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에 해당하는 덩어리로 모아 쓰게 되어 있다. 이 모아쓰기로 해서 한글은 음소문자(音素文字)이면서 음절문자(音節文字)의 특징도 지니고 있다.
7. 실학운동과 교육
1) 실학의 개념과 시대적 배경
① 실학의 개념: 조선 후기 영 정조(英正祖) 시대 이후에 양심적인 학자 지식층을 중심 으로 나타난 일정한 역사적 시기의 학문 경향
② 특징: 집권층에 대한 비판, 집권층의 이데올로기를 대변하는 지나치게 관념적이고 사 변적인 주자학에 대하여 비판
③ 학문적 경향: 근대 지향적
④ 학문적 관심: 근대화의 필수 과정인 토지제도의 개혁, 상공업 생산기술의 향상, 실용과 실증 중시
⑤ 실학의 성격: 반주자학적 성격을 띠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 본질은 역시 유학(儒學)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개신유학(改新儒學)이라고 부르며, 실학의 본질을 경학(經學)에서 찾아야 한다고 함. 그러나 민족주의적 성격이 강하고, 근대 지향적 성격 을 가지며, 민중의 편에 선 지식인들의 개혁사상이었다는 점에서 성리학과 분명히 구별 됨.
⑥ 실학의 유파
학파 이름
시기
대표적인 인물
내용
경세치용
(經世致用)
학파
실학운동의 제1기
(18세기 전반)를 대표하는 학파
유형원(柳馨遠), 이익李瀷)
토지제도와 행정기구 및 기타 제도
상의 개혁에 주된 관심 가짐.
이용후생
(利用厚生)
학파
제2기 (18세기 후반)
박지원(朴趾源)
상공업의 유통, 생산기구 및
일반 기술면의 혁신으로 생산력을
향상시킬 것을 주창.
실사구시
(實事求是)
학파
제3기 (19세기 전반)
김정희(金正熹)
경서(經書) 금석(金石) 전고(典故) 등의 고증에 주력하여 엄격한객관적
태도로 사실을 밝혀내려 함.
2) 실학의 발전과 교육
(1) 유형원(柳馨遠 :1622-1673)
- 과거에 응시 진사가 되나 벼슬에 뜻이 없어 학문에만 몰두
- <반계수록>26권. <이기총론>, <동사강목조례>, <반계집> 등
- 반계수록 중 교선지제에 나타난 교육사상
① 과거제도 폐지. 학교교육 통한 능력 있는 인물 관리 등용 주장
② 근대적 학제 도입
③ 인재 등용의 기준을 문벌보다 개인의 능력에 따라 정해져야 한다고 주장
④ 사람됨과 능력을 본위로 신분을 초월 교육 기회를 균등히 할 것을 주장
(2) 이익(李瀷 : 1681-1763)
- <성호사설>, <곽우록> 등 많은 저술 남김
- <곽우록> : 이익의 주 교육사상 수록. 경연·육재·학교·숭례·식년시·입사·공거사의·선거 사의· 과거지폐 등에 관해 논의
- 교육사상
① 민족주체 의식을 강조
② 교육에서 숭례와 근검 강조
③ 민본사상을 바탕으로 한 능력에 따른 개인차 반영 주장
④ 교육에서 탐구심의 계발이 자기 계발의 요소이며, 자기수양의 방법으로 매일 새롭게 스승을 구하고, 왕성한 호기심을 가지고 즐겨 질문하는 것이 참다운 살아 있는 교육이 라 주장. 맹목적 암기보다 질의응답을 중시하고 지행합일을 강조
(3) 박지원(朴趾源 : 1737-1805)
- <양반전>, <허생전> 등 9편의 소설을 통해 사회의 불합리성 풍자
- <열하일기> : 이용후생에 도움이 되는 청의 문물을 배워야 함을 주장
- 교육사상
① 문학작품을 통해 신랄한 사회비판·민중 각성 꾀함
② 도덕성을 지닌 경제인으로서의 선비를 교육적 인간상으로 봄
③ 교육내용에 있어서의 민족주체성 강조
(4) 정약용(丁若鏞 : 1762-1836)
- 성호이익의 글을 읽고 실학에 심취
- 정치·경제에 대한 개혁을 구상한 <목민심서>,<흠흠신서>,<경세유표> 등 500여권의 책 저술 - 교육사상
① 교육의 핵심은 실학정신
② 교육적 인간상으로 수기위천하인을 생각
③ 실천성 강조
3) 실학운동의 교육사적 의의
① 교육이념의 근대화에 기여
② 과거제도의 폐단을 지적, 다각도로 이에 대한 개혁 모색
③ 한글의 보급과 발전에 기여
④ 민족주체의식의 제고
⑤ 발달단계에 따른 보다 체계화된 학제를 제시(유형원의 학제안)
8. 조선시대의 교육사상가
(1) 권근(權近 : 1352 - 1409)
- 교육목적 : 인재의 양성에 둠
- 교육방법 : 근소(近小)를 먼저하고 원대(遠大)를 나중에 하며, 학문을 하려는 자는 먼 저 『소학』을 읽어 인륜을 익혀야 한다고 했다.
