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인의 역사와 경제발전 조사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유대인들은 누구인가?

2. 현대인과 유대인의 상황

3. 유대인의 경제전략

4.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력

5. 유대인의 성공전략

본문내용

도시인 프랑크푸르트, 비엔나, 나폴리, 파리, 런던에 배치했다. 5형제 모두 금융업으로 성공했고 로스차일드가는 돈을 꿔주는 입장에서 전쟁이 일어날 때마다 큰 발언권을 얻게 되었고, 강력한 세력으로 중앙은행을 지배함으로써 지금의 영향력을 지니게 되었다.
이처럼 미국에서 1차 산업에서부터 제조, 서비스업까지 유대인의 영향력이 미치고 있고, 유럽의 로스차일드, 해운왕 오나시스 등 각국에 퍼져있는 자본력까지 감안하면 세계경제 전체가 뉴욕의 월가에서부터 홍콩자본까지 유대자본의 그물 안에 있다. 뿐만 아니라 북미대륙의 자유 경제 블록과 유럽의 경제통합, 아시아의 경제몰락 등은 모두 유대재벌의 입김으로 일어나고 있다.
2) 유대인과 이스라엘
1948년 5월 이스라엘은 건국되었다. 공로자는 아슈케나지 유대인들이었고, 이전부터 팔레스타인 개간을 위해 옮겨 온 사람들도 이들이었다. 이들 아슈케나지 유대인들은 이스라엘에 왔을 때 러시아혁명의 이상을 팔레스타인 땅에 실현하려고 했다. 이스라엘의 재건은 로스차일드 등 미국이나 유럽의 아슈케나지 유대인들이 돈을 투자했기에 가능했고, 러시아에서 이주해 온 이들의 땀과 노력의 결과이다. 이스라엘의 농업생활 중 핵심인 집단으로 생산하고 분배하는 공산주의 사회문화의 자재, 키부츠 또한 유대인들이 실현한 것이다.
이스라엘은 원자재 부족, 비교적 넓지 않은 농경지 등의 이유로 고부가가치 산업과 공업의 산업 비중이 높다. 사람들은 상업 및 금융업 약 40%, 서비스업 약 30%, 공업이 20%, 건설업과 통신업 각각 5%, 농업 1% 정도 종사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국내에 원자재 생산량이 낮아 과학적 창조력과 기술 혁신 등에 주력하여 전자 의료 기기, 통신,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화학, 농업 공학, 다이아몬드 세공 등의 공업은 이미 세계적 수준에 올라있고 이스라엘 전체 수출의 70%를 차지한다.
현재 이스라엘에는 4백60여만 명의 유대인이 살고 있어, 미국과 이스라엘 두 나라가 유대인 생활의 양대 축이다. 이스라엘이 전통을 보존하는 일을 맡는다면 미국은 전 세계 유대인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미국은 중동정책을 이스라엘의 예루살렘에서 만들고, 대외원조의 1/5를 이스라엘에 할애한다. 유대인들은 자기의 생존과 민족의 존속을 그들의 가치추구의 2대명제로 삼아왔고, 경제활동의 기본으로 추구해왔다. 따라서 이들은 이스라엘에 대해 애착과 애국심을 갖고, 존속을 위해 많은 투자와 지원을 해오고 있다.
5. 유대인의 성공전략
1) 성공신화
세계의 중심도시 뉴욕에서 유대인들은 엄청난 부를 축적하고 있다. 헤어스타일의 감각을 상업화 하여 세계적 브랜드로 만든 비달 사순, 상류층의 전유물이었던 초콜릿을 대중화시켜 허쉬 초콜릿을 만들어낸 밀턴 허쉬, 대공황 속에서 도넛을 개발해낸 던킨 도넛츠의 윌리엄 로젠버그, 세계최초로 아이스크림을 대중화시킨 하겐다즈의 매터스 루빈, 벤&제리의 창업자 벤 코헨과 제리 그린필드, 베스킨&라빈스의 창업자 버튼 바스킨과 어빙 로빈스 등 유명한 브랜드이 다 유대인이 만든 것이다.
