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기원
(2) 특징
(3) 경제체제로서의 자본주의
(4) 경제체제의 편성원리
(5) 노동력의 상품화와 자본화
(6) 시장메커니즘과 자본주의
(7) 자본주의의 성립, 발전과 전망
(8) 한국의 자본주의
2. 본론
(1) 기원
(2) 특징
(3) 경제체제로서의 자본주의
(4) 경제체제의 편성원리
(5) 노동력의 상품화와 자본화
(6) 시장메커니즘과 자본주의
(7) 자본주의의 성립, 발전과 전망
(8) 한국의 자본주의
본문내용
가지므로, 지나치게 억제하면 오히려 불리해진다. 그래서 자본주의체제에서 노동자의 생활향상이 가능해진다. 또 자본제기업은 증자(增資)를 위하여 주식회사의 형태를 취하는데, 노동자계층도 주식을 구입하고 출자자로서 이익분배에 참여하는 기회가 생긴다. 전자는 자본주의가 시장관계에 의거하고 있는 까닭에 유연한 구조이고, 후자는 자본에 의한 노동조직화에 내포된 유연한 구조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연한 구조에 의한 성과배분이 노동소외와 같은 부정적인 면을 보완할 수 있을 정도의 매력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한, 자본주의는 계속 우수한 경제체제로 존속할 수 있을 것이다.
(8) 한국의 자본주의
한국 자본주의의 발전형태는 일본의 식민지지배에 의해 자본제화(資本制化)를 강요받았다는 점에서 식민지종속형으로 분류된다. 일제의 요구에 따라 시민혁명과 같은 변혁과정없이 봉건적 사회구조를 고수한 채 일부 매판자본(買辦資本)과 일본자금을 주축으로 하여 자본주의적 발전의 길에 들어서게 되었고, 광복 후 미군정통치 및 경제원조와 6·25를 거치면서 대미(對美)일변도의 경제구조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개과정의 특수성으로 말미암아 한국자본주의는 ① 저차적 독점 ② 관료자본주의적 성격 ③ 사회적 생산력의 이식형적(移植型的) 성격 ④ 경제활동에 있어 경제외적 요소의 두드러짐 ⑤ 국민경제의 이중구조 등의 특징을 지니게 된다. 일제의 탄압에 따른 민족자본의 부재는 광복 후 일부 매판상인자본을 한국자본주의의 담당자로 끌어들이게 하였고, 이들은 국가권력과 결합, 저차적 독점을 이루게 되었으며 이후 정부의 성장정책과 맞물려 더욱 확대재생되었다. 또한 광복 직후 농지개혁과 귀속재산불하의 실패, 자생적 민족공업 육성책부재 등으로 인해 민족자본축적의 기회를 잡지 못함으로써 이후 외국자본을 통해 경제성장을 꾀할 수밖에 없었는데, 여기에서 관료자본주의적 성격이 나타나게 된다. 다음으로 한국자본주의는 그 전개에서 내생적인 사회적 생산력에 의존하기보다는 외국자본과의 상관성에서 생산력적 기초를 가졌는데, 이는 산업의 이식형적 성격을 강화, 산업과 기업간의 긴밀한 분업을 가로막을 뿐 아니라 국내 자원부존상태와 맞지 않는 기술을 도입하게 되고, 시장점유에 상응하는 고용기회를 창출하지 못하게 하였다. 또한 산업자본단계의 경쟁없이 정상(政商)과 국가권력, 그리고 외국자본과의 결합관계에서 경제외적인 독점을 실현시켜 왔기 때문에 궁극적으로는 사회적 생산력의 발전을 저해하고 독점을 터무니 없이 조장하는 결과를 낳았다. 마지막으로, 한국자본주의가 국가독점의 단계에 이르고 있고 민간자본에 있어서 독점의 완성이 금융자본의 형성에까지 미치고 있음에도 농업부문에서는 전근대적 소농민경영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등 국민경제의 이중성이 심각한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이상의 한국자본주의의 여러 모습은 과거 이민족의 지배체제와 그 이후 계속된 권력자들의 실정(失政)으로 각종 사회·경제적 모순이 심화되어 온 결과이며, 오늘날 한국경제의 괄목할 만한 외형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극복하여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8) 한국의 자본주의