(2) 조식(曺植 : 1501 - 1572)
- 교육목적 : 윤리적 덕목 중에서 쉬운 것부터 실천하여 성현의 경지에 도달하는 것
- 교육방법 :
① 자해자득(自解自得), 즉 스스로 터득하고 ② 경(敬)과 성(誠) ③ 박문약례(博文約 禮), 학문을 널리 닦아 몸가짐을 예법에 맞게 함 ④ 널리 배우고 깊이 묻고 신중히 생각 하고 올바르게 판단할 것 ⑤ 주체적실용적 학문 태도 ⑥ 개성과 자질에 적합한 교육을 강조했고, 이를 스스로 실천함
(3) 이황(李滉 : 1501 - 1570)
- 교육목적 : 배우고자 하는자는 먼저 뜻을 바로 세워 성인이 될 것을 스스로 기약해야함
- 교육과정 : 『주자대전』『심경(心經)』『태극도설』등을 중요시하고, 다음에 『소 학』『근사록』『효경』『가례』『사서』등을 중요시
- 교육방법 : 거경(居敬)과 궁리(窮理)를 근본 원리로 삼았다.
(4) 이이(李珥 : 1536 - 1584)
- "교화를 베푸는 방법은 학교가 으뜸이라"고 하여 학교교육을 매우 중요시했다.
- 교육사상 : 지정의(知情意)가 조화를 이룰 때 비로소 참된 학문도 가능하고 궁극적으 로 참된 인간이 될 수 있다.
- 교육방법 : 입지(立志)와 성경(誠敬)을 바탕으로 지행합일, 내면적 동기, 반복 학습을 통한 점진적 발전, 개인차를 고려한 적절한 방법의 선택 등을 강조하였다.
9. 교육사적 의의
① 한자와 유학을 바탕으로 하는 한민족의 전통적 문화와 교육제도는 더욱 발전하여 고유 의 민족문화를 확립
② 향교와 서원 및 서당 등을 통한 전통적 교육의 발전. 특히 서당과 같은 사립 서민교육 기관의 발달은 교육을 사랑하는 우리 민족의 전통으로 그 교육사적 의의를 재음미해 볼 필요가 있다.
③ 훈민정음의 창제는 여성과 서민들 사이에 중요한 의사 전달의 매체였을 뿐만 아니라 오 늘날에 와서 문자의 독창성과 과학성으로 문화민족으로서의 긍지를 심어주었고, 독자적인 민족 문화를 창조하고 유지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7. 실학운동과 교육
1) 실학의 개념과 시대적 배경
① 실학의 개념: 조선 후기 영 정조(英正祖) 시대 이후에 양심적인 학자 지식층을 중심 으로 나타난 일정한 역사적 시기의 학문 경향
② 특징: 집권층에 대한 비판, 집권층의 이데올로기를 대변하는 지나치게 관념적이고 사 변적인 주자학에 대하여 비판
③ 학문적 경향: 근대 지향적
④ 학문적 관심: 근대화의 필수 과정인 토지제도의 개혁, 상공업 생산기술의 향상, 실용과 실증 중시
⑤ 실학의 성격: 반주자학적 성격을 띠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 본질은 역시 유학(儒學)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개신유학(改新儒學)이라고 부르며, 실학의 본질을 경학(經學)에서 찾아야 한다고 함. 그러나 민족주의적 성격이 강하고, 근대 지향적 성격 을 가지며, 민중의 편에 선 지식인들의 개혁사상이었다는 점에서 성리학과 분명히 구별 됨.
