축, 발열, 두통, 과도 흥분반사, 급만성 경련
-심한 고혈압, 위궤양환자
-소아 주의
-심질환, 갑상샘 기능항진증, 녹내장, 신질환, 간질환 환자, 임신 중에는 주의
Cefmetazole sodium(Cefotazol)
3g IV
3/14
☞ 제 2세대 cephalosporin계 항균제
cephalosporin은 감수성균의 세포벽합성을 억제하여 살균작용을 나타내며 주로 신장을 통하여 배설된다.
설사, 오심, 발열
임신 중 주의
Theoesbeliven F
3ⓐ IV
3/14
뇌혈관 및 말초혈관 순환장애, 관상동맥부전치료제
오심, 구토, 심계항진, 발진
간질환자, 갑상선기능항진환자, 급성신염환자, 심장애, 유소아
Tramadol hydrochloride
(Tridol)
1ⓐ IV shooting
3/15
비마약성 진통제로 이 약과 활성 M1, 대사체 μ-opioid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또한 노에피네프린과 세로토닌이 reuptake되는 것을 억제함으로 작용을 나타낸다.
소양증, 담마진, 기관지 경련, 혈관부종, 다행증, 시력장애, 뇨저류
임부
Triazolam
(Halcion)
1ⓣ PO
3/15
☞ 항불안약 중 Benzodiazepine 유도체
불면증 및 수면유도
졸림, 현기증, 현훈, 빈맥, 피로, 기억상실, 벼비, 악몽, 지각이상
과량투여시 근육이상, 착란, 말더듬, 혼수상태 유발
간호 진단
간호 목표
간호 계획
간호 수행
간호 평가
통증으로 인한 안위변화
주관적 자료
S-"어깨가 아파요, 아직도 따끔해요"
O - 다친부위가 아프다고 호소하는 말을 하였음.
잠을 못자고 계속 아프다고 호소함.
본인이 통증이 완화되었다고 말한다.
환자가 통증을 표현할수 있도록 말을 믿고 들어준다.
통증부위를 사정한다.
환자의 요구를 충족시켜준다.
많은 시간을 함께하고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많은 대화를 한다.
의사의 지시아래 간호사가 지켜보는 데서 진통제를 투여한다.
시간이 날때마다 통증부위를 살피고 불편한 곳이 있는지 물어보았다.
통증부위를 사정하고 적절한 자세를 지시했다.(통증부위를 고정시키고 올려줌,필 요시에는 환자가 편안하게 느끼는 자세로 단 금기가 아닐때만)
의사의 지시아래 간호사가 진통제를 투여했다.
환자가 안정할수 있도록 시간이 날때마다 대화를 나누었다.
진통제와 수면제를 맞고 편안하게 잠자는 모습을 보임
관심을 다른데로 돌리는 내 노력은 환자의 신경을 날카롭게 했고 별도움이 되지않음
간호과정
간호 진단
간호 목표
계획
수행
평가
수액 요법의 잘못으로 인한 팔 부종과 통증
S-" 주사가 잘못되었나봐여 아파여 어떻게 좀 해주세여"
O-수액을 연결하면서 항생제며 여러 가지 주사를 같이 맞았다 항생제는 혈관이 아닌 부위에 세게 되면 환자가 통증을 느끼게 된다
부종이 가라 앉고
통증이 없어진다.
뜨거운 물수건을 준비해서 부어 오른 부위 위에 올려 놓는다
너무 뜨겁지 않은 수건을 만들어서 환자의 부어 오른 팔에 올려 놓았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액이 흡수되고 부종이 가라앉았고 통증도 가라앉았다.
  • 가격3,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05.05.10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63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