한국 자본주의의 발전형태는 일본의 식민지지배에 의해 자본제화(資本制化)를 강요받았다는 점에서 식민지종속형으로 분류된다. 일제의 요구에 따라 시민혁명과 같은 변혁과정없이 봉건적 사회구조를 고수한 채 일부 매판자본(買辦資本)과 일본자금을 주축으로 하여 자본주의적 발전의 길에 들어서게 되었고, 광복 후 미군정통치 및 경제원조와 6·25를 거치면서 대미(對美)일변도의 경제구조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개과정의 특수성으로 말미암아 한국자본주의는 ① 저차적 독점 ② 관료자본주의적 성격 ③ 사회적 생산력의 이식형적(移植型的) 성격 ④ 경제활동에 있어 경제외적 요소의 두드러짐 ⑤ 국민경제의 이중구조 등의 특징을 지니게 된다. 일제의 탄압에 따른 민족자본의 부재는 광복 후 일부 매판상인자본을 한국자본주의의 담당자로 끌어들이게 하였고, 이들은 국가권력과 결합, 저차적 독점을 이루게 되었으며 이후 정부의 성장정책과 맞물려 더욱 확대재생되었다. 또한 광복 직후 농지개혁과 귀속재산불하의 실패, 자생적 민족공업 육성책부재 등으로 인해 민족자본축적의 기회를 잡지 못함으로써 이후 외국자본을 통해 경제성장을 꾀할 수밖에 없었는데, 여기에서 관료자본주의적 성격이 나타나게 된다. 다음으로 한국자본주의는 그 전개에서 내생적인 사회적 생산력에 의존하기보다는 외국자본과의 상관성에서 생산력적 기초를 가졌는데, 이는 산업의 이식형적 성격을 강화, 산업과 기업간의 긴밀한 분업을 가로막을 뿐 아니라 국내 자원부존상태와 맞지 않는 기술을 도입하게 되고, 시장점유에 상응하는 고용기회를 창출하지 못하게 하였다. 또한 산업자본단계의 경쟁없이 정상(政商)과 국가권력, 그리고 외국자본과의 결합관계에서 경제외적인 독점을 실현시켜 왔기 때문에 궁극적으로는 사회적 생산력의 발전을 저해하고 독점을 터무니 없이 조장하는 결과를 낳았다. 마지막으로, 한국자본주의가 국가독점의 단계에 이르고 있고 민간자본에 있어서 독점의 완성이 금융자본의 형성에까지 미치고 있음에도 농업부문에서는 전근대적 소농민경영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등 국민경제의 이중성이 심각한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이상의 한국자본주의의 여러 모습은 과거 이민족의 지배체제와 그 이후 계속된 권력자들의 실정(失政)으로 각종 사회·경제적 모순이 심화되어 온 결과이며, 오늘날 한국경제의 괄목할 만한 외형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극복하여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추천자료
[자본주의]자본주의의 형성과 특징 및 문제점과 변화과정(자본주의의 형성, 자본주의사회의 ...
[자본주의][경제학][정보자본주의][역사적 자본주의][수정자본주의]자본주의와 경제학, 정보...
자본주의 250년 역사
유럽식 자본주의와 유럽식 자본주의에 관하여
유럽식 자본주의와 미국식 자본주의에 대해
[유교][사상][경제관][결혼관][경험성][보수주의][자본주의][시민운동]유교의 사상, 유교의 ...
[독후감] 자본주의 웃음 자본주의의 눈물 _송병락 저
[독후감/서평/요약/줄거리] 나는 세계일주로 자본주의를 만났다 _ 코너 우드먼 (Conor Woodma...
[유동자본][자본][유동자본 개념][유동자본 속성][유동자본 구성][고정자본][자본주의][공산...
[일본경제]일본경제와 기업시스템, 자본주의, 일본경제와 FTA(자유무역협정), 일본경제와 플...
[인권][인권 정의][공화주의][유교주의][자본주의][국가주의][민주주의]인권의 정의, 인권의 ...
[감상문, 분석] <자본주의 4.0>에 대해서 _ 아나톨 칼레츠키 (Anatole Kaletsky) 저
세계화와 변화하는 자본주의 - 자본주의 4
저항이론과 자본주의 국가론 [교육사회학] {저항이론, 애플의 저항이론, 프레이리의 저항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