⑥ 실학의 유파
학파 이름
시기
대표적인 인물
내용
경세치용
(經世致用)
학파
실학운동의 제1기
(18세기 전반)를 대표하는 학파
유형원(柳馨遠), 이익李瀷)
토지제도와 행정기구 및 기타 제도
상의 개혁에 주된 관심 가짐.
이용후생
(利用厚生)
학파
제2기 (18세기 후반)
박지원(朴趾源)
상공업의 유통, 생산기구 및
일반 기술면의 혁신으로 생산력을
향상시킬 것을 주창.
실사구시
(實事求是)
학파
제3기 (19세기 전반)
김정희(金正熹)
경서(經書) 금석(金石) 전고(典故) 등의 고증에 주력하여 엄격한객관적
태도로 사실을 밝혀내려 함.
2) 실학의 발전과 교육
(1) 유형원(柳馨遠 :1622-1673)
- 과거에 응시 진사가 되나 벼슬에 뜻이 없어 학문에만 몰두
- <반계수록>26권. <이기총론>, <동사강목조례>, <반계집> 등
- 반계수록 중 교선지제에 나타난 교육사상
① 과거제도 폐지. 학교교육 통한 능력 있는 인물 관리 등용 주장
② 근대적 학제 도입
③ 인재 등용의 기준을 문벌보다 개인의 능력에 따라 정해져야 한다고 주장
④ 사람됨과 능력을 본위로 신분을 초월 교육 기회를 균등히 할 것을 주장
(2) 이익(李瀷 : 1681-1763)
- <성호사설>, <곽우록> 등 많은 저술 남김
- <곽우록> : 이익의 주 교육사상 수록. 경연·육재·학교·숭례·식년시·입사·공거사의·선거 사의· 과거지폐 등에 관해 논의
- 교육사상
① 민족주체 의식을 강조
② 교육에서 숭례와 근검 강조
③ 민본사상을 바탕으로 한 능력에 따른 개인차 반영 주장
④ 교육에서 탐구심의 계발이 자기 계발의 요소이며, 자기수양의 방법으로 매일 새롭게 스승을 구하고, 왕성한 호기심을 가지고 즐겨 질문하는 것이 참다운 살아 있는 교육이 라 주장. 맹목적 암기보다 질의응답을 중시하고 지행합일을 강조
(3) 박지원(朴趾源 : 1737-1805)
- <양반전>, <허생전> 등 9편의 소설을 통해 사회의 불합리성 풍자
- <열하일기> : 이용후생에 도움이 되는 청의 문물을 배워야 함을 주장
- 교육사상
① 문학작품을 통해 신랄한 사회비판·민중 각성 꾀함
② 도덕성을 지닌 경제인으로서의 선비를 교육적 인간상으로 봄
③ 교육내용에 있어서의 민족주체성 강조
(4) 정약용(丁若鏞 : 1762-1836)
- 성호이익의 글을 읽고 실학에 심취
- 정치·경제에 대한 개혁을 구상한 <목민심서>,<흠흠신서>,<경세유표> 등 500여권의 책 저술 - 교육사상
① 교육의 핵심은 실학정신
② 교육적 인간상으로 수기위천하인을 생각
③ 실천성 강조
3) 실학운동의 교육사적 의의
① 교육이념의 근대화에 기여
② 과거제도의 폐단을 지적, 다각도로 이에 대한 개혁 모색
③ 한글의 보급과 발전에 기여
④ 민족주체의식의 제고
⑤ 발달단계에 따른 보다 체계화된 학제를 제시(유형원의 학제안)
8. 조선시대의 교육사상가
(1) 권근(權近 : 1352 - 1409)
- 교육목적 : 인재의 양성에 둠
- 교육방법 : 근소(近小)를 먼저하고 원대(遠大)를 나중에 하며, 학문을 하려는 자는 먼 저 『소학』을 읽어 인륜을 익혀야 한다고 했다.