또한 20세기 세계 최대 부자인 석유업계의 제왕 록펠러와 구겐하임 미술관의 구겐하임 가문 모두 유대인이다. IT산업에서도 유대인인 앤드루 그로브는 세계 마이크로프로세서의 90%이상을 생산하는 반도체업계의 제왕 인텔의 회장이 되었고, 세계 최대의 소프트웨어 회사 마이크로소프트를 일군 스티브 발머, 델 컴퓨터의 마이클 델, 오라클의 래리 엘리슨 회장 역시 유대인이고, 앞서 설명한 것처럼 AP, 뉴욕 타임즈, BBC 등 언론계에서도 역시 유대인의 세력은 마찬가지로 막강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2) 성공비결
* 엄청난 교육열 : 유대인 세계에서 문맹은 무식한 것을 넘어 종교적인 죄악으로 여겨진다. 유대인 중 가장 지적인 사람은 유대 사회를 이끄는 랍비가 됐고, 교육자이자 선생님인 랍비는 늘 가장 존경받는 인물이었다. 따라서 지성인을 만드는 교육은 다른 무엇보다 인간의 가장 중요한 의무가 된다. 또한 지난 3000년 동안 고난의 역사를 보낸 유대인은 고통을 극복하는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고, 그러다보니 교육의 중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러한 교육에 대한 열의는 금융, 법조, 언론, 첨단산업 등 머리를 쓰는 지식산업에 유난히 강하도록 만들어 주고 있다.
* 돈에 대한 남다른 생각 : 유대인들이 돈벌이에 대해 지독하게 경험한 때는 중세봉건시대다. 철저한 기독교 사회 내에 이들이 설 자리는 없었고, 생계를 유지하려면 기독교인들이 하지 않는 일을 할 수 밖에 없었다. 그것이 바로 돈을 빌려주는 대금업 이었다. 당시 중세 교회법에서는 돈을 이자로 받고 빌려주는 것을 금지했기 때문에, 이들은 고리대금으로 부를 축적하기 시작했다. 경제관념이 남달라 돈을 모으고, 모은 돈을 불리는 데 유리하게 작용했다. 그리고 유대인은 돈을 삶의 최고 가치 가운데 하나로 여기고 특유의 자산증식 프로그램을 운용하면서 가장 부유한 집단으로 성장해왔다. 물론 유대인들의 계율에서도 선행을 강조하고 있으나 가난한 사람을 돕는 등의 선행을 하려면 자본이 필요하다는 것, 돈이 많을수록 선행을 많이 베풀 수 있음을 인정한다. 즉, 유대인은 부의 사회 환원 역시 강조하고, 자선사업과 사회단체에 많은 돈을 기부하는 것은 종교적 가르침을 실천하는 일이며, 동시에 장기적인 투자로서 사회 곳곳에 유대인의 영향력을 펼쳐나갈 수 있는 유용한 기반이 된다.
* 특별한 경제교육 : 유대인들은 13세가 되는 생일을 성인식으로 여겨 성대하게 행한다. 이 날 행사에 참석한 사람들은 결혼식 때처럼 부조금을 낸다. 일반 직장인의 경우 보통 1인당 200달러 정도 내는데, 이런 축하객이 200명 왔다고 하면 4만 달러의 돈이 들어오게 된다. 이 돈은 모두 성인이 되는 사람의 몫이고 이들이 20대 초반 대학을 졸업하고 사회생활을 시작할 때쯤이면 적어도 두 배 이상 불어나 있다. 평균적으로 1억원 안팎의 돈을 가지고 사회생활에 나서기 때문에 돈을 불릴 방법을 고민하게 되어 돈을 벌고, 불리고, 쓸줄 아는 힘인 돈에 대한 장악력을 기르게 된다. 이것이 특히 금융업종을 선호하는 배경이 되어 경제면에서 우위를 차지하게 되는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12.01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29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