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명 이전의 러시아영화와 현재 비교특징 조사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혁명이전의 러시아영화

2. 혁명직후의 소비에트 영화

3. 1920년대 소비에트 영화

4. 1930~1940년대의 소비에트 영화

5. 1950~1960년대

6. 브레즈 네프의 소비에트 영화

7. 개혁개방 및 오늘의 러시아영화

본문내용

차 회사의 전시장으로 변하는 등 러시아 안의 배 급망이 급격히 파괴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비디오 시장조차 태동 기라고 할 수 있는 러시아에서 영화가 수익을 남길 수 있는 길은 단 하나 해외배급을 타는 길뿐이게 것이다.
이런 어려운 상황 속에서 만들어진 영화들이 어려운 러시아의 현실을 적 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은 당연한 결과. 대표적인 작품이 블라디미르 코티넨코 감독의 `모슬렘'(The Moslem). 이 영화는 아프카니스탄에 파병 되었다가 7년 동안 포로로 잡혀 있게 되면서 이슬람교로 개종을 한 러시 아 청년 콜랴가 그의 고향으로 돌아와 배척당하는 사건을 그리고 있다. 또 카를로 비바리 영화제에서 대상을 수상했을 뿐만 아니라 골든 글러브 최우수 외국어영화상 후보에도 올랐던 `코카서스의 죄수'는 분쟁 지역인 체첸에서 반군에 잡힌 러시아 군인 바니아와 사샤가 러시아군에 잡힌 아 들을 구하려고 자신들을 구매(!)한 노인을 따라 산속 마을로 가게 되면서 일어나는 일들을 담고 있다.
이 두 영화를 비롯해 최근의 러시아 영화들에는 보드카에 대한 집착과 ( 심지어 `코카서스…'에선 이슬람교도인 체첸인들도 계속 술을 마신다) 악 의 상징이 되어버린 도시에 대한 반감 그리고 반대로 아름다운 자연에 대 한 찬미나 퇴색해버린 애국심이 혼재되어 나타난다. 이렇게 러시아의 영 화 작가들은 그들의 과거와 오늘의 모습에 괴로워하고 있고 미래에 대한 불안을 영화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상황을 더더욱 어둡게 하는 것은 정작 수익을 올리기 위해 외국의 자본이 참여했거나 아니면 해외시장에 판매하려는 러시아 영화들 이 `라이프 인 레드'나 `코카서스의 죄수'에 대한 우리의 반응처럼 예술 영화관이나 영화제를 제외하고는 외국의 관객들에게는 거의 매력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서 외국 자본을 참여시키고 해외배급을 통해 수익을 올려야 한 다는 명제와 영화를 보아줄 진짜 관객은 외국이 아닌 러시아 안에 있지만 그들에게 다가설 방법이 없는 냉혹한 현실 사이에서 한때 그토록 화려했던 러시아 영화는 필연적인 악순환을 거듭하고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러시아 영화의 여러 면을 조사하고 알아보면서 러시아의 또 다른 힘을 알수있다. 비록 영화 산업의 발전의 계기가 소비에트 시절의 민중의 선동과 계몽에 있었다는 점이 다소 억지스러운 면이 있지만 그 속에서도 그들만의 특색 있는 기법과 세계 영화계의 한축으로 까지 성장하였다.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12.07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34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