(2) 조식(曺植 : 1501 - 1572)
- 교육목적 : 윤리적 덕목 중에서 쉬운 것부터 실천하여 성현의 경지에 도달하는 것
- 교육방법 :
① 자해자득(自解自得), 즉 스스로 터득하고 ② 경(敬)과 성(誠) ③ 박문약례(博文約 禮), 학문을 널리 닦아 몸가짐을 예법에 맞게 함 ④ 널리 배우고 깊이 묻고 신중히 생각 하고 올바르게 판단할 것 ⑤ 주체적실용적 학문 태도 ⑥ 개성과 자질에 적합한 교육을 강조했고, 이를 스스로 실천함
(3) 이황(李滉 : 1501 - 1570)
- 교육목적 : 배우고자 하는자는 먼저 뜻을 바로 세워 성인이 될 것을 스스로 기약해야함
- 교육과정 : 『주자대전』『심경(心經)』『태극도설』등을 중요시하고, 다음에 『소 학』『근사록』『효경』『가례』『사서』등을 중요시
- 교육방법 : 거경(居敬)과 궁리(窮理)를 근본 원리로 삼았다.
(4) 이이(李珥 : 1536 - 1584)
- "교화를 베푸는 방법은 학교가 으뜸이라"고 하여 학교교육을 매우 중요시했다.
- 교육사상 : 지정의(知情意)가 조화를 이룰 때 비로소 참된 학문도 가능하고 궁극적으 로 참된 인간이 될 수 있다.
- 교육방법 : 입지(立志)와 성경(誠敬)을 바탕으로 지행합일, 내면적 동기, 반복 학습을 통한 점진적 발전, 개인차를 고려한 적절한 방법의 선택 등을 강조하였다.
9. 교육사적 의의
① 한자와 유학을 바탕으로 하는 한민족의 전통적 문화와 교육제도는 더욱 발전하여 고유 의 민족문화를 확립
② 향교와 서원 및 서당 등을 통한 전통적 교육의 발전. 특히 서당과 같은 사립 서민교육 기관의 발달은 교육을 사랑하는 우리 민족의 전통으로 그 교육사적 의의를 재음미해 볼 필요가 있다.
③ 훈민정음의 창제는 여성과 서민들 사이에 중요한 의사 전달의 매체였을 뿐만 아니라 오 늘날에 와서 문자의 독창성과 과학성으로 문화민족으로서의 긍지를 심어주었고, 독자적인 민족 문화를 창조하고 유지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키워드
추천자료
[특기적성교육]특기적성교육의 의의, 특기적성교육의 필요성, 특기적성교육의 목적, 특기적성...
독서교육(독서지도)의 의의, 독서교육(독서지도)의 목적과 중요성, 독서교육(독서지도)의 원...
[유아연구및평가]평가의 목적과 의의를 유아교육의 입장에서 논의하시오.
영재교육과정의 의의, 영재교육과정의 목적, 영재교육과정의 실태와 영재교육과정의 교수학습...
[학교 성교육][학교 성교육 모둠활동][학교 성교육 활성화 방안]학교 성교육 의의, 학교 성교...
EBS교육방송의 의의, EBS교육방송의 목적, EBS교육방송의 기능, EBS교육방송의 효과, EBS교육...
[연구와 평가 A+] A형과제물 - 평가의 목적과 의의를 유아교육의 입장에서 논의하시오
(유아교육평가A형)평가의 목적과 의의를 유아교육의 입장에서 논의
[독서지도]독서지도(독서교육)의 의의, 목적, 독서지도(독서교육)의 여건조성, 학교교과연계...
삼국시대부터 조선 후기까지 교육제도의 변천
평가의 목적과 의의를 유아교육의 입장에서 논의하시오. (교육평가의 목적과 의의, 유아교육...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프로젝트 접근법 (Project Approach) - 프로젝트 접근법의 유...
[가족생활교육]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실행과 평가 (일반적인 프로그램 진행단계, 가족생활...
경영환경의 변화,교육훈련의 의의와 특징,교육훈련의 중요성,교육훈련의 목적과 효과,